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ffic control

검색결과 2,919건 처리시간 0.032초

도착항공기 착륙순서에 관한 조언정보가 관제사 업무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vice Information for Arriving Aircraft Landing Order on Air Traffic Controller's Work Efficiency)

  • 김세연;채홍아;정현태;김휘양;이금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1
    • /
    • 2018
  •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advice information for arriving aircraft landing order on the air traffic controller's work efficiency. The air traffic control simulator used in the experiment was modeled on the basis of the aircraft parameters from BADA, gamma-command model and the 4-dimensional trajectory using the Bezier curv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dvice information was helpful for the performance of the work for users who did not have the air traffic control training.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users who have experience in air traffic control training, the work efficiency was lowered when the advisory information that does not reflect the user's intention is provid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through advice information can be limited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air traffic controllers and the complexity of the air traffic situation.

Cell Transmission Model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환경 아래에서의 고속도로 교통 예측 및 최적 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Prediction and Optimal Traffic Control System for Highway based on Cell Transmission Model in Cloud Environment)

  • 탁세현;여화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8-80
    • /
    • 2016
  • 자율주행 차량은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사람과 유사한 수준으로 실시간 도로환경 변화를 인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절한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영상센서는 차선인식 기능을 통해 주행방향 결정 및 차로이탈 방지 등 조향제어 수행을 위한 인지에 활용된다. 하지만 관련 성능기준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와 연계된 '운전자 보조' 역할에 초점이 맞춰져, 자율주행시 요구되는 '주체적 상황 인지'를 위한 성능조건과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시 차선인식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상황이 지속될 때 차량 진행방향과 도로 선형방향의 불일치에 따라 발생되는 횡방향 차로이탈을 차량의 이동 궤적을 기반하여 추정하고, 안전성 확보를 위한 차로이탈 허용 수준 및 영상센서 성능수준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승용차 조건에서 차선인식 기능이 1초 이상 연속적인 오작동을 일으킨다면 차로이탈에 의한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차선인식 기능 평가 시 현재 기준보다 큰 횡방향 차로이탈상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상교통관제 정보망 구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Network for Marine Traffic Control)

  • 박성태;이은방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93-105
    • /
    • 1999
  • In Vessel Traffic Service, the management information on marine traffic control is almost transported by VHF. It is so difficult to exchange a lot of the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marine traffic control exactly and in real time. Aiming at improved visualized data transporting network, we examine the methods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the data on marine traffic controls. In this paper, we design the information networks established by broadcasting method and by internet method using home page in order to manage marine traffics in Masan port.

  • PDF

ABR 서비스에서 퍼지 트래픽 제어 방식 (The Fuzzy Traffic Control Method for ABR Service)

  • 유재택;김용우;이진이;이광형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7호
    • /
    • pp.1880-1893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ATM 링크의 이용을 향상을 위해 ABR 서비스에서의 퍼지 트래픽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ABR 서비스에서 전송률 제어 방식인 EPRCA를 개선한 것으로써 송신원의 전송률 제어값을 스위치단의 버퍼량과 버퍼 별화율로 퍼지 추론을 실시하여 얻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ATM 트래픽 제어에 적용된 퍼지, 신경 망의 경우와 ATM의 ABR 서비스 제어 방식인 EPRCA 방식을 알아본 후, 퍼지 트래픽 제어 방식의 모형과 알고리즘, 퍼지 트래픽 제어기 등을 연계한다. 퍼지 트래픽 제어 기에서는 사용 소속함수, 퍼지 제어 규칙,max-min 추론 방법 등을 설계한다. 본 논문 에서 제안된 방식은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EPRCA 방식과 퍼지 트래픽 제어방식의 링크 이용율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우수성을 검증한다. 모의 실험 결과 퍼지 트래 픽 제어 방식이 EPRCA 방식보다 송신원의 정규 분포 모델의 경우 2.3%, MMPP 모델의 경우 2.7%의 링크 이용률 개선을 얻었다.

