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e Metabolizable Energ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Nutritional Evaluation of Some Tropical Crop Residues: In Vitro Organic Matter, Neutral Detergent Fibre, True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Metabolizable Energy Using the Hohenheim Gas Test

  • Aregheore, E.M.;Ikhatua, U.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47-751
    • /
    • 1999
  • The Hohenheim in vitro gas test was used to assess the nutritional value of some crop residues of known in vivo digestibility. The crop residues are groundnut shells (GNS) corn cobs (CC); cassava peels (CaP); unripe and ripe plantain peels (UPP, RPP) and citrus pulp/peels (CPP). Compared to other crop residues, crude protein (CP) content of CC was low. Except for CaP and CPP that had low neutral detergent fibre (NDF) and acid detergent fibre (ADF), other residues contained a high amount of cell wall constituents. Net ga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rop residues (p<0.05). Gas production was highest in CPP followed by CaP. CC, UPP and RPP have the same volume of net gas production, while the least net gas production was in GNS. True dry matter (TDM)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he residues. GNS was the least in TDM digestibility. CaP, UPP and RPP had similar TDM digestibility values, while the highest TDM digestibility was obtained in CPP. OM digestibility was different among the residues (p<0.05). CaP and CPP had the same ME value while CC, UPP and RPP had close ME values and GNS the least in ME (p<0.05). The potential extent (b) and rate (c) of gas production were statistical different among the residues (p<0.05). The Hohenheim gas test gave high in vitro organic matter (OM) digestibility for CC, CaP, UPP and RPP and CPP. Fermentable carbohydrates and probably available nitrogen in the crop residues influenced net gas prod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rop residues besides, providing bulk are also a source of energy and fermentable products which could be used in ruminant livestock production in the tropics.

Canola전지종실과 유박 및 기름의 대사에너지 함량과 아미노산 이용률 (Metabolizable Energy Contents and Amino Acid Availability values in the Full-Fat Seeds, Oil Meals and Oils of Canola)

  • 이규호;심정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07
    • /
    • 1990
  • 본시험은 Canola 전지종실과 Canola 박 및 Canola 유의 유효에너지가(AM 및 TME)와 아미노산 이용을(TAAA)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시험에는 단관백색레그혼종(S.C.W.C.) 성계수탉이 실시되었으며, AME시험에서는 측정사료인Canola 전지증실, Canola 박 Canola 박+유(60:40)을 30% 그리고 Canola 유를 10% 배합한 4종의 시험사료와 기초사료를 각각 자유채식시켰고 예비시험기간은 3일 채분기간은 4일이었다. TME와 TAAA시험에서는 Canola 전지종실과 Canola 박은 단-사료로, Canola 박+유와 Canola 유는 각각 기초사료에 30%와 10%의 비율로 혼합하여 각각 1일 30g을 24시간의 절식기간 후에 강제투여(force feeding)하였고 48시간동안 전분을 채취하였다. 모든 에너지가는 질소정정 에너지가로 환산하였는데, Canola 전지종실, Canola 박, Canola 유 및 Canola +유의 AMEn가는 각각 4,485, 1,984. 8,275 및 5,655 kcal/kg이었고 TMEn가는 각각 4,577, 2,103, 8,487 및 5,630kcal/kg으로 측정되어 Canola 박+유는 Canola 전지종실보다 높은 에너지가를 나타냈으며(P<0.01), 전반적으로 Canola전지종실은 Canola 박보다 높은 TAAA가를 나타냈다.

  • PDF

Effects of Enzyme Treated Palm Kernel Expeller on Metabolizable Energy, Growth Performance, Villus Height and Digesta Viscosity in Broiler Chickens

  • Saenphoom, P.;Liang, J.B.;Ho, Y.W.;Loh, T.C.;Rosfarizan,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537-544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e-treating palm kernel expeller (PKE) with exogenous enzyme would degrade its fiber content; thus improving its metabolizable energy (ME), growth performance, villus height and digesta viscosity in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PKE. Our results showed that enzyme treatment decreased (p<0.05) hemicellulose and cellulose contents of PKE by 26.26 and 32.62%, respectively; and improved true ME (TME) and its nitrogen corrected value ($TME_n$) by 38% and 33%,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raw sample. Average daily gain (ADG),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of chickens fed on different dietary treatments in the grower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feed intake (p>0.05) among treatment groups in the finisher period, ADG of chickens in the control (PKE-free diet) was higher (p<0.05) than in all treatment groups fed either 20 or 30% PKE, irrespective of with or without enzyme treatment. However, ADG of birds fed with 20% PKE was higher than those fed with 30% PKE. The FCR of chickens in the control was the lowest (2.20)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ed 20% PKE diets while birds in the 30% PKE diets recorded higher (p>0.05) FCR. The intestinal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duodenum, jejunum and ileum) were not different (p>0.05) among treatments except for duodenal crypt depth. The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of birds in enzyme treated PKE diets were higher (p<0.05) than those in the raw PKE groups. Viscosity of the intestinal digesta was not different (p>0.05) among treatment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ogenous enzyme is effective in hydrolyzing the fiber (hemicellulose and cellulose) component and improved the ME values of PKE, however, the above positive effects were not reflected in the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 chickens fed the enzyme treated PKE compared to those received raw PKE. The results suggest that PKE can be included up to 5% in the grower diet and 20% in the finisher diet without an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CR in broiler chickens.

