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 Time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27초

초음파 재활치료 시 PTT와 생리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Physiologic Parameters and Pulse Transit Time on the Ultrasound Therapy)

  • 김성민;최상혁;이만표;최병철;정회승;박성윤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8호
    • /
    • pp.1514-1520
    • /
    • 2007
  • Currently, the signal of the human body is measured with various methods, and a noninvasive investigation of various methods is useful diagnosis method. PTT(Pulse Transit Time) which is noninvasive investigation make use of to estimate the physiological phenomena. PTT has a latent information of cardiovascular system. So we have the experiments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PTT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We examine to correlate to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an age and degree of paralysis on the ultrasound therapy. The 40 patients who has a such paralysis join our experiment, and we obtain the PTT data that normal condition and states after ultrasound therapy. We study that PTT after the ultrasound therapy for patients who have a paralysis was related to an age and degree of paralysis.

Investigation of the Driving Frequency Effect on the RF-Driven Atmospheric Pressure Micro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 Bae, Hyowon;Lee, Jung Yeol;Lee, Hae June
    •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74-78
    • /
    • 2017
  •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frequency (RF) surfac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have been simulat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ratio of the ion transit time to the RF period. From one-dimensional particle-in-cell (PIC) simulation for a plana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frequency driving voltage confines the ions in the plasma because of a shorter RF period than the ion transit time. For two-dimensional surfac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a fluid simulation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F discharges from 1 MHz to 40 MHz. The ratio of the peak density to the average density decreases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and the spatiotemporal discharge patterns change abruptly with the change in the ratio of ion transit time to the RF period.

혈관 통과 시간을 활용한 고정확도 제 1심음 및 제 2심음 자동식별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High-Accuracy Automatic Identification Algorithm for First and Second Heart Sounds Using Vascular Transit Time)

  • 이수민;웨이췬;박희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00-1507
    • /
    • 2021
  •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first and second heart sounds(S1, S2) is the easiest way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However, accurate identific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heart sound includes organ movement, blood vortex, user experience, and noise influenced by subjective judgment. Therefore, an algorithm to automatically identify the S1 and S2 heart sounds based on blood vessel transit time(VTT)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omparing the algorithm developed for S1 and S2 heart sound analysis with the conventional Shannon energy algorithm in 10 volunteers, it has been prove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automatically identify S1 and S2 heart sounds with higher accuracy than existing algorithms.

비정질 셀레늄 필름의 공명 비행시간 조사 (Time of Fight Resonace Investigation of Amorphous Selenium Films)

  • 박지군;박성광;이동길;최장용;안상호;은충기;남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4 No.1
    • /
    • pp.501-504
    • /
    • 2001
  • We used time-of-flight method to analyze transport properties of charge carrier which is produced by X-ray exposure. It is the research of charge transport and specific property of trap that is performed in direct digital x-ray image receptor. But the results shows us different measurement value of electron and charge drift mobility and it is difficult to precise analysis about charge transport properties and trap mechanism. We measured transit time and drift mobility of charge carriers using time-of-flight metho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a-Se thickness change and electric field. We made a testing glass with a-Se of 400 ${\mu}m$ thickness on coming glass using thermoevaporation method and built Au electrode with 300nm, $2{\varphi}$ on both sides of a-Se,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electron and hole transit time was each $229.17{\mu}s$ and $8.73{\mu}s$ at $10V/{\mu}m$ electric field and Drift mobility was each $0.00174 cm^{2}/V{\cdot}s$, $0.04584cm^{2}/V{\cdot}s$.

