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vel behavior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초

Evaluation on Low-floor Bus Package Layou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Kim, Sun-Woong;Kim, Ji-Yeon;HwangBo, Hwan;Hwang, Bong-Ha;Moon, Yong-Joo;Ji, Young-Gu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59-669
    • /
    • 201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ackage layout guideline for low-floor bus by interview with passengers and observations of their behavior. Background: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introduced the low-floor bus to be more suitable for use by transportation handicapped. Complex issues are involved in providing comfortable services to all people. We are going to suggest package layout guidelines for more comfortable and suitable travel to all people. Method: The two times of survey and video observation sessions were conducted on low-floor buses in Seoul; (1) a finding of potential issues in the first session, (2) a confirming of issues from the last session. Results: The three of major issues were founded in this study; (1) difficulties in supporting body when standing, (2) difficulties in sitting on front wheel pan seat, (3) difficulties in passing through the aisle. Conclusion: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transportation handicapped in using some tools which are used for support body such as roof hand rails, side hand rails, and hand rail rings. Some of design problems were founded to improve from the perspective of ergonomics and universal design. Such differences and design guidelines have to be considered in bus design as well as commercial vehicle. Application: The proposed design guidelines can be used to development of low-floor bus and other public transportations.

장루보유자의 자가 간호정도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 Care and the Problems in Patient with Ostomy)

  • 고윤희;최미라;이명순;한승민;한금영;임은선;안혜진;김귀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95-10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egree of self care and problems in patients with ostomy. The subjects were 80 patients with ostomy who were visiting to OPD in K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were members in the Ostomy Association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04 to September. The research tools were a self care measure for ostomy patient developed by Park (1996) and a problem measure for ostomy patient developed by Lee (1996).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Male (65.8%) and female (34.2%) had the ostomy in the most. Age was the most 61 years old and over. 68.5% of the subjects had managed the ostomy by themselves. 2. The mean score of self care in ostomy was 3.57 score. Hygiene of skin care around ostomy in the behavior of self care was the highest as mean 4.47 score. 3. The problems were as following: 1) expense 2) a declin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3) discomfort in travel 4) worry about ostomy 5) trouble of workplace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are and relig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gion(t= 2.727, P=.008). 5.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are and problem with ostomy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 -.237, P=.041).

  • PDF

서울 수도권 지하철 교통망에서 승객 흐름의 분석 (Analysis of Passenger Flows in the Subway Transportation Network of the Metropolitan Seoul)

  • 박종수;이금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3호
    • /
    • pp.316-323
    • /
    • 2010
  • 서울 수도권의 지하철 교통망에서 승객들의 흐름을 찾아내는 방법을 제안하고 지하철의 주요 링크상의 승객 흐름을 분석한다. 교통망은 정점(vertex), 간선(edge), 그리고 승객 흐름으로 구성된다. 정점은 각 지하철역을 표시하고, 간선은 역과 역 사이를 연결한 지하철 링크를 표시하고, 승객이 승차역에서 하차역까지 최단 경로로 이동하면서 통과된 간선 위에 승객 흐름이 만들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 승객들의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지하철 교통망의 각 링크의 흐름을 계산해내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500만 건 이상의 지하철 승객의 교통카드 트랜잭션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승객 흐름을 찾아내어서, 4개의 주요 지하철 랭크상의 통행 행태는 승객 흐름으로 분석되었고 모든 링크들 중에서 상위 10개 흐름을 테이블로 설명하였다.

복합교통망에서의 동적K최소시간경로탐색 (Finding the Time Dependent K Least Time Paths in Intermodal Transportation Networks)

  • 조종석;신성일;임강원;문병섭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7-88
    • /
    • 2006
  • 본 연구는 복합교통망의 실시간적 운영전략에 활용 가능한 동적 K최소시간경로탐색알고리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적 K경로탐색에 적용되었던 전체경로삭제방안을 동적 최적경로탐색알고리즘에 확장 적용함으로써 복합교통망에서 시간종속적으로 변화하는 수단-링크 통행시간과 수단-링크간의 환승비용에 기초하여 경로를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K경로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특히, 링크기반동적표지를 적용함으로써 수단간 환승시 발생되는 환승이동, 환승대기 및 기타 환승행태를 용이하게 모사하면서 최적해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최적식과 함께 제시된 알고리즘은 복잡도계산을 통해 효율성을 살펴보았으며. 버스와 지하철로 구성된 소규모 가상네트워크에 대해 적용해 봄으로써 알고리즘의 검증 및 활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다수단 확률적 사용자 균형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Stochastic User Equilibrium in a Multi-Modal Network)

  • 김병관;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17-129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의 단일수단이 아닌 다수단 확률적 사용자 균형상태의 민감도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 다수단 교통망에서의 민감도 분석에 대한 연구의 첫 단계로 우선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진 승용차 교통망과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교통망으로 구성된 다수단 교통망을 고려하고자 한다. 연구는 우선 승용차와 대중교통 교통망의 임의의 링크 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 방법을 정립하고 실질적인 링크 변수의 적용으로 링크용량과 대중교통 노선빈도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해본다. 다음으로 승용차 수단분담율과 대중교통 수단분담율에 대한 민감도 분석 방법을 정립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학의 탄력성과 같이 교통시설의 운영 및 정책변화에 따른 통행자의 행태 변화와 운영 및 정책 효과를 분석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협력적 게임의 다수단 교통망 설계 문제를 구성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목의 유입규모와 군집특성을 고려하는 2차원 수치모의 실험 (Two-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 considering cohort size and wood jam characteristic on driftwood)

