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market

검색결과 1,428건 처리시간 0.028초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대안 모색: 경상북도를 사례로 (An Assessment of the Revitalization Policy of Traditional Market and Its Alternative: A Case Study of Gyeongbuk Province)

  • 이재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4-318
    • /
    • 2007
  • 본 연구는 경상북도를 사례로 1990년대 말부터 추진한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의 효과를 평가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시장의 시설현대화와 경영현대화사업의 효과에 대한 정성적 평가결과, 각각 그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의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이 재래시장의 공간경쟁력 강화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래시장의 공간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둔 대안적인 재래시장 활성화 정책을 모색 제안하였다.

  • PDF

The Impact of Traditional Market Properties and Relationship Quality on Customer Value : Approach from the viewpoint of the Means-end Chain Theory

  • Cho, Hee-Young;Han, Sang-Ho;Yang, Hoe-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3-19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quality and/or loyalty, from the viewpoint that merchants and consumers could develop the traditional market. It reorganized variables to find the conditions of values that could stimulate consumers' motives to revive the traditional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mployed 202 copies of effectiv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data of Yang & Ju (2012), to conduct correlation, regression, and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 The results emphasized product and store atmosphere as store selection attributes to consider in the minimum error correction (MEC) model; service factor was not significant. Further, consumers valued relationship quality in the test of mediated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store selection attributes, including consumers' social and emotional value. The relationship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umers' value in traditional markets that needed to improve and develop using several variables.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connections between attributes, consequences, and values using the causal relation model, to generate an optimal model based on a pract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oposed ways to obtain consumer-related information easily.

Sugges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Hanok)

  • Lee, Yunsub;Jin, Zhenhui;Seo, Nuri;Jung, Youngs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ummit Forum o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
    • pp.159-166
    • /
    • 2017
  • Recently, the wooden structure has been revived again as an eco-friendly structure technique. It is the counterattack of the wood material, which has become more recognized as a finishing material pushed by the concrete material in the rapid growth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is is a tendency of the construction market in the whole country. Perhaps this is a tendency to appear more strongly in Korea. It could be seen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with Korean's and the advanced constructed case of large-scale wooden structures in overseas. National wooden buildings show own characteristics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materials, and member dimensions of wood structures by country, which could be seen as a result of continuously developing their own technology. However, in Korea, despite its unique wooden structure and technology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ing), it has not been developed continuously and treated it only as a living building exhibit.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only one percent of the building is constructed with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echnology. Therefore, there are various efforts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technology, but it still does not reach the level of advanced wooden technology abro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ooden building market were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 Korean wood structure tech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Hanok construction were analyzed through quantitative criteria to define the main development tasks for Hanok development to propose the long-term development path.

  • PDF

지역입지특성을 반영한 전통시장의 개선방향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olicy for Tradtional Market Reflecting the Locational Charateristics)

  • 이민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67-275
    • /
    • 2013
  •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Seoul, small Conventional markets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living of citizens and becoming an important role for organization of the urban functions in the residential area. For this study, 32 Traditional Markets located on Seongbuk, Kangbuk and Dobong-Gu, were analyzed based on GIS, and within 500m related areas of market were categorized and researched by the level of urban infrastructure stat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following three topics, partially theoretical review, general consideration and case studies.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in need of improving urban infrastructure in conventional market areas, which has been identified during the research of urban infrastructure. Also, the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prehensive plans by timing and phase in order to improve commercial environment of the areas related while providing essential urban infrastructure.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ntional market regeneration policy, physical conditions of the areas concerned should be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plans and urban infrastructure elements.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전통시장 선택속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의 조절효과와 소비자 가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Choice Attribute of Traditional Market and Relationship Quality: Moderating Effects of Consumption Emo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s Value)

  • 이영철;양회창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42
    • /
    • 2012
  • 본 연구는 유통시장의 개방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유통 업태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장에 관심을 가진 연구이다. 특히, 미래의 소비자인 대학생들의 관점에서 시장에 대한 점포선택속성과 시장에 대해 갖는 소비감정,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의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점포선택속성의 3개 요인의 관계품질의 정도와 함께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 간을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소비감정의 정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점포선택속성과 관계품질 간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 가치의 매개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포선택속성 중 서비스 요인과 광고 요인이 관계품질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대학생들이 시장에 대해 신뢰하고 만족하는 요인이 서비스와 광고임을 의미하고 있다는 것과 시장의 점포분위기가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의미한다. 추가적인 분석을 하지 않아 속단할 수는 없지만 대학생들이 갖는 시장이라는 이미지의 고정관념은 관계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 추정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들은 시장의 점포선택속성에 있어 서비스 요인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선택하여 시장이 대형점포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대형점포들의 셀프서비스 방식이라는 한계점을 넘어 서비스 요인의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 각각의 관계에 대한 소비감정의 조절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소비감정의 정도는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의 인과관계에 영향이 없음을 의미하며,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의 인과관계에도 영향이 없음을 뜻한다.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어 추가 연구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가치는 서비스 요인과 관계품질, 광고 요인과 관계품질 모두에 완전 매개함을 나타내 시장과 소비자의 관계품질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시장이 소비자들에 대한 관계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미래의 잠재고객인 대학생들에게 시장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의미한다. 말미에는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전통시장 상인회의 조직특성이 사회적 자본과 상인회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Merchant Associations on Social Capital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raditional Markets)

