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er of Effect of Learning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9초

Food Detection by Fine-Tuning Pre-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Noisy Labels

  • Alshomrani, Shroog;Aljoudi, Lina;Aljabri, Banan;Al-Shareef, Sar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182-190
    • /
    • 2021
  • Deep learning is an advanced technology for large-scale data analysis, with numerous promising cases like image processing, object detection and significantly more. It becomes customarily to use transfer learning and fine-tune a pre-trained CNN model for most image recognition tasks. Having people taking photos and tag themselves provides a valuable resource of in-data. However, these tags and labels might be noisy as people who annotate these images might not be expert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noisy labels on fine-tuning pre-trained CNN models. Such effect is measured on a food recognition task using Food101 as a benchmark. Four pre-trained CNN models are included in this study: InceptionV3, VGG19, MobileNetV2 and DenseNet121. Symmetric label noise will be added with different ratios. In all cases, models based on DenseNet121 outperformed the other models. When noisy labels were introduced to the data, the performance of all models degraded almost linearly with the amount of added noise.

학생 중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udent-Centered Storytelling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강부미;전경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657-66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학생들의 스토리텔링을 적용해보고,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았다. 연구 대상은 4학년 22명(남 10, 여 12)이었고, 주제는 열전달과 우리 생활 단원의 11차시 분량이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학습한 과학 내용을 적용하여 이야기를 잘 완성하기도 하였으나, 이야기를 쓰거나 발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대응 표본 t-검정 결과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이 이전의 과학 수업에 비해 주의, 자신감, 만족감 등의 과학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과학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후속 연구로는 다양한 이야기 자료나 스토리텔링 전략의 개발이 요구되고, 그 효과에 대한 연구도 다각도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 PDF

Variability of Practice Effects in Transfer of Photoelectric Rotary Pursuit Task

  • Jeon, Hye-Se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11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ability of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motor skill of closed loop type tracking task using Rotary Pursuit, an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bilateral transfer effect to the non-dominant hand following practice with the dominant hand. Twelve healthy volunteer students (5 males and 7 females, aged 25 to 37)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nstant practice group and a variable practice group. A photoelectric rotary pursuit apparatus with stop clock and repeat cycle timer by Lafayette Instrumentation Co. was used for this study. Rotary pursuit is a closed loop task in which a subject attempts to keep a photoelectric stylus on a lighted target in motion. Subjects performed the clockwise circular pursuit task while standing. Experimental procedure was divided into three sessions, namely, pre-test, training, and post-test. The constant group practiced all 60 trials at 30 rpm. Variable practice group did a varied practice session with 15 trials at speeds of 20 rpm, 26 rpm, 34 rpm, and 46 rpm. No one in either group practiced with their non-dominant arm. A Mann-Whitney test and a Wilcoxon Signed Ranks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different training effect between groups on the post-test with the dominant hand. However, bilateral transfer effect of rotary pursuit task between hands was demonstrated. Possible mechanisms are discussed.

  • PDF

창업기업 QFD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학습 전이의도에 관한 연구 (Impact Factors of KS-QFD Training Participants of 3 years over Startups on Transfer Intension)

  • 황보윤;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6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훈련 성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창업기업은 3년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QFD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기업들의 훈련 참가자들이 학습 전이 의도 즉 학습후 적용하고자하는 동기 부여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의도는 3년 이상 창업 기업들이 본 훈련 과정을 통해 현재의 매출액을 5배 이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들에게 실질적으로 사업성과에 도움이 되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기획 및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는 학습자 준비상태, 훈련내용 타당성인지로 하였고, 매개변수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종속변수로는 학습 전이의도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학습자 준비상태는 학습 전이 의도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완전한 매개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내용 타당성 인지는 학습 전이 의도에 직접효과와 함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부분 매개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현실에 접목하기 쉽게 실천중심으로 설계된 훈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준비 상태에 관계없이 학습자에게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이를 통해 학습 전이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실험 대상 프로그램이 KS-QFD 프로그램이 창업기업들에게 매우 실용적이고도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임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대학 e-러닝 학습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Practical Study on Learning Effects of University e-Learning)

  • 김준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9-48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의 e-러닝에 관한 개념적 연구 결과 및 실증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 e-러닝 교육의 최우선 목표라고 할 수 있는 학습자에게 학습의 흥미를 지속시키고,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유형화하여, 이를 실종적으로 검정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어떠한 요인이 e-러닝 학습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함께 분석하였다. 그리고 e-러닝 학습효과라는 결과 요인을 하나의 단일적으로 측정하였던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학습만족 및 학습전이, 그리고 학습추천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e러닝 학습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 요인을 크게 학습내용과 교수설계, 사용자 편의성 등 3개의 요인으로 유형화하여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습대용 요인은 학습주제와 목표, 지식정보, 일관성과 적절성 등 3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교수설계 요인은 흥미와 공감성, 상호작용, 내용제시, 설명전략 등 4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편의성 요인은 화면구성, 내용 및 진도확인 등 2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내용과 교수설계, 그리고 사용자 편의성 등 3개의 요인 모두 e-러닝 학습효과(학습만족, 학습전이, 학습추천)에 유의한 영향용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e-러닝 학습만족에 있어서는 학습내용 요인의 학습주제와 목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만족을 높이기 위해선 학습주제와 목표는 학습자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해야 할 것이며, 평가가 가능한 학습목표로 선정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전이에 있어서는 교수설계 요인의 내용제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해선 강의내용의 상호관계와 제시순서가 학습을 촉진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조화시켜 학습자에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습추천에 있어서는 교수설계 요인의 흥미와 공감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가 시의적절한 미디어를 잘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최대한 유도시키며,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공감을 가질 수 있게 강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atisfaction in Distance Education)

