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st

검색결과 4,557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원의 돕는 행위와 환자의 자기노출행위에 관한 연구 (A Survey Study of the Nurse환s Helping Behaviors and Patient환s Self-Exploration behaviors)

  • 김문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7-107
    • /
    • 1986
  • This study was about nurse's helping behavior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nurse's helping behaviors, to identify the nurse's helping behavior level by the nurses personal back-ground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s helping behavior and patient's self-exploration. The subjects, consisting of 192 adults in-patients who had less acute physical problem and 192 registered nurses working on these ward in 3 hospitals in Seoul and 1 hospital in Kang Won province of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 to rob. 1986 through the descriptive responds and self-reported questionaire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khuff's index of communication. Henderson's Irritating Listening Behavior, revised by the Kim(1984) and patient problem understanding scale, patients trust scale on nurse, developed by the Kim(1984).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e of mean, t-test, F-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Mean of nurse's helping behavior was 1.84 out of 4. These point were less than 3.0 which means the minimum points as the facilitative helper.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nurses helping behaviors to the nurse's personal back-ground (p<.05). 3. There were positive rotation between the nurse's helping behaviors and patient's self-exploration behavior (P<0001). In conclusion, 1 may can give some sugges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1. The systematic study about nurse's helping behavior is need all over the Korea. 2. Educational program for the facilita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patient must be developed, 3. Further detailed analysis methods are need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patient's self-explorations behavior.

  • PDF

인터넷 패션 쇼핑몰을 위한 가상 피팅 모델 시스템 연구 (A Study on Virtual Fitting Model System for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 탁명자;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184-1195
    • /
    • 2006
  • 오늘날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그 중 인터넷 패션 쇼핑몰에 대한 인식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인터넷 패션 마케팅 시스템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가상공간에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직접 입어보는 특수한 형식을 대체할 수 없는 것이 패션몰의 큰 단점이며 이를 대체할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체형을 감안하여 3D아바타에게 온라인 소비자의 정보를 주입한 가상 피팅 모델을 만들고, 여러 가지 옷들과 악세사리 및 장소(배경)까지 선택해 볼 수 있는 그런 완전한 가상 패션 쇼핑몰을 구축한 후, 인터넷 패션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온라인 매장에서 옷을 입혀 온라인의 쇼핑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PC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받고 경계선을 추출하여 가상 피팅 모델에게 옷을 입히는 가상 피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초보창업자의 부동산 이중거래사고 예방을 위한 경영전략 (Real Estat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Stater Founder Double Deal)

  • 이무선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27-135
    • /
    • 2015
  • 처음 창업을 하게 되면 성공과 실패의 순간을 맛보게 된다. 창업의 조건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자금력 있는 입지선정과 강인한 창업가정신 등의 경영전략이 필요하다. 그런데 초보창업자는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 이중매매와 같은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 부동산거래 관행은 체계적인 도움을 받기 어려우며, 법률적으로 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피해자의 피해는 그대로 남게 되는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그동안 법률적으로 이중매매를 배임죄 등으로 가해자를 처벌하는 문제를 넘어서 이제는 피해를 입은 피해자에 대한 경영학적 접근을 통한 전략이 필요한 때이다. 부동산의 이중매매와 같은 거래사고에 대하여 초보창업자에게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을 위한 경영전략은 어떠한지에 관하여 검토 해 보기로 한다.

  • PDF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 김혜순;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17-1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소재 5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640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또래관계의 신뢰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의사소통, 화(angry) 및 소외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성별과 학년, 일평균 사용시간과 월평균 통신요금은 스마트폰 중독에 다르게 영향을 주었고, 셋째, 성별과 학년, 일평균 사용시간과 통신요금의 차이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에 중독 또는 사용빈도가 지나친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 순기능을 높여 보호요인을 증진시키고, 역기능인 위험요인을 감소시켜 가정과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코깅힘 저감 방법을 적용한 선형모터로 구성되는 Pick & Place 모듈 (Pick & Place Module consist of Linear Motor using Cogging Force Reduction Method)

  • 정명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35-742
    • /
    • 2020
  • 반도체 부품을 생산 및 검사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 장비에서 상하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Pick & Place 모듈이 핵심 모듈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Pick & Place 모듈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장치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정밀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고 모듈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변환장치 없이 상하직선운동을 구현하며, 평균 추력과 이동거리에 제한이 없는 선형모터를 적용한 Pick & Place 모듈을 제안하였다. 체적대비 추력비가 큰 코어 방식의 선형모터를 설계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선정하고, 자기해석을 통해 설계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코깅힘의 영향을 분석하여 평균 추력을 유지하며 코깅힘을 저감할 수 있는 설계 파라미터 값을 선정하였다. 제작된 선형모터로 구성되는 Pick & Place 모듈에 대해 평균 추력 및 코기힘을 측정하여 설계값과 비교하였다.

