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veling standard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MPEG-DASH 기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 구성 방안 (MPEG-DASH based 3D Point Cloud Content Configuration Method)

  • 김두환;임지헌;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60-669
    • /
    • 2019
  • 최근 3차원 스캐닝 장비 및 다차원 어레이 카메라의 발달로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 자율 주행과 같은 응용분야에서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AR/VR 분야에서는 3차원 영상을 포인트 데이터로 표현하는 콘텐츠가 등장하였으나, 이는 기존의 2차원 영상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부호화/복호화와 저장 및 전송과 같은 다양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MPEG-I(MPEG-Immersive) V-PCC(Video 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그룹에서 제안한 V-PCC 부호화기를 통해 생성된 V-PCC 비트스트림을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표준에서 정의한 세그먼트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3차원 좌표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그널링 메시지에 깊이 정보 파라미터를 추가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 플랫폼을 설계하고, 제안한 기술의 알고리듬 측면에서 확인한다.

교육활동에 따른 실내오염도 변화에 관한 연구 -신설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Indoor Air Pollution by Educational Activities -Centering on Newly-Established Elementary Schools-)

  • 전석진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6권2호
    • /
    • pp.66-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primary causes of indoor air pollution, including carbon dioxide, minute dust,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 each room before the beginning of a class through the time of discharge after the end of the class in general classrooms, computer rooms, and science rooms of three newly-established schools that opened in 2006, examine properties of indoor air environment in each room by educational activities at school, and determine effective management sc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for implications for each item found in the mean for each place, since minute dust (PM10) was more likely to occur in time slots full of students' activities, such as a traveling class and a recess, than in the middle of a class and could be expected fully, it is necessary to make a scheme for cleaning in order to reduce minute dust within a room, for example, by usually using a vacuum cleaner indoors. 2) While carbon dioxide was expected to vary with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breath between higher-graders and lower-graders in a general classroom but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s, showing differences in pollution by four times at a maximum according to the opening of a window as expecte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rtificial or natural ventilation and take a positive measure, for example, by presenting a concrete ventilation scheme, in order to improve indoor air pollution at a room practice. 3)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by more than twice in general classrooms, science rooms, and computer rooms of the schools because of building materials, furnitures including desks and chairs, panels and boards for environment beautification, and items which could be detected even from students' clothes; while a field directly-reading tool was used, obtaining high reliability for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nalytical method based on process test separately for actual correct measurement if a significantly great amou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ppear as compared with other schools due to measuring expenses and consecutive measurements. 4) Since formaldehyde (HCHO) was generally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in general classrooms, science rooms, and computer roo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ventilator during a class in a computer room which requires airtightness and a science room in which an organic compound should be used for a class.

  • PDF

20세기 초 미의식의 변화에 따른 국내여성들의 화장법 (The Evolution of Makeup Methods of Korean Women in Response to Changing Standards of Beauty in the Early 20th Century)

  • 이순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364-1377
    • /
    • 2010
  • Although the human body is a biological subject with definite and distinctive physical features, its actualization and perception differs among societies. The aesthetics of the human body are based on diverse cultural perceptions that must be considered prior to design development. This study establishes the foundations of newly adopted concepts of beauty that are pre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at continue to affect our mindset even now. The research includes human figures in the articles of women's magazines and cosmetic advertisement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perception in the human body: Instead of being a subject of preservation, the body has become a subject of sculpture with emphasis on health in the 1920's and on beauty in the 1930'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body has created intensive attention on physical training and an increased sense of hygiene. The body exposed to the public perceives itself through the eyes of others that alter one's own perception of oneself as well as become a target of evaluation. There is an additional emphasis on the exotic eroticism of a passive subordinate. Western culture became the standard for modernization along with the dissociation of traditional standards and values. Through the effect of education and western thinking, the awareness of women's rights and self-appreciation was developed. Second, ideal beau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nprocessed natural beauty was extolled as ideal in the 1920's, but the 1930's, it highlighted big eyes and an aquiline nose t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women. Taking care of one's appearance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for every social class. Cosmetics and skin care treatments promised soft and white skin. In contrast to western cosmetics, dark and shiny hair was highly favored. Exercising and traveling, differing seasonal and regional skin treatments were also widely accepted. In its initial stages, the research had originally assumed th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would be a time in which traditional concepts of beauty and new, westernized aesthetics coexisted. However, as the research progressed, it was clear that the idea of beauty had already adopted occidental ideals by that time. Thus, it seem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on the shifting paradigms of beauty that must have occurred in the nineteenth and late twentieth century.