  • 김민숙;신택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4호
    • /
    • pp.27-56
    • /
    • 2016
  • Korean traditional markets have been struggling of late as big-sized superstores and SSM(Super Supermarkets) are thriving in the market. They have therefore upgraded their facilities and undertaken management modernization actively to overcome the threat to traditional markets and ensure their competitiveness; however, the effect does not appear to be verif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arket merchant association on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is paper investigates a merchant association'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modernization of business activities of the traditional markets and the influence on their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s the traditional market by evaluat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This study consists of four hypotheses: The first hypothesis relates t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 merchant association and social capital. The second and third hypotheses, respectively, relate to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a merchant association and the merchant's satisfaction and that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a merchant associ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ast hypothesis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 merchant association and the merchant's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s a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above factors and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by using the PLS(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 as one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arket merchant associa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capital. However, only two sub-hypotheses are not significant; these insignificant hypotheses rel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merchant's entrepreneurship and structural capital and that between a merchant's entrepreneurship and cognitive capital. Second, the social capital of a merchant associatio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a merchant association and the merchant's satisfaction is mostly significant. However, one of the sub-hypotheses,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capital and a merchant's satisfaction is not exceptionally significant. Lastl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 merchant association affect the merchant's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rough our extensive study, this paper found that a merchant association'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arket significantly affect soci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ocial capital.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key traditional market, an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is primarily required. Systematic management and investment pertaining to these two factors will be the first consideration for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Factors on Management Performance)

  • 권세용;강미례;김형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07-31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시장의 서비스품질, 청년몰 조성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 그리고 전통시장 활성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전통시장의 자생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특히 최근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급속하게 생겨나고 있는 청년몰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을 선행요인으로 포함시켜, 청년몰 조성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성 또한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익산시 소재 5개 사설 전통시장의 소상공인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기술적 통계, 신뢰성, 타당성을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청년몰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는 정책이지만, 본 연구 결과 전통시장 내 청년몰 조성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통시장 활성화 및 경영성과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청년몰 조성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창원시 재래시장의 실태 분석 (Analysis of Trends of Traditional Markets in Changwon)

  • 박영근;김판준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1-23
    • /
    • 2001
  • 국내 유통시장의 개방에 따른 유통산업구조의 변화는 창원시의 유통산업에도 커다란 영 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탑마트, 아람마트 등의 할인점에 이어 최근에 개장한 대형 유통매 장인 홈플러스의 입점과 12월 개점 예정인 룻데 마그넷은 기존의 일반 재래시장의 상권을 상당히 잠식하여 창원시의 재래시장은 저가판매라는 고유의 장점을 상실해 가고 있으며, 또한 전근대적인 유통활동, 영세성, 비효율적 경영, 조직화 협업화 부족, 시설의 낙후성 등 으로 경쟁력을 상실해 가고 있다. 이 같은 재래시장의 침체와 위축은 지역 영세상인의 생계문제와 창원시의 경제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창원시 재래시장의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태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기로 한다.

  • PDF

전북 일부 지역 대학생들의 전통시장 음식 이용 현황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Satisfaction and Usage of Traditional Market Food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Jeonbuk Area)

  • 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23-131
    • /
    • 2017
  • 본 연구는 전통시장에서 음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전통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음식의 이용 현황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시행하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설문지에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회수된 389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6부를 제외한 343부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통시장에서 주로 구입하는 음식은 호떡, 떡볶이, 순대 등의 순으로 높았고 주로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음식을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시장에서 음식 구매 시 1회 지출금액은 모든 거주형태에서 4,000~6,000원 미만의 비율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거주형태에 따른 중요도 차이 분석 결과 음식의 맛, 음식의 위생, 판매가격, 그리고 식재료의 품질은 모든 거주형태에서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로 중요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거주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음식의 종류는 자취의 경우 3.56으로 자택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전통시장 음식의 중요도와 만족도 속성에 대한 거주형태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는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만족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큰 속성은 음식의 위생, 식재료의 품질, 원산지 표시, 판매가격 등의 항목 순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전통시장 음식 속성에 대한 격자 모형분석(ISA) 결과는 2사분면에 속해있었던 음식의 위생과 식재료의 품질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 음식의 위생과 식재료의 품질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시장 음식 관련 종사자들의 개인위생, 식품위생, 그리고 식품안전 등에 대한 현장 실무에 필요한 교육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인과 전통시장 관계자 측의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에서의 행 재정적 지원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전북 일부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이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대학생 외의 젊은 소비자들을 포함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전통시장 음식 속성에 대한 선행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진행되어 속성 문항 개발에 한계가 있었으며, 향후 이를 보완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앱의 UI 디자인 조사 (UI Design Survey of Mobile App for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 이주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7-282
    • /
    • 2015
  •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IDC)에 따르면 2010년 4분기에 세계 스마트폰 판매대수가 사상 처음으로 PC판매대수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계기로 스마트폰의 모바일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국내에서도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으로 2012년 하반기부터 전국의 전통시장에 관한 정보를 한 눈에 찾아볼 수 있도록 전통시장 관련 홈페이지를 확대 개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런 사회적 환경과 모바일 환경의 변화로 젊은 사람이나 지역 관광객 또는 일반 시민들의 전통시장 방문 횟수를 높이고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으로 기존에 통용되고 있는 국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조사한 후, 사용편의성과 방문 및 접속률을 높여 지역과 시장 홍보를 담당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UI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