소비자의 특성이 온라인 상품평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to Use Product Reviews to Make Online Purchasing Decisions)

  • 박윤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32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variable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online product reviews. In online e-commerce, where purchases take place without consumers seeing the products in person, the product reviews left by other consumers who have already purchased the product are believed to be valuable information. However, when different consumers read the same product review, their responses to it may vary.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utilize product reviews for their purchases.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categorized into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ity, purchasing tendency, and experience related to product reviews. These factors are examined to see if they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a consumer's intention to use product reviews when making online purchases. We surveyed a total of 240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e-commerce and knew about online product reviews. Once the data was collecte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s tool AMOS. The study results reveal that consumers who are female, extroverted, and have higher price sensitivity think that product reviews left by others are useful, and that this "perceived usefu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product reviews for making online purchasing decisions. In addition, consumers who are agreeable to others, have high brand sensitivity, and who have left numerous reviews themselves demonstrated the tendency to trust reviews left by others more. Thus, we conclude that this "perceived reliability" makes it more likely that a consumer will use product reviews when making online purchasing decisions. Future research can be done to develop this study further by analyzing whether providing online product reviews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enhances the effect of product reviews on online purchasing decisions.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Urban Environment on the Happiness Level of the Residents: Focused on 25 Boroughs(gu) in Seoul)

  • 이우민;서승연;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51-360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개인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환경 특성요소를 추출하고 실제 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보다 행복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정책과 도시계획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인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도시환경 특성(물리적 환경, 자연적 환경, 사회적 환경) 변수와 개인 특성(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 변수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밀도가 낮고 보행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의 자연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1인당 공원면적이 넓고 녹지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의 사회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신뢰가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닥터쇼핑 행동과 인터넷 이용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ervice user's doctor-shopping behavior and the Internet use)

  • 안종창;남궁요;이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385-4393
    • /
    • 2011
  • 최근 의사에게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의사를 방문하여 견해를 듣고자 하는 환자의 경향인 의사선택(doctor shopping)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닥터쇼핑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무엇인지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하는 것이다. 2009년 10월 16일부터 11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질병 치료를 위해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223명의 유효 데이터를 수집했다. 연구결과 닥터쇼핑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의사의 치료에 대한 신뢰와 인터넷 정보에 대한 신뢰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로서의 환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쇼핑하듯 의료서비스를 선택하며 인터넷은 닥터쇼핑 행동의 촉매제 역할을 일부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동 에이전트 환경을 위한 안전한 연속 위임 구현 기법 (Reliable Cascaded Delegation Scheme for Mobile Agent Environments)

  • 이현석;엄영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1호
    • /
    • pp.31-38
    • /
    • 2004
  • 이동 에이전트 환경에서는 에이전트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에이전트의 이주(migration)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이전트를 실행한 권한을 위임(delegation)하기 위해 플레이스(Place)간에 연속위임(cascaded deleg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는 에이전트 이주에 관련한 두 플레이스만을 위임의 대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안전한 연속 위임을 지원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 에이전트 환경에서 연속 위임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연속 위임 구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플레이스간의 신뢰관계에 따라 각 위임토큰(delegation token)을 다음에 생성되는 위임토큰에 내포시킨 후 서명하는 방법과 에이전트의 생성자에 의해 서명된 초기 토큰(initial token)만을 내포시킨 후 서명하는 방법을 나눠서 사용한다. 또한 본 제안 기법이 메시지 재연에 의한 공격과 위임토큰 치환 공격에 안전함을 증명한다.

WSN 환경에서 안전한 데이터 전달을 위한 IDE 기반의 계층적 노드인증 프로토콜 (An IDE based Hierarchical Node Authentication Protocol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in WSN Environment)

  • 조영복;이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3B호
    • /
    • pp.149-157
    • /
    • 2012
  • WSN 환경의 센서노드는 정보를 수집하고 베이스스테이션으로 전달한다. 베이스스테이션은 인증되지 않은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신뢰하기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노드를 인증하고, 데이터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방식들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 AM-E[12] 방식에서는 노드인증 후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센서노드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직접 AREQ/AREP 메시지를 통신하는 과정에서 인증메시지 송수신으로 인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또한 모든 노드는 인증을 위해 베이스스테이션과 직접 통신과정을 거치며 한정된 에너지를 과다하게 소비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AM-E 방식과 동일한 보안성을 제공하면서 센서노드의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IDE 기반의 계층적 노드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안전성 측면에서는 기존 방식과 같이 메시지 재전송공격이나 메시지의 무결성 보장을 유지하면서 통신에 참여하는 노드수가 AM-E 방식보다 약 39% 증가되어 전체 네트워크 생명주기를 연장함으로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