양계사료의 TME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II. 사료투입량 및 사료급여형태가 옥수수와 대두박의 대사 에너지가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Effect of level of feed input and diet types on apparent and true metabolizable energy of corn and soybean meal.)

  • 이영철;강도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6-52
    • /
    • 1983
  • 사료급여량이 옥수수와 대두박의 TME(AM $E_{F}$ )와 TME(AM $E_{FC}$ )가에 미치는 영향과 사료의 형태(단미와 배합)가 옥수수의 TME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대두박의 AME, AM $E_{F}$ 가는 공히 각급이수준간 현저한 유의차(P<.05)가 있었으며, 특히 50mg 급이수준에서 옥수수, 대두박 공히 가장 높았다. 반면 옥수수의 AME 가는 50과 75mg 합이수준간에는 유의차(P>.05)가 없었다. 2. 옥수수의 TME와 AM $E_{FC}$ 가는 각 급이수준간 유의차가 없었던(P>.05) 반면 대두박은 각 수준간 현저한 차가(P<.05) 있었다. 5 mg 급이수준에서 대두박의 AM $E_{FC}$ TME 가가 가장 높은 사실은 특히 대두박의 경우에는 TME 측정상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3. 단미 또는 배합사료 형태로 측정한 옥수수의 TME가는 두 형태간 유의성은 없었다. (P>.05)

  • PDF

돈분폐액 배양 Spirulina platensis의 화학적 조성 및 생물학적 사료가치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Feeding Values of Spirutina platensis Grown at Swine-Waste Effluent)

  • 오상집;정연종;이준엽;이현용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5-160
    • /
    • 1995
  • To evaluate the nutritive values of outdoor mass cultivated Spirulina platensis both chemical analysis and bioassay were carried out using adult cockerels. Blue-green algae, Spirulina platensis contained about 71g /l00g DM of crude protein with balanced amino acid profiles although methionine is liable to he limiting to animals. Compared to fish meal, calcium content and calcium : phosphorus ratio of the Spirulina were not suitable in terms of animal requirements. Reasonable amount of y-linolenic acid(C18: 3 $\omega$6) in Spirulina platensis draws a clinical attention due to its historically recognized pharmacotheraputic functions. Metabolizable energy contents of Spirulina were 3.67 and 3.11 mcal /kg DM for TMEn and AMFn, respectively, which therefore, can he a reliable energy source for poultry. True amino acid availabilities of essential amino acids of Spirulina platensis were higher than 90% for poultry, which is better than comparative ingredient like fish meal. Overall data from both chemical analysis and bioassay demonstrated that the Spirulina platensis could he a favorable protein feedstuffs for poultry.

  • PDF

생미강의 영양적 가치와 사료 내 첨가가 육계 성적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al Values of Rice Bran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s on the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ens)

  • 신영근;김관응;신승철;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5-150
    • /
    • 2004
  • 본 실험은 생미강을 부존 사료 자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사료적 가치 평가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과 동시에 TAAA와 TMEn을 이용한 사료배합의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생미강을 강제 급여함으로서 TME, TMEn 그리고 TAAA를 측정하였고, 실험 2에서는 대조구, 생미강(5, 10, 15%) 첨가구의 4개 처리구에 처리당 3반복 반복당 6수로 완전 임의 배치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생미강의 TME와 TMEn은 건물기준으로 각각 3.25 kcal/g와 3.12 kcal/g이었고, 16개 아미노산의 평균 생체 이용율(TAAA)은 76.21% 이었다. 3주령부터 6주령까지 실시한 사양실험에서 생미강 첨가구에서 사료섭취량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생미강 첨가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TMEn과 TAAA를 기초로 사료를 배합할 경우 부존원료의 이용에 의한 성장성적의 저하를 막을 수 있었고, 생미강을 15%까지 첨가하여도 아무런 부정적인 영향 없이 사료를 배합할 수 있어 부존 사료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국내산 탈지미강의 영양적 가치 평가와 사료 내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Nutritive Value of Local Defatted Rice Bran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김은집;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59-766
    • /
    • 2003
  • 본 연구는 탈지미강의 부존사료원료로써의 영양적 가치 평가와 사료 내에 첨가수준을 달리했을 때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Ⅰ에서는 절식구 8수, 탈지미강 급여구 8수, 총 16수의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급여에 의해 탈지미강의 TME, TMEn 및 TAAA를 평가하였다. 탈지미강의 TME와 TMEn은 건물 기준으로 각각 2.19 kcal/g, 2.05 kcal/g이었으며,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생체이용률은 77.29%로 나타났다. 실험Ⅱ에서는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의 대조구 사료와 탈지미강을 5%, 10% 및 15%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를 총 72수의 육계 (4처리, 3반복, 반복당 6수)에 3주간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탈지미강 1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지만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주당 증체량은 탈지미강을 여러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지미강 10% 및 1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약간 높아졌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탈지미강 5% 첨가구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료요구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사료 원료의 정확한 품질 평가 및 생체이용률을 근거로 사료를 배합했을 때 항영양인자가 함유되어 있지 않는 한 사료의 품질저하를 막을 수 있었고, 탈지미강 역시 가금 사료 내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부존사료원료로써 이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Corns with Different Nutritional Profiles on Growing and Finishing Pigs Feeding (30 to 90 kg)

