Comparative Studies on the Ultrastructure of Salivary Ducts between the Two Species of Snails,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두 종의 달팽이류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사이의 타액관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연구

  • 장남섭 (목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한종민 (목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김상원 (목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이광주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황선종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We observed the salivary ducts of two species of snails,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feri with an electron microscope,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intralobular and interlobular ducts of Achatina fulica assume the forms of round or ellipsoidal doughnuts. The boundaries between the endothelial cells are not clear. It is also found that the cytoplasm of the endothelial cells consists of the membrane infolded in interdigital form, and there are well -developed microvilli at the apical portion of the cytoplasm. On the other hand, the intralobular and interlobular ducts of Incilaria fruhtoferi consist of the irregular simple columnar epithelia. The high electron dense cytoplasm is filled with the irregular round granules. The microvilli at the apical portion of the cytoplasm are not so well-developed as those in Achatina fulica. In the salivary duct of Achatina fulica, the lumen has narrow and long tubular structu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endothelial cells are not clear. The cytoplasm is full of many vacuoles and electron lucent granules. At the apical portion of the cytoplasm, lots of short and thin microvilli are found. The salivary duct of Incilaria fruhstorferi is wider ($65\times250{\mu}m$ in diameter) than that of Achatina fulica, and consists of endothelial cells of the same structures. At the apical portion of those endothelial cells, a lot of junction apparatus such as desmosomes are observed. The vessels in the salivary ducts of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feri are observed mainly in the connective tissues between the salivary glands. The endothelial cell of the vessel has the irregular structure and looks dark due to the high electron density. These cells protrude their filopodia and phagocytosize foreign bodies.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및 산민달팽이(Incilaria fruhstorferi)의 타액을 분비하는 관들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chatina fulica의 소엽내관과 소엽간관은 대부분 원형또는 타원형의 도우넛(dough-nut)형태로서 관을 구성하는 내강세포는 세포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세포질은 손가락 마주끼기와 같은 많은 주름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의 세포상단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해 있었다. 반면 Incilaria fruhstorfer의 소엽내관과 소엽간관은 불규칙한 단층원주상피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 속에는 다소 불규칙한 구형의 과립들로 가득차 있었다. 세포의 상단에는 미세융모의 발달이 미진하였다. Achatina fulica의 타액관은 내강이 비교적 좁은 긴 관상구조를 하고 있었다. 내강상피세포들은 세포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세포질 속에는 많은 공포와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과립들로 가득 차 있었고 이들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길이가 짧고 가늘은 미세융모가 발달해 있었다. 반면 Incilaria fruhstorfer의 타액관은 Achatiana fulica의 타액관 보다 그 직경이 $65\times250{\mu}m$정도로 더 넓었으며 같은 구조의 내강상피로 구성되어 있었고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치밀반과 같은 연접장치가 자주 관찰되는 특징도 보였다. Achatina fulica와 Incilaria fruhstorferi 타액선내 혈관들은 타액선 세포사이에 있는 결합조직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내피세포들은 대부분 불규칙한 구조이고 전자밀도는 높아서 어둡게 관찰되었다. 이들은 사상족을 내어 포식현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