  • 강태운;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407-4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목의 유입량의 특성과 유목줄기의 길이에 따른 하천흐름과 유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흐름모형인 Nays2DH와 유목동역학모형을 결합하고 이를 활용하여 장애물 근처에서의 유목의 군집특성과 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목의 충돌거동을 모의하기 위해 유목동역학모형에 Dashpot-spring 모형을 추가하여 유목의 충돌에 따른 군집특성도 비교하였다. 모의결과 유목줄기의 길이에 따라 장애물구간의 통과율, 유목의 군집이송, 유목들의 평균위치가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유목의 유입규모에 대해서는 통과율 이외에는 미미한 반응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수공구조물과 유목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유목의 이송과 군집현상 등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수공구조물의 내구성 유지방안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ssessment of deformations and internal forces in the suspension bridge under eccentric live loads: Analytical algorithm

  • Zhang, Wenming;Lu, Xiaofan;Chang, Jiaqi;Tian, Genmin;Xia, Lianfe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0권6호
    • /
    • pp.749-765
    • /
    • 2021
  • Suspension bridges bear large eccentric live loads in rush hours when most vehicles travel in one direction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ridge. With the increasing number and weight of vehicles and the girder widening, the eccentric live load effect on the bridge behavior, including bending and distortion of the main girder, gets more pronounced, even jeopardizing bridge safety. This study proposes an analytical algorithm based on multi-catenary theory for predicting the suspension bridge responses to eccentric live load via the nonlinear generalized reduced gradient method. A set of governing equations is derived to solve the following unknown values: the girder rigid-body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rizontal projection lengths of main cable's segments; the parameters of catenary equations and horizontal forces of the side span cable segments and the leftmost segments of middle span cables; the suspender tensions and the bearing reactions. Then girder's responses, including rigid-body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flections, and torsion angles; suspenders' responses, including the suspender tensions and the hanging point displacements; main cables' responses, including the horizontal forces of each segment; and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pylons' tower top under eccentric load can be calculated. The response of an exemplar suspension bridge with three spans of 168, 548, and 168 m is calculated by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two eccentric live load cases, and their results prove the former's feasibility. The nonuniform distribution of the live loa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shown to impose a greater threat to suspension bridge safety than th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some other specific features revealed by the proposed method are discussed in detail.

통행시간 분포 기반의 전철역 클러스터링 (Metro Station Clustering based on Travel-Time Distributions)

  • 공인택;김동윤;민윤홍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3-204
    • /
    • 2022
  • 스마트교통카드 데이터는 대표적인 모빌리티 데이터로 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정책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의 하나로 전철 이용패턴을 이용하여 전철역들을 분류하는 문제를 다룬다. 전철역의 클러스터링을 다룬 기존 논문들은 이용행태 중 통행량만을 고려하였기에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보완적인 방법의 하나로 통행시간을 고려한 클러스터링을 제안한다. 각 역의 승객들을 출근 시간 출발, 출근 시간 도착, 퇴근 시간 출발, 퇴근 시간 도착 승객들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통행시간을 와이블 분포로 모형화하여 추정한 형상모수를 역의 특성값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특성 벡터들을 K-평균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클러스터링하였다. 실험결과 통행시간을 고려하여 역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면 기존 연구의 클러스터링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올 뿐만 아니라 더 세분화 된 클러스터링이 가능함을 관찰하였다.

Smart Tourism: A Study of Mobile Application Use by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 Brennan, Bradley S.;Koo, Chulmo;Bae, Kyung Mi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identify the mobile phone applications (apps) used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through a pilot study using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Concentrating on tourist mobile app use in a smart tourism environment and categorized through a taxonomy of mobile applications lays the framework and determines the factors boosting tourism smartphone app trends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ethnographic methods and analyzed i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o uncover major themes within the smart tourism app use phenomenon. The researchers coded, counted, analyzed, and then divided the findings gleaned from a pilot study and interviews into a taxonomy of seven logical smartphone app categories. The labeling and coding of all the data accounting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n be recognized and are logically discussed in the implications of the apps used by tourists to assist tourist destinations. More specifically these findings will assist smart tourism destinations by better understanding foreign tourist smartphone app use behavior.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nterviewed in this study exhibited significant mastery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craved free WiFi access, and utilized smartphone apps for all facets of their travel. Findings show major concentrations of app use in bookings of accommodations, tourist attractions, online shopping, navigation, wayfin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earching, language translation, gaming, and online dating while traveling in South Korea.

NetLogo를 이용한 미시적 보행시뮬레이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Microscopic Pedestrian Simulation by using NetLogo)

  • 장성민;이종호;오승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D호
    • /
    • pp.119-125
    • /
    • 2010
  • 많은 개발과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발전한 교통은 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지만, 문제점 역시 발생시키고 있다. 자동차의 증가와 함께 교통사고 역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대기오염 역시 과거에 비해 급격히 나빠지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교통의 발전이 교통의 주체인 사람이 아닌 자동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도시의 환경과 사람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보행자 교통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환경과 같은 복잡계를 모사하는데 유용한 NetLog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와 보행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자료를 서로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유의성을 살펴보고 신뢰도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실제 현장의 데이터는 서로간의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실제 조사 자료와 동일한 형태의 그래프들을 나타내고 있고, 이는 이론적인 보행의 다양한 그래프들과도 비슷한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보행행태를 분석하였는바, 특히, 보도상의 장애물이 보행자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