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orming to Gam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스프링필드>에 나타난 TV애니메이션 <심슨가족>의 게임화 전략 연구 (A Study about Transforming Strategy to Game of TV Animation as appeared in )

  • 이영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85-109
    • /
    • 2015
  • <심슨가족> 애니메이션은 성공한 장수 애니메이션으로서 28년 간 26시즌에 걸쳐 제작되는 동안 상품 및 다양한 플랫폼의 게임으로도 변용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TV시리즈 애니메이션으로서 <심슨가족>이 가진 특성을 보는데 집중되어 있어, 이들이 가진 매체 전환 전략에 주목한 연구는 거의 없다. 장수한 TV시리즈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관객이 꾸준히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로 변화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있어, <심슨가족>은 특징적인 스토리텔링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EA가 모바일 플랫폼 게임으로 출시,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인기를 유지한 <스프링필드> 게임을 중심으로 <심슨가족>의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게임화될 수 있었는지 그 전략적 특성을 분석하고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슨가족>의 서사적 특성을 먼저 분석한 후, 이것이 공간경영시뮬레이션게임인 <스프링필드>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심슨가족>의 게임화 과정 및 그 전략을 분석한 이 연구가 앞으로 TV 애니메이션이 게임화될 때의 서사적 전략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3-157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수학적 탐구 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기존의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문제 제기, 수학적 추측과 반박, 새로운 수학적 표현 생성 등의 수학적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학적 탐구의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적 게임 변형 활동이 예비교사에게 수학적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WIPI 기반 모바일게임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stem for the Mobile Game based on WIPI)

  • 송은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61-266
    • /
    • 2005
  • 최근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급속한 확산과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서비스 구현을 위한 갖가지 콘텐츠의 개발이 활발하다. 모바일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을 기반으로 기존의 유선 서비스로는 접근이 제한되는 곳까지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기반으로 남녀노소 모두 쉽게 조작하고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동통신 업체들이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한 WIPI로 개발된 게임은 이동통신사에서 동일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기존 게임의 WIPI 전환이 일반화 되고 있는 만큼 신규 WIPI 게임 콘텐츠 개발은 시장성이 높아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 PDF

플랫폼 액션 게임의 특징을 고려한 어포던스 (Affordance in Consideration of a Feature of Platform Action Game)

  • 송승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2-69
    • /
    • 2013
  • 최근 HCI, 제품디자인, 인지과학 등에서 어포던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게임분야에서도 어포던스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여 게이머와 게임 시스템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HCI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사용편의성, 일관성, 유용성 측면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생태심리학에서 제시한 어포던스(Affordance: 행동유도성) 개념을 토대로 판타지, 다양성, 재미와 같은 게임의 특징을 고려한 어포던스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게임의 기본 장르인 액션게임에서 플랫폼 액션 장르의 게임을 대상으로 게임플레이 전 과정에 대한 Think aloud 방법을 적용하여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정 상태로서의 정지, 이동적 어포던스, 변형상태로서의 변형연속, 단일생성, 단일소멸 어포던스, 물리적, 인지적 어포던스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게임을 어떻게 디자인해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디자인 지침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놀이 문화가 대학생 패션에 미친 영향 (Effect of Korea's Entertainment Culture on the Fashion of the College Students)

  • 양아랑;이효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1호
    • /
    • pp.70-8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entertainment culture has influenced the fashion of the college students since the year 2000, and to analyze the fashion trends of those who enjoy their entertainment culture. The entertainment culture is, therefore, perceived in the most sensitive way by the college students, who belong to the latter period of their adolescence, while influencing them. Especially recently,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college students has emerged as a new symbol of the overall fashion. And its effect on the fashion has become conspicuous. The 21st entertainment culture is comprised of "club culture", which is an off-line fad, and "on-line game cul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formative way that the so-called "club culture" influenced the fashion of the college students shows that their overall fashion trends are characterized by a 'caports image' and a 'childlike-amusing image'. Secondly, the formative fashion style, influenced by the so-called "on-line game culture", presents a 'post- structural image' by using heterogeneous material in order to introduce a new point of view, and by transforming the creation style and design. And it also presents a 'homosexual image' by crossing the attractiveness of both genders. This study is baseds on the documents study.

