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vel time reliabilit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초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 조한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55-165
    • /
    • 2013
  • PURPOSES : Benefits for improvement of travel time reliability obtained from construction of new highways should be considered as a major factor in the feasibility study for highway constru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of estimation for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METHODS : Highway type (urban/rural highway) and traffic flow type(interrupted/uninterrupted) was considered to estimate 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And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mo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as applied to survey the willingness-to-pay of drivers when travel time reliability is improved. Finally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the results of survey and logit model.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was estimated considering travel objectives, time constraint travel and non-time constraint travel. RESULTS: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of business trip is higher than that of non-business trip.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of time constraint travel is higher than that of non-time constraint travel.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in urban area is higher than that in rural area.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is more realistic and proper to estimate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because it reflects the situations of time constraint travel and non-time constraint travel.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개발 및 산정에 관한 연구 (A Measure for Travel Time Reliability)

  • 장수은;강지혜;이승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17-226
    • /
    • 2008
  • 통행시간 신뢰성은 통행자가 예측하기 힘든 통행시간의 변동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통행시간 신뢰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국내 도로 및 철도 이용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원단위를 산정한다. 통행시간 신뢰성 측정 지표로 수정형 완충시간 지표를 제안하며, 신뢰성/비신뢰성의 임계점으로는 로그정규 통행시간분포를 기반으로 한 계획 통행시간과 실제 통행시간의 차이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철도는 상수형 도로는 음의 포물선형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함수를 개발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도로 및 철도 투자사업의 신중한 의사결정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통행시간변화를 고려하는 신뢰도통행배정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Reliability Traffic Assignment Model based on the Travel Time Variation)

  • 문병섭;이승재;임강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78
    • /
    • 1999
  • 교통혼잡이 만연된 도로와 교통혼잡이 발생하지 않는 도로에서는 운전자의 통행행태가 서로 다르다. 교통혼잡이 만연된 도로의 운전자는 자신이 선택할 경로가 혼잡으로 인해 발생할 통행시간변화를 우선 고려하여 경로를 선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시간변화를 고려하는 운전자의 경로선택행위를 모사하기 위하여 통행시간신뢰도를 새롭게 정의하고 신뢰도 통행배정모형을 정립하였다. 통행시간신뢰도는 통행시간변화의 정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함수이며, 통행시간변화는 도로용량과 교통량의 함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통행배정모형을 이용하여 통행시간신뢰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경로를 선택하는 운전자의 통행행태를 모사하였고, 그 해가 Wardrop의 균형상태를 만족시킴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가상 가로망을 대상으로 기존의 통행시간 통행배정모형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일교통량을 이용한 통행시간 신뢰도 평가 (Evaluation of Travel Time Reliability using Daily Traffic Volumes)

  • 오흥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631-638
    • /
    • 2023
  • 본 논문은 일교통량을 이용한 통행시간 신뢰도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희망속도의 도입, 일평균 통행속도와 일교통량간의 관계 설정, 구간 별 통행시간편차를 대표값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지정체가 며칠 동안 지속되는 특성을 가진 고속도로 교통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일평균 통행속도와 일교통량과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구간별 통행시간 편차를 대표값으로 결합하는 방법인 PEM (Point estimate method) 기법을 활용하여 통계적 대표 특성을 추정하였다. 일평균 통행속도와 일교통량의 관계가 설정되었고, 일교통량이 LOS D나 F 이전인 LOSC 부근임 에도 통행시간 신뢰도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이 나타났다. 일교통량만으로도 통행시간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되었고 통행시간 편차의 결합 방법이 표준화 되었으므로 향후의 도로계획과 운영 과정에서 통행시간 신뢰도가 용이하게 구해질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 산정에 관한 연구 (Values of travel time reliability)

  • 장수은;강지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33-142
    • /
    • 2008
  • 통행시간 신뢰성은 통행자가 예측하기 힘든 통행시간의 변동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그 동안 이 주제는 교통학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였다. 본 연구는 특히 신뢰성의 가치에 관하여 살펴본다. 가치 산정을 위한 방법론으로는 한계대 체율법이 제안되며, 기초자료는 선택실험법을 이용하여 통행자의 잠재선호 자료를 구축한다.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수단선택모형을 추정하며, 앞서 언급한 한계대체율법을 적용하여 신뢰성의 가치를 산정한다. 신뢰성의 가치는 통행권 역에 따라 지역 간과 도시부 통행으로 나누고, 통행목적에 따라 업무와 비업무 통행으로 구분하여 제시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도로 및 철도 투자사업의 신중한 의사결정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통행시간 신뢰도를 고려한 통행수단선택모형에 관한 연구 (Modal Choice with Travel Time Reliability)

  • Nam, Doo-Hee;Park, Dong-Joo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6
    • /
    • 2004
  • 통행수단선택에 있어 여행자들은 여행수단의 통행시간 뿐만 아니라 해당 수단의 신뢰도를 함께 고려하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통행시간의 신뢰도는 삼각분포를 기반으로 하는 통행시간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와 최대지체시간(Maximum Delay)으로 정의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Multinomial Logit(MNL)과 Nested Logit 모형이 구축되어 상대적으로 우수한 MNL을 이용한 모형의 결과 통행수단의 신뢰도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통행시간의 표준편차와 최대지체시간의 변수를 사용하여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최대지체시간이 보다 적절한 변수임을 보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통행시간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수상교통수단을 중심으로 서비스 수준의 향상에 관계되는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형의 민감도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정책결정자와 교통계획가들로 하여금 대안선택의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쓰일 수 있다. 민감도 분석을 바탕으로 수상교통을 중심으로 통행시간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수단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책들을 제시하였다.

