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s

검색결과 5,256건 처리시간 0.047초

보호수 지정 및 관리를 위한 남해안 지역 산림문화자산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Forest Cultural Asset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for the Designation and Maintenance of Law-protected Trees)

  • 강기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36
    • /
    • 2012
  • 산림은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의복과 문화, 생존의 기반을 제공해 주고 있는 기본적인 자산이다. 이러한 자산은 문화와 생활로서 지역 주민들의 삶 속에 녹아들어 있으며, 후세로 이어져 나갈 것이다. 본 연구는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조사가 부족한 지역인 남해안지역의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보호수로서의 지정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남해안에 접해 있는 경남지방 전남지방의 11개 시, 군에 위치한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 등 80개소를 조사하였다.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의 건강성과 관리상태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판단기준을 전문가 표적토론(brainstorming)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현재 보호수로 미지정된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 중에서 산림청 예규 제 574호의 기준에 의한 법정보호수 지정 기준을 통과하고, 관리상태도 좋은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을 선정하였다. 군락지는 남해 난음리 비자나무 숲이 선정가능성이 높으며, 노거수는 하동 평사리 부부소나무를 포함한 13개소의 나무들이 지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노거수의 수종은 느티나무 3주, 팽나무 3주, 소나무 2주, 모밀잣밤나무, 왕버들, 후박나무 각 1그루씩이었다. 이러한 노거수와 군락지는 보호수로 지정하여서 국가의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며, 우리의 산림문화자산으로서 그 가치를 이어가야할 것으로 판단한다.

묘령 및 식재밀도에 따른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육 특성 (Early Growth Performance of Zelkova serrata Trees According to Seedling Age and Planting Density)

  • 노남진;조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390-399
    • /
    • 2020
  • 본 연구는 조림목 묘령과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말에 온대 남부지역인 영덕지역 2 ha 면적에 묘령[용기묘(1-0), 용기묘(2-0)] × 식재밀도(3,000본 ha-1, 5,000본 ha-1) 4가지 조합으로 느티나무 묘목을 식재하였다. 각 처리별 3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 생장을 매년 9월마다 3년 동안(2017-2019년) 측정하여 수간 재적을 계산하였다. 느티나무의 초기생존율은 처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고는 묘령(1-0)과 묘령(2-0)에서 밀식처리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근원경과 H/D율은 묘령(2-0)에서 식재 후 3년차에 밀식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개체목당 수간재적은 묘령(2-0) 5,000본 ha-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묘령(1-0) 3,000본 ha-1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수간재적은 묘령과 식재밀도 간에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고, 묘령과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높은 수간재적을 보였다. 단위면적당 수간 재적은 용기묘(1-0) 3,000본 ha-1 대비 용기묘(1-0) 5,000본 ha-1는 85%, 용기묘(2-0) 3,000본 ha-1와 5,000본 ha-1는 각각 약 68%, 300%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식재밀도가 묘령에 따라 생장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며, 용기묘(2-0)의 초기 생장을 향상시키는데 5,000본 ha-1 처리가 적합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서울숲의 경관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식재수종의 현황분석 (Analysis of Planted Trees to Improve the Landscape and Naturalness of Seoul Forest)

  • 박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25
    • /
    • 2023
  • 본 연구는 서울숲을 대상으로 식재된 수종들의 현황을 분석하여 서울숲의 경관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도시공원의 식재종 목록을 구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숲 내 조경수목의 유형별 특성 분석은 낙엽 유무에 관한 것으로, 낙엽교목, 상록교목, 낙엽관목, 상록관목으로 구분하였으며 지피식물 등 초본류는 따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울숲에 식재된 조경수목의 자생종과 외래종의 수는 낙엽교목 57종과 27종, 낙엽관목 35종과 24종, 상록교목 15종과 8종, 상록관목 98종과 1종으로 나타났다. 초본류는 472종이었으며 총 분수는 32만 여 본이었다. 자생종과 귀화종의 비율은 59% : 41%로 자생종이 많았고, 낙엽수와 상록수의 비율은 81% : 19%로 낙엽수가 훨씬 많았다. 서울숲에 식재된 낙엽교목의 경우, 총 종수는 84종이고 그 중 자생종은 57종, 외래종은 27종으로 자생종이 외래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상록교목의 경우, 총 종수는 23종이며 자생종이 15종, 외래종이 8종으로 자생종이 65%를 차지하여 낙엽교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낙엽관목의 경우, 총 종수는 59종이고 주수가 다량으로 식재된 관목에는 개나리, 개쉬땅나무, 말발도리, 영산홍, 영춘화, 조팝나무 등이 있었다. 상록관목에는 총 종수가 10종이었으며, 자생종 9종, 외래종 1종으로 남천을 제외하고는 모두 자생종이 식재되어 있었다. 서울숲을 대상으로 식재수종의 현황분석을 진행한 본 연구는 서울숲의 경관과 자연성 증진을 위하여 서울숲 내 식재된 조경수목을 자생종과 외래종으로 분류하고, 더 효과적으로 자생종 식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도시공원의 연구가 이용행태, 만족도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자연성 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식재계획과 설계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풀리에틸렌 내에서의 워터트리의 구조와 전기적 특성 (Internal Structure and Electrical Behaviour of Water Trees in Polyethylene)