  • PDF

Interactive drawing with user's intentions using image segmentation

  • Lim, Soo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73-80
    • /
    • 2018
  • This study introduces an interactive drawing system, a tool that allows user to sketch and draw with his own intentions. The proposed system enables the user to express more creatively through a tool that allows the user to reproduce his original idea as a drawing and transform it using his body. The user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the artwork by studying the unique formative language of the spectator. In addition, the user is given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 creative process by transforming arbitrary drawing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his gestures. Interactive drawing systems use the segmentation of the drawing image as a way to extend the user's initial drawing idea. The system includes transforming a two-dimensional drawing into a volume-like form such as a three-dimensional drawing using image segmentation. In this process, a psychological space is created that can stimulate the imagination of the user and project the object of desire. This process of drawing personification plays a role of giving the user familiarity with the artwork and indirectly expressing his her emotions to others. This means that the interactive drawing, which has changed to the emotional concept of interaction beyond the concept of information transfer, can create a cooperative sensation image between user's time and space and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multimedia society.

기호학 적용을 통한 의 의미 분석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miontics)

  • 곽이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24
    • /
    • 2014
  • 기호학은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기호의 구조와 기호의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게임을 분석하기에 충분하다. '게임을 한다'는 것은 기호학적으로 보아 게임을 읽는 것, 즉 해석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을 만든 제작자는 '발신자', 게임은 '텍스트', 게이머는 '수신자' 그리고 게이머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은 '컨텍스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게임 대부분은 다변수적 서사형태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게이머가 제작자의 의도대로 게임을 해석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에 본고는 제작자의 의도와 게이머의 반응이 동일한 콘솔게임 (2001)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기호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줄거리 분석, 시퀀스 분석을 통해 이야기 프로그램을 정의하였고, 의미론적 분석을 위해 행동자 모델, 기호 사각형 모델을 적용 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결, 도움, 협조, 지배의 코드를 찾을 수 있었으며 비주체적인 인물이었던 이코와 요르다가 주체적 인물로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는 비주체적 삶을 살던 주인공들이 삶을 획득하는 이야기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인터넷 중독 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인지행동요법: 생리적 관점에서의 이론적 기틀 및 활용에 대한 고찰 (Review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Internet Addict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with Physiological Perspectives)

  • 김나현;홍승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219-22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physiological mechanisms of internet addiction and to construct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ternet addicts. Methods: We searched for relevant literature in the PubMed and RISS databases using the terms "internet addiction", "internet game addiction", "internet abuser", and "online game". Only English, full-text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15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of physiological indicators of internet addiction. Finally, 12 articles were selected for review. Results: The theoretical framework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proposes that excessive internet use itself may induce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with an increase of stress-related hormones and neurotransmitters. Prolonged abnormal responses of these physiological features produce negativ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prefrontal cortex, which is mainly involved in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s. These changes may result in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As a stressor, excessive internet use leads to transforming voluntary use into involuntary, habitual use and thus promotes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ddiction. Conclusion: The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encompasses cognitive processes that may contribute to the effects of internet use-induced physiological stress on internet addiction. We believe that this framework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gnitive behavioral strategies for internet addicts.

Elimination of the Red-Eye Area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 Kim, Kwang-Baek;Song, Doo-He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131-134
    • /
    • 2009
  • The red-eye effect in photography occurs when using a photographic flash very close to the camera lens, in ambient low light due to in experience. Once occurred, the photographer needs to remove it with image tool that requires time consuming, skillful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extract and remove such red-eye area automatically. Our method starts with transforming ROB space to YCbCr and HSI space and it extracts the face area by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The target red-eye area is then extracted by applying 8-direction contour tracking algorithm and removed. The experiment shows our method's effectiveness.

농업 디지털 트윈 구축 전략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Construction Strategy of Agricultural Digital Twins)

  • 김한재;도준영;이용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9-83
    • /
    • 2024
  • Digital Twin technology is rapidly transforming various industries by providing comprehensive virtual models that replicate physical objects or processes. In the context of agriculture, digital twin can be a game-changer. This technology can help in creating precise simulations of farming scenarios, thereby enabling farmers to make data-driven decisions and optimize farm operations. The potential benefits include improved crop yields, resource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win technology in agriculture poses challenges, such as data management issues and the need for robust IoT infrastructure. Despite these hurdles, the future of digital twin in agriculture looks promising, with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s aimed at overcoming these obstac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