  • 이재은;유병민;박혜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233-243
    • /
    • 2015
  •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differences of satisfaction followed by learning and teach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in a distance educ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 are classified as an entrance type, sex, age, new/transfer of distance university learners. Perceived presence is classified with learning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is classified with the directivity of activity, goal, and study based on the reason of participating in classes in a distance university. And this research tried out to find the effect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perceived presence,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 on satisfaction. It means sex, age, and entrance type did not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with the level of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 satisfaction has meaningful differences. It means that students who had higher learning presence perceived of distance university showed higher satisfaction, and so as in teaching presence perceived on satisfaction. Third, factors effecting satisfaction based on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differ with types of motiva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level of activity directivity study participant on satisfaction, but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f goal directivity and of study directivity in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t was the learning presenc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of adult learning.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일터활동 분석 (An Analysis of School and Work Activity Systems Affecting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Graduate School Student-Workers)

  • 김지영;장원섭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67-190
    • /
    • 2018
  • 최근 계속교육을 통한 직업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과 학습을 병행하며 나타나는 학습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일터활동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학습과 전이를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토대로 학교와 일터에서의 활동체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대학원에 재학하며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발달적 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 13명의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했다. 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 총 288명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활동요소에서 경쟁력 강화, 전공에서의 역할, 교수와의 상호작용 변수와 일터활동요소에서 객체인 관계향상, 자아실현 변수는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활동요소에서 수업참여의 적극성, 전공에서의 역할, 교수와의 상호작용 변수와 일터활동요소에서 자아실현, 직장에서의 역할, 상사와의 상호작용, 업무시스템의 체계화는 발달적 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전이를 촉진시키기 위한 학교와 일터에서의 노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블록형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학습으로의 전이 (Transference from learning block type programming to learning text type programming)

  • 소미현;김자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5-68
    • /
    • 2016
  •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단원을 나선형으로 조직하면서 학교급 별로 블록형과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알고리즘 작성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도움을 주는지, 블록형 프로그래밍 학습이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후행학습에 긍정적 전이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블록형과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학습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정된 방법으로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것은 학습자들의 사고 표현을 가로막을 수 있지만 블록형 프로그래밍 학습은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학습에 긍정적 전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부터 계열성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편마비환자의 환측하지 체중부하율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외적 되먹임 빈도 (Effective Frequency of External Feedback for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ading on the Affected Leg of Hemiplegic Patients)

  • 노미혜;이충휘;조상현;김태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10
    • /
    • 1998
  • In motor learning, the relative frequency of external feedback is the proportion of external feedback presentations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practice trials. In earlier studies,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ading on the affected leg of hemiplegic patients, external feedback was continuously produced as the patient attempted to perform a movement. This feedback was produced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However, recent studies in nondisabled populations have suggested that compared with 100% relative frequency conditions, practice with lower relative frequencies is more effective. My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100% relative frequency conditions with 67% relative frequency conditions to determine what effect they exerted on motor learning for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ading on the affected lower limbs of patients with hemiplegia. Twenty-four hemiplegic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practiced weight transfer motor learning on a machine. During practice, visual feedback was offered to all subject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full visual feedback for patients in group one but only 67% visual feedback for patients in group two. The percentage of loading on the affected leg was recorded four times: before learning (baseline value), immediately after learning, 30 minutes after learning, 24 hours after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100% visual feedback group, the percentage of loading on the affected leg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testing modes over the baseline value. 2. In the 67% visual feedback group, the percentage of loading on the affected leg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measurements. 3. Immediately after learning, the learn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was significantly greater after both the 30 minutes delay and the 24 hours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33% reduction in the provision of visual feedback may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f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ading on the affected leg in patients with hemiplegia.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개념도 활용의 효과 (The Effects of Using Concept Mapping as an Instructional Tool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강석진;이유영;고한중;전경문;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37-43
    • /
    • 200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sing concept mapping as an instructional tool on 4th graders' achieve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es. Two classes (38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were respective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Students were taught about "expansion of matter by heat" and "heat transfer". These topics were chosen because they require students to understand more concepts as well as relationships among them. A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 and an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es test were administered as pretests. A researcher-made achievement test,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es test were administered as posttes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using concept mapping in 4th-grade science classes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hievement thoug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the subcategory of knowledg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using concept mapping was found in the scores of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es t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