  • PDF

비정질 셀레늄 필름의 공명 비행시간 조사 (Time of Flight Resonace Investigation of Amorphous Selenium Films)

  • 박지군;박성광;이동길;최장용;안상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1-504
    • /
    • 2001
  • We used time-of-flight method to analyse transport properties of charge carrier which is produced by X-ray exposure. It is the research of charge transport and specific property of trap that is performed in direct digital x-ray image receptor. But the results shows us different measurement value of electron and charge drift mobility and it is difficult to precise analysis about charge transport properties and trap mechanism. We measured transit time and drift mobility of charge carriers using time-of-fight metho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a-Se thickness change and electric field. We made a testing glass with a-Se of 470 ${\mu}{\textrm}{m}$ thickness on corning glass using thermoevaporation method and built Au electrode with 300nm, 2$\phi$ on both sides of a-Se.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electron and hole transit time was each 229.17 $\mu$s and 8.737 $\mu$s at 10V/${\mu}{\textrm}{m}$ electric field and Drift mobility was each 0.00174 $\textrm{cm}^2$/V.s, 0.04584 $\textrm{cm}^2$/V.s.

  • PDF

선호의식데이터를 이용한 철도경로선택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ute Choice Models for Rail Transit using the Stated Preference data)

  • 정병두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8년도 창립기념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10
    • /
    • 1998
  • Rail transport has grown over the Past decades, and rail networks have highly concentrated in urban area, and it is possible for rail passengers to choose a route anions a number of alternative route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route, are required to estimate the rail travel demand of each route. In this paper, we describes route choice model for the transit assig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ute choice(i.e., by relative travel time and fares), and attempts to estimate travel demand of new rail transit based on the slated preference(SP) survey data of Nanko Porttown, which is located in Osaka, Japan.

  • PDF

최적 배차시각 설정에 관한 해석적 연구 (Determining Transit Vehicle Dispatching Time)

  • 박준식;고승영;김점산;권용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7-144
    • /
    • 2007
  • 대중교통 시스템의 운행계획 수립과정에서 배차간격은 중요한 결정 파라미터이다. 일반적으로 통행수요가 많은 첨두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짧고 통행수요가 적은 비첨두시간에는 배차간격이 길다. 이는 시간대에 따라 변화하는 통행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적정한 운행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함인데 수요의 탄력성이 없을 경우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배차계획표를 작성하는 문제를 해석적으로 풀이하였다. 배차간격은 단위 거리당 운행비용에 비례하고 통행수요와 대기시간계수에 반비례한다. 최적 배차간격은 통행수요의 양에 의해 결정되고. 각 배차시각은 수요의 분포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통행수요가 많은 첨두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짧고 수요가 많지 않은 비첨두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일반적인 상식을 뒷받침해주는 이론적 근거가 된다. 기존의 해석적 연구에서는 전체 서비스시간 또는 분할된 서비스시간대의 길이를 균등하게 분할한 각 시각에 차량을 배차할 것을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해석할 경우 이는 분석 시간대 동아의 통행수요가 균일할 경우, 즉 수요가 균일분포를 따를 경우에 국한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해석적 연구를 확장시킨 일반화된 연구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어렵지 않은 계산을 통해 간단하게 배차계획표를 작성하는 방법을 제공한 것에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를 일반적으로 해석할 경우 모든 간격 설정 문제에 적용될 수 있고 간격변수를 시간에서 공간으로 변경할 경우 정류장의 간격, 도로의 간격 노선의 간격 등의 모든 시설물의 간격을 결정하는 문제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확장성을 갖는다.

개에서 콜로마크를 이용한 대장통과시간의 방사선학적 평가 (Radiographic Estimation of Colonic Transit Time with $Kolomark^{TM}$ in Normal Dogs)

  • 조영권;김선칠;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7-241
    • /
    • 2012
  • 대장통과시간은 소화기관 질환의 병태생리에 따른 유형분류와 치료계획을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사람에게는 만성변비환자나 장운동에 문제가 있는 환자를 분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비투과 표지자 Kolomark를 이용한 개에서 대장의 통과시간을 측정하여 정상범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강한 Beagle 11마리(암컷 10마리, 수컷 1마리)를 대상으로 콜로마크를 이용하여 2, 4, 8, 12, 24, 48시간마다 대장에 대한 잔류 개수와 통과 개수를 측정하였다. 대장에서 시간에 따른 콜로마크의 잔류량은 유의하였다. 콜로마크는 투여 후 4시간 후에 대장에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8시간 후부터 잔류량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12시간 경과 후 대장내 콜로마크가 평균적으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투여 후 24시간 후에는 약간의 잔류량이 확인 되었지만 48시간이 지난 후에는 대장 밖으로 모두 배출되었다. 콜로마크를 섭취후 배출까지 평균배출시간은 28.36시간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콜로마크를 통한 개에서 대장통과시간의 정상 값을 확립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변비환자의 치료 및 생리학적 검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리라 판단된다.