  • PDF

항공교통관제사를 위한 국내 비행장 관제시뮬레이터 구현 방향의 연구 (The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 Aerodrome Traffic Control Simulator for the Air Traffic Controller)

  • 홍승범;김도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14-1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비행장 관제 시뮬레이터 구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살펴본다. 비행단계 중 비행장에서의 이착륙 단계는 항공 안전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시 다루어져야 한다. 그 이유는 전 세계 항공기 사고 및 준사고의 60%이상이이 단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터의 평가 기준인 실습 유형, 장비 형태, 그리고 현실성의 충실도를 통하여 국내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터의 구현 단계를 평가하고, 현업에 종사하는 항공교통관제사의 설문을 통해 현재 운용 중인 시뮬레이터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그 해결방안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개선된 HI-FI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터의 구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심리학으로 바라본 항공교통관제사 인지능력 (A Review of Cognitive Aspects of Air Traffic Controllers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 권혁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41
    • /
    • 2014
  • Aviation safety issues have drawn much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ue to the growing demand for air travel. Although it is a widely accepted fact that human-related factors are closely linked to aviation safety, there is lack of understanding what roles those factors play in aviation, in the field of air traffic control in particula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role of air traffic controllers significantly affects air safety. This review will discuss cognitive aspects of expertise in air traffic control including time perception, working memory, reasoning, perception, attention, scanning/vigilance, decision making, and planning with examples of how each aspect can be dealt with in performing air traffic control duties. The relevant studies in psychology have also been briefly reviewed in the interest of enhancing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air traffic control tasks and the related human factors. This review concludes with a call for more in-depth research into cognitive factors in air traffic control.

퍼지추론을 적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The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Applying Fuzzy Reasoning)

  • 김미경;이윤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77-987
    • /
    • 1999
  • 현행 교통 신호 제어기는 사전에 계획된 신호 시간 체계 또는 시간대별로 선택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호 체계는 교통 상황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혼잡 상황과 같은 문제들은 이진 논리로써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통 혼잡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신호기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제어기는 불확실성 및 퍼지환경에서 작동한다. 따라서, 도로의 혼잡 상황을 퍼지 논리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퍼지 추론기에 의해 신호 시간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신호기 제어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페트리네트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 PDF

ATM망에서 다중 임계를 이용한 트래픽 스케줄링 연구 (Traffic Scheduling using Multi - Thresholds in ATM Networks)

  • 김종은;안효범;조경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7호
    • /
    • pp.1781-1787
    • /
    • 1997
  • 최근에 네트워크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다양한 대역폭을 요구하는 응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유연성이 뛰어난 통신 프로토콜로서 ATM을 사용하게 되었다. ATM은 다양한 대역폭을 요구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나, 셀의 손실과 지연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M망에서의 셀 손실과 셀 지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트래픽 제어기법을 분석하고, 클래스별로 버퍼의 크기를 할당하는 통합 버퍼 관리기법과 트래픽 특성에 따른 다중 임계를 이용한 ATM 스위치 모델과 트래픽 제어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연구와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을 비교하여 성능향상을 분석하고 검증한다. 분석 결과, 제안된 기법은 평균 셀 손실율의 측면에서 버퍼 크기에 비례하여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 PDF

교통신호제어기 표준 규격 개발 (Development A Standard of Traffic Signal Controller and Expectations of Standardization)

  • 정준하;안계형;오영태;고광용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1-43
    • /
    • 2006
  •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과 센터 온라인 신호제어를 기본기능으로 하는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가 개발되어 2005년 3월부터 발효되었다. 발표된 규격은 가로구간의 교통상황을 수집하고, 이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며, 적절한 교통상황별 신호시간을 부여받아 신호등을 제어하는 지능적인 교통신호기의 표준 사양과 기능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과거의 교통신호기들은 부품이 호환되지 않고 제어기능과 통신방법이 상이하여 도시별로 호환되지 않았으며 유지관리의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증가시켰다. 또한 모순검지방법 등 일부 교통안전에 중요한 기능이 비합리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본 규격에서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하드웨어 호환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모순검지방법을 보완하였으며, 관제센터와의 통신규약을 규격에 포함하여 모든 도시의 센터에 호환되도록 하였다. 개발된 규격은 시제품 제작과 시험과정을 거쳐 결정되었다. 본 규격으로 제조자에 비 의존적인 유지보수체계가 가능해지며 저렴하고 빠른 고장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일관된 정보처리 및 제어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센터설치 업체의 지역선점효과가 점차 사라질 것이며, 지역별 교차로의 교통통제방법이 일원화되어 표준적이고 안전한 교통제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