  • De Oliveira, Gisele Cristina;Moreira, Ivan;De Souza, Ana Lucia Pozzobon;Murakami, Alice Eiko;Parra, Angela Rocio Poveda;De Oliveira Carvalho, Paulo Levi;Borile, Maicon Danne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982-992
    • /
    • 2011
  •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value and to verify the pig performance in growing and finishing phases (30 to 90 kg) fed on diets containing common corn (CC), high-lysine corn (HLC) and high-oil corn (HOC). In the total digestibility trial (Exp. I) 12 barrows were used. Values of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as-fed basis for CC, HLC and HOC, were: 3,396 and 3,275 kcal/kg; 3,248 and 3,139 kcal/kg; 3,445 and 3,308 kcal/kg, respectively.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arent and true ileal digestibility coefficients of amino acids, as well as the values of true digestible amino acids of the CC, HLC and HOC, an ileal digestibility trial was done (Exp. II) with T-cannulated barrows ("T" simple). The treatments consisted of three diets, with one of them as the sole source of protein (CC, HLC and HOC). In the performance experiment (Exp. III), 36 crossbred pigs, allot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treatments and 12 replications were used. Treatments consisted of three diets: 1 - CC; 2 - HLC and 3 - HOC. It was observed no difference for performance and carcass variables among the corns with different nutritional profiles. Results of the three experimen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egregating corns in their real chemical and energetic composition as well as the values of true digestible amino acids for formulating diets for growing and finishing pigs.

양계사료의 TME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I. AME, AME$_{F}$ 및 TME 측정법 비교시험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I. Comparative study on the measuring methods or AME, AME$_{F}$ and TME value of feedingstuffs.)

  • 이영철;강도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45
    • /
    • 1983
  • 본 시험은 현행 ME 측정방법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옥수수, 수수, 대맥, 어분, 대두박에 대하여 TCM, IM과 AME$_{F}$, TME bioassay법을 비교측정한 결과 다음의 성적을 얻었다. 1. TCM 및 IM에 의해 AME 측정시 어분을 제외하곤 각 방법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p>.05) TCM에 의한 측정치는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AME$_{F}$와 AME가 간에는 수수를 제외하고는 유의차 (p>.05)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AME$_{F}$ bioassay를 이용 AME 측정상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3. 옥수수, 수수, 대맥의 AME$_{FC}$, TME치는 AME, AME$_{F}$)에 비하여 유의적(p<.05)으로 높은 반면 어분과 대두박은 비슷하거나 낮았다. 이러한 사실은 AMF$_{FC}$와 TME측정법은 어분 및 대두박의 AME$_{FC}$나 TME가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라 하겠다. 4. TME, AME$_{FC}$와 T-AME가를 비교시 옥수수ㆍ수수ㆍ대맥의 TME가는 AME$_{FC}$나T-AME가 보다 유의적(p<.05)으로 높았으나 반면 어분, 대두박은 현저히 낮았다(p<.05). 따라서 TME, AME$_{FC}$와 T-AMF 간의 관계는 특히 단백질사료와 같은 각 사료의 종료마다 일정치 않았다.

  • PDF

산란계사료의 적정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timum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in Laying Hen)

  • 이상진;이규호;정선부;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53
    • /
    • 1987
  • 본시험은 산란계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산란성적, 생존율, 란질, 영양소이용율 및 복강지방 축적율 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대사에너지 3수준(2,500, 2,700, 2,900 kcal/kg)과 단백질 3수준(13, 15, 17%)을 조합한 9개처리에 720수씩 2회에 걸쳐 1,440수를 공시하였으며, 1차시험은 1982년 5월 5일부터 1983년 5월 3일까지, 2차시험은 1983년 12월 28일부터 1984년 12월 26일까지 각각 52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고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지만 (P〈0.05), 단백질 15%와 17%수준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란중은 에너지 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15%와 17%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사료섭취량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4. 사료요구율은 에너지 수준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개선되었다. 5. 산란 kg당 사료비는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며 단백질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증체량은 대시에너지 2,500kcal/kg 수준에 비하여 2,700 및 2,900kcal/kg 수준에서 증가하였고, 단백질 13%수준에 비하여 15 및 17%수준에서 증가하였다. 7. 생존율은 에너지수준이나 단백질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8. 란각질은 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단백질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9. 란황차색도는 에너지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10.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이용율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단백질수준에 따라서는 건물의 이용율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다른 영양소의 이용율은 차이가 없었다. 11. 복강지방축적율은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사료적 여건이나 환경적 여건하에서 산란계사료의 대사에너지 수준은 2,500kcal/kg, 단백질수준은 15%가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