이질적 지하철승객 기반의 동적 출발시간선택모형 개발 (도심을 목적지로 하는 단일 지하철노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Dynamic Departure Time Choice Model based on Heterogeneous Transit Passengers)

  • 김현명;임용택;신동호;백승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9-13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망에서 각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과 승객을 동적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동적 지하철차량 시뮬레이션 모형과 동적 지하철승객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통행자 기반의 동적 지하철 출발시간 선택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개별적인 통행자들의 행태를 이질적(Heterogeneous)으로 설정해 기존에 이용되던 통행자간의 동질성 가정을 완화하였다. 또한, 통행자들은 불완전한 정보와 제한적인 합리성을 가진다고 가정하여 보다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간단한 예제 가로망에 대해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행자들을 이질적으로 가정한 경우와 동질적으로 가정한 경우간에 출발시간선택에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통행자들을 동질적으로 가정한 경우 출발시간선택과정에서 기종점에 관련된 특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이질적으로 가정한 경우 개별 통행자의 선호특성이 출발시간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행자들을 동질적으로 가정할 경우 출발시간 선택결과가 비현실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도 보였다. 또, 기존의 확률과정과 달리 선택 차원이나 선택 대안의 수가 많아질 경우 추가적인 고려가 있어야 학습과정을 보다 현실적으로 모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모형에서는 지하철 통행자의 동적 출발시간 선택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인지 및 의사결정과정으로서 추론과정과 귀납적인 선호형성과정을 학습모형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도록 하였다. 각 승객들은 충분한 학습을 거친 뒤에도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보다는 자신의 경험에 따라 형성되는 선호의 영향을 받아 임의적으로 출발시간을 선택하는 문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는 기존의 전통적인 교통수요모형(이용자균형 통행배정모형 등)들에서 주로 이용되는 통행자의 완전한 정보, 합리성 및 동질성 가정 등에 따른 집계적인 수요추정결과가 실제로 나타나는 개별적인 통행행태와 다를 수도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전신 마취 중 심박동변이도와 맥파전달시간 변화의 비교 (Comparison of Heart Rate Variability with Pulse Transit Time during General Anesthesia)

  • 백승완;김태균;김재형;전계록;예수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770-775
    • /
    • 2008
  • Autonomic nervous system of the anesthetized patients can be influenced by the many kinds of stimulations such as intubation, surgical incision and so on. The changes of the heart rates and blood pressures are surrogates of responses of the autonomic system to the external stimulations. Recently, the power spectral analysis of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made it easy to know the fractions and changes of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autonomic systems.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pulse transit time, one of the response of vessels to stimulations,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HRV. Ten patients were examined and average age is 22.5 $\pm$ 11.04, average weight is 63 $\pm$ 14.4 kg. The patients were anesthetized only by sevoflurane inhalation. Pulse transit time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of the time between the R peak of ECG and the characteristic point of the plethysmography. Power spectral density (PSD) of the HRV was achieved in the frequency of 0.04-0.15 (LF) and 0.15-0.4 (HF). Compared to preanesthetic period the values of LF and LF/HF ratio of HRV were decreased (p<0.05). HF and PTT was increased in anesthetic state with sevoflurane. Otherwise, after intubation, the HF was decreased and LF, LF/HF ratio and PTT were increased. PSD of the HRV is well-known for the index of the autonomic nervous activity. Not only HRV but PTT analysis also is a useful index reflecting the autonomic responses to various stimulations. And this analysis is useful in bed side monitoring because the calculating method is simple and it takes shorter processing time compared to the HRV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