DSRC 기반 고속도로 통행 소요시간 예측정보 신뢰성 평가 (Evaluation of Travel Time Prediction Reliability on Highway Using DSRC Data)

  • 한대철;김준현;김승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86-98
    • /
    • 2018
  • 한국도로공사는 2015년부터 전국 톨게이트 간 DSRC기반 통행 소요시간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통행 소요시간 예측정보는 고속도로 이용자들의 합리적인 노선 결정을 지원하여 정체상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공공데이터로서 신뢰도가 보장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통행 소요시간 예측정보 평가를 위한 측정지표 기준을 고찰해보았으며,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 노선을 대상으로 소요시간 예측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해 보았다. 더불어, 예측오차에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EDA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노선에서 제공되는 예측정보의 신뢰성은 해당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다수의 구간으로 구성된 장대 노선의 경우 일부 소수의 구간에서 과대 또는 과소 추정오차 발생이 노선 전체의 예측 정보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문제 노선은 상당히 오랜 기간 존치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 중인 거의 모든 고속도로 통행시간 예측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ransit GPS Data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개발 (A Travel Time Estimation Algorithm using Transit GPS Probe Data)

  • 최기주;홍원표;최윤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739-746
    • /
    • 2006
  • Transit GPS Probe를 이용하여 통행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Bus Probe는 Taxi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주기당 통행 시간 정보를 생성하였으나, 링크별 근소한 신뢰수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Bus Probe는 Taxi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신뢰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두 수집원의 운행특성을 고려한, 연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링크통행시간 정보를 생성할 필요성이 있는 바, Bus Probe와 Taxi Probe의 통행시간 비율을 주기당 변수로 생성하여 실시간 (Real-Time) 데이터와 과거(Historical)자료로 보정하는 휴리스틱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알고리즘에서 Real-Time 데이터는 4주기, Historical 데이터는 혼잡도별 평균값이 입력변수로 설정되었으며, 각 설정값은 통계적 기법을 기반으로 도출되었다. 알고리즘의 평가는 서울시내 주요 3개축 구간의 20개 링크를 대상으로 6시간의 실측자료와 동일주기 Transit GPS 데이터의 신뢰도를 사용하였다. 알고리즘 적용 결과 대상링크의 전체평균 신뢰도(71.45%)가 향상되었고, 수집원간 단순 합성한 기존 방법에 비해 모든 링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시간 정보 정확도에 대한 운전자들의 허용수준과 화폐가치 (Drivers' Acceptable levels of the Accuracy of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ir Valuations)

  • 유정훈;최서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39-148
    • /
    • 2012
  • PURPOSES : The accuracy of travel time information is a key measure of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drivers' perception on the acceptable level of information accuracy and their corresponding valuation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executed for collecting driver perception data to capture the expectation level of travel time information provided and their willingness to pay for the information. A Tobit model was adopted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acceptable level, drive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ravel attributes. Since drivers' willingness to pay for accurate travel time inform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ravel lengths, a piecewis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capture the sensitivity of values of travel time information to travel length. RESULTS :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rip purpose and travel time are two dominant factors to determine drivers' acceptable level of travel time information. For business and short trips, drivers want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for non-business and long trips. Drivers' willingness to pay for travel time information also varies depending on their incomes, trip purposes and travel lengths. The results also show that drivers' valuation of travel time information provided is sensitive to their travel length. For longer trips, drivers are less sensitive to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n put less value on the information provided. CONCLUSIONS : Censored nonlinear regression models are developed to estimate drivers' acceptable accuracy for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ir valuation using questionnaire survey data. The findings on drivers perception to the required accuracy of travel time information and their corresponding willingness to pay can be used in the design and deployment of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through high compliance.

Prediction of Planning Time in Busan Ports-Connected Expressways

  • Kim, Tae-G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1-56
    • /
    • 2016
  • Expressways mean the primary arterial highways with a high level of efficiency and safety. However, Gyeongbu and Namhae expressways connected with Busan ports are showing travel time delay by increased traffic including the medium/large-sized vehicles of about 20% compared to those of about 13% regardless of the peak periods. This study, thus, intends to analyze lane traffic characteristics in the basic 8-lane segments of the above-mentioned expressways, compute the planning and buffer times based on travel time reliability, find the lane speed showing a higher correlation with planning time between the lane speeds in the basic 8-lane segments, and finally suggest a correlation model for predicting the planning time in express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