전공 분야 심화 학습을 위한 모바일 코스 코디네이터 시스템 (A Mobile Course Coordinator System for Learning Profound Major Field)

  • 한용재;이영석;조정원;최병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4호
    • /
    • pp.285-296
    • /
    • 2004
  • IT 관련 기술의 발전은 'Any Time, Any Where, Any Servi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반 여건을 마련하였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이동 중에도 이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웹 기반의 학사정보시스템을 무선 인터넷 기반의 학사정보시스템으로 활용한 기존의 시스템은 표준화된 환경에서 구축되지 않아 모바일 기기의 플랫폼에 종속적이었다. 또한, 선택과목의 수가 많은 학부제에서는 교육과정의 제작과 관리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학생들에게 조언을 해 주는 코스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들은 코스 코디네이터를 통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분야는 무엇이고, 어떠한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지에 대한 도움을 받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은 JAVA를 이용하여 플랫폼에 독립적이며, 심화된 전공 분야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코스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한 WIPI기반의 모바일 코스 코디네이터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바일 코스 코디네이터 시스템은 심화된 전공 분야의 학습을 위해 학부제의 각 분야별 과목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는 수강 과목 트리와 학생의 과거 수강이력을 고려한 추론엔진을 포함한다. 학부 내 모든 분야를 고려하였을 때 특정 과목의 중요도와 사용자가 해당과목의 선수과목을 이수하였는지 여부 및 사용자의 학부 내 분야 적합도를 가중치로 나타내어, 수강 신청 시 개별 학생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과목을 추천받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바일 코스 코디네이터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조언을 해 주는 코스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개인 휴대폰을 이용하여 수강신청에 관한 학사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시스템의 추론에 따른 추천 과목을 수강하여 전공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S대역 군사 레이더용 2kW급 GaN HEMT 증폭기 개발 (Development of 2-kW Class C Amplifier Using Ga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for S-band Military Radars)

  • 김시옥;최길웅;유영근;임병옥;김동길;김흥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21-43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S-밴드 군용 레이더에 사용되고 기존의 TWTA를 대체하기 위해 GaN HEMT 기반 증폭모듈을 이용하여 개발한 2kW급 반도체증폭기(SSPA)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SSPA는 8개의 증폭모듈로 이루어진 고출력증폭모듈, 구동증폭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공급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한 SSPA는 1) 증폭모듈과 구성부품은 공간적 제약으로 작은 패키지에 통합설계 되었으며, 2) PCB 내장형 하모닉필터를 이용하여 고주파를 제거하였으며, 그리고 3) 입력신호의 듀티 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한 출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이득조절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SSPA는 최대 48 dB의 이득과 3.1~3.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63-63.6 dBm의 출력 전력을 보였다. 자동이득조절 기능은 15-20 dBm의 입력전력 변동에도 대해서, 출력전력이 63dBm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MIL-STD-810의 시험기준을 만족하는 높은 (55 ℃) / 낮은 (-40 ℃) 온도시험 프로파일을 이용한 온도시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SSPA는 경량, 고출력, 고이득, 안전기능, 낮은 수리비, 짧은 수리시간 등 측면에서 기존의 TWTA 증폭기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중학생의 소비자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 획득자, 배분자, 구매자, 사용자, 처분자의 역할 측면에서 - (An Ethnography Study on the Consumer Role of Middle School Students - From the View Point of the Role of Gainer, Allocator, Buyer, User and Disposer -)