  • Koo, Ja-Yoon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5권12호
    • /
    • pp.555-559
    • /
    • 1986
  • It is shown that water tree grown using the water needle method in polyethylen do not behave as conductor but as dielectrics. It is decuded that water trees are not non-interconnected cavities. This result is confirmed by gas flow measurements through freeze-fractured water trees.

  • PDF

CONSENSUS N-TREES AND REMOVAL INDEPENDENCE

  • Powers, R.C.
    • 대한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73-490
    • /
    • 2000
  • Removal independence is a translation of Arrow's axiom of independence of irrelevant alternatives for social welfare functions to an axiom about consensus functions involving n-trees. It is shown that a consensus function is removal independent if and only if it is expressible as th union of three types of functions.

  • PDF

On spanning 3-trees in infinite 3-connected planar graphs

  • Jung, Hwan-O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21
    • /
    • 1996
  • In this paper the existence of spanning 3-trees in every 3-connected locally finite vertex-accumulation-point-free planer graph is verified, which is an extension of D. Barnette to infinite graphs and which improves the result of the author.

  • PDF

다중포트 통신에서의 재귀원형군에 대한 최적 방송 (Optimal Broadcasting in Recursive circulants under Multi-port Communication)

  • 최정;이형옥;임형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1-474
    • /
    • 1998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problem of optimal broadcasting in recursive circulants under multi-port communication model. Recursive circulant G(N, d) that is defined to be a circulant graph with N vertices and jumps of powers of d is a useful interconnection network from the viewpoint of network metrices. Our model assumes that a processor can transmit a message to $\alpha$ neighboring processors simultaneously where $\alpha$ is two or three. For the broadcasting problem, we introduce 3-trees and 4-trees. And then we show that 3-trees and 4-trees are minimum broadcast trees in 2-port model and 3-port model. Using the above results, we show that recursive circulants g(2m, 2) have optimum broadcasting time in 2-port model and 3-port model.

  • PDF

A Generalization of the Linearized Suffix Tree to Square Matrices

  • Na, Joong-Chae;Lee, Sun-Ho;Kim, Dong-Kyu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760-1766
    • /
    • 2010
  • The linearized suffix tree (LST) is an array data structure supporting traversals on suffix trees. We apply this LST to two dimensional (2D) suffix trees and obtain a space-efficient substitution of 2D suffix trees. Given an $n{\times}n$ text matrix and an $m{\times}m$ pattern matrix over an alphabet ${\Sigma}$, our 2D-LST provides pattern matching in $O(m^2log{\mid}{\Sigma}{\mid})$ time and $O(n^2)$ space.

H-TREES, RESTRICTIONS OF DOWLING GROUP GEOMETRIES

  • Mphako-Banda, Eunice
    • 대한수학회보
    • /
    • 제52권3호
    • /
    • pp.955-962
    • /
    • 2015
  •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role played by complete graphs in graph theory is similar to the role Dowling group geometries and Projective geometries play in matroid theor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tion of H-tree, a class of representable matroids which play a similar role to trees in graph theory. Then we give some properties of H-trees such that when q = 0, then the results reduce to the known properties of trees in graph theory. Finally we give explicit expressions of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s of H-trees, H-cycles, H-fans and H-wheels.

대기부유분진중 Pb와 가로수잎중 Pb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ad in Airborne Suspended Particulates and Leaves of Roadside Trees in Urban Area)

  • 고현규;김희강;현용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18
    • /
    • 1986
  • In order to evaluate the state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vehicle exhaust in Seoul area the correlation between lead in air and leaves of roadside trees has been investigated during August in 1985. The dust in the atmosphere was collected by high volume air sample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lead. On the other hand, lead as a pollution indicator was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roadside trees (Ginkgo biloba, Salix pseudo/lasiogyne, platanus occidentalis) by conventional method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Lead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of roadside trees varied with trees, for example,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lead in each of the leaves of Ginkgo biloba, Salix pseudo/lasiogyne and Platanus occidentalis were 20.66 ppm, 9.37 ppm, and 10.58 ppm, respectively. 2. The dust sampled along heavily traveled highways showed that lead content tended to increase with traffic volume.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ead correlation in air and leaves of Gingo biloba, Salix pseudo/lasiogyne, and Platanus orientalis were 0.80, 0.85, and 0.87,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