  • 권경자;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6
    • /
    • 2007
  • 인터넷과 이동전화가 보편화된 오늘날의 청소년들이 소비자로서 획득자, 배분자, 구매자, 사용자, 처분자의 역할을 어떻게 해 나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남지역 창원시 중학생 열 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생은 획득자로서 주로 부모에게 용돈을 획득하는데 정기적이고 타협을 통한 획득이 되지 못하므로 바람직한 획득자 역할을 위하여 중학생과 함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용돈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배분자로서는 대부분이 간식비, 오락비, 교통비, 쇼핑에 많이 배분하고 저축에의 배분은 적었고 부모의 통제를 많이 받는 일부는 용돈사용이 억제되었다. 획득한 용돈의 균형 있고 바람직한 배분을 위해 저축교육이 강조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학교와 가정의 연계 교육이 제공되어야겠다. 구매자로서 중학생이 구매하는 물품 및 서비스 비용에 대해 꼼꼼히 검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고, 합리적인 구매자 역할을 위하여 중립적 원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구매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켜야겠다. 사용자 역할은 매우 미약하므로 중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물품에 대해 환경과 연계한 사용자 교육이 강화되어야겠다. 처분자 역할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N세대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어 인터넷 상에서 교환 및 처분이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한 처분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오늘날의 중학생의 소비자역할에 대한 교육은 학교, 가정, 사회가 서로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더욱 효과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한 소비자역할을 정립할 수 있겠다.

  • PDF

Development of a Modified Disability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Disability Caused by Backache in Indi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 Aithala, Janardhana P.;Kumar, Suraj;Aithal, Shodhan;Kotian, Shashidhar M.
    • Asian Spine Journal
    • /
    • 제12권6호
    • /
    • pp.1106-1116
    • /
    • 2018
  • Study Design: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Purpose: To evaluate the disability domains relevant to Indian patients with low backache and propose a modified disability questionnaire for such patients. Overview of Literature: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is a self-reported measurement tool that measures both pain and functional status and is used for evaluating disability caused by lower backache. Although ODI remains a good tool for disability assessment, from the Indian perspective questions related to weight lifting and sexual activity of ODI are questioned in some of the earlier studi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Indian patients vary substantially from those in other populations and include activities like bending forwards, sitting in floor and squatting which are not represented in the ODI. Methods: In thi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 seven-step approach wa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hirty patients were interviewed to identify the most challenging issue they faced while performing their daily activities (by free listing) and understand how important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in terms of the standard ODI. Thus, a comprehensive disability questionnaire comprising 14 question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88 patients. Both qualitative (interviews) and quantitative methods (to establish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correlation with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Rol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were used to identify the 10 questions that best addressed the disability domains relevant to Indian patients. Results: According to free listing, four new questions pertaining to bending forward, sitting on the floor, walking on uneven surfaces, and work-related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second phase, wherein the questionnaire with 14 items was used, 56.8% patients did not answer the questions related to sexual activity, whereas 23.8% did not answer those related to walking on uneven surfaces. The modified questionnaire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0.892) and correlation with the Rolland Morris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0.850, p>0.05), as well as with the VAS score for disability (Cronbach's alpha=0.712, p>0.05) and pain (Cronbach's alpha=0.625, p>0.05). Conclusions: A modified disability questionnaire that was designed by adding two questions related to bending forward and work status and removing questions related to sexual activity and weight lifting or traveling (depending on the occupation) can help evaluate disability caused by back pain in Indian population.

생존분석을 활용한 과속방지턱 영향구간 분석 (Identifying Roadway Sections Influenced by Speed Humps Using Survival Analysis)

  • 윤규근;장유림;고승영;이청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1-27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과속방지턱으로 인해 통과차량이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하게 되는 구간을 영향구간이라 정의하였다. 이를 과속방지턱 통과 전 구간 사이 구간 통과 후 구간으로 구분한 뒤, 단독 및 연속 설치 여부 차종 시간대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이 구간에서는 구간 내에서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한 거리의 비율을 유효영향구간비율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스피드건으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속도궤적을 수집하여 영향구간의 길이를 산출하였고,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추정한 영향구간의 생존함수를 비교하였다. 설치 형태에 따른 변화 분석 결과, 50m 간격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통과 전 평균 영향구간 길이는 단일형보다 75.3% 길었으며, 통과 후 평균 영향구간은 18.9%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유효영향구간비율은 30m와 50m 간격에서 각각 81.0%와 76.0%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제한속도 이하로 주행한 절대적 길이는 각각 24.3m와 38.0m로 50m 간격에서 더 길었다. 차종별로 추정된 영향구간의 생존함수에 대해 로그순위검정을 수행한 결과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영향구간이 단일형 과속방지턱보다 길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차종은 단일형 과속방지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주야 시간대는 유효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속방지턱의 적정 설치 위치 또는 연속형 과속방지턱의 적정 간격 산정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