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Choice Attribute of Traditional Market and Relationship Quality: Moderating Effects of Consumption Emo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s Value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전통시장 선택속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의 조절효과와 소비자 가치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1.12.09
  • Accepted : 2012.01.13
  • Published : 2012.01.30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raditional market's competitiveness in Korea. Ever since the Korean retail industry had been opened to the big conglomerates,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faced very serious competition from various types of distribution channels.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another way to help the Korean traditional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 students who are consumers of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store choice attributions, consumption emotion, consumer's value, and relationship q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and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data were collected from 126 college students in Whasung, Gyeonggi Province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 .263, p < .01) and advertising (= .188, p < .05)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quality. However, store atmosphere (= .176, p = .052)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relationship quality. The result that students have stereotypes about the atmosphere of traditional markets and are therefore excluded from their store choice attributions can be expected. Second, college students selected service division (= .230, p < .05)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traditional market's store choice attributions. This result reflected that enhancing service strategy would strengthen the traditional market against discount stores. The process of product selection by customers in discount stores is based on the concept of self-service. However, traditional market traders can make various contacts with their customers. If traditional market traders can enhance various service factors just like in the process of product selection, it will effect strong competitive advantages. Third, it is also revealed that consumer's value exhibit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and advertis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traditional markets must be considered for consumer value. Becaus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values refer to "enduring belief that … specific mode of conduct or end-stat of existence … personally or socially preferable to an opposite of converse mode of conduct or end-state of existence" (Rokeach, 1973; George and Jones, 1996). Furthermore, Schwartz (1994) defined values as desirable trans-situational goals, varying in importance, that serve as guiding principles in the life of a person or other social entity. As conceptions of desirable end-states of existence or modes of conduct, values help people choose, evaluate, and give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Rokeach, 1973). Efforts (e.g. promote the consumers value) of the traditional market traders will improve the preferences for the traditional market of consumers and college studen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유통시장의 개방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유통 업태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장에 관심을 가진 연구이다. 특히, 미래의 소비자인 대학생들의 관점에서 시장에 대한 점포선택속성과 시장에 대해 갖는 소비감정,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의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점포선택속성의 3개 요인의 관계품질의 정도와 함께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 간을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소비감정의 정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점포선택속성과 관계품질 간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 가치의 매개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포선택속성 중 서비스 요인과 광고 요인이 관계품질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대학생들이 시장에 대해 신뢰하고 만족하는 요인이 서비스와 광고임을 의미하고 있다는 것과 시장의 점포분위기가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의미한다. 추가적인 분석을 하지 않아 속단할 수는 없지만 대학생들이 갖는 시장이라는 이미지의 고정관념은 관계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 추정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들은 시장의 점포선택속성에 있어 서비스 요인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선택하여 시장이 대형점포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대형점포들의 셀프서비스 방식이라는 한계점을 넘어 서비스 요인의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 각각의 관계에 대한 소비감정의 조절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소비감정의 정도는 점포선택속성과 소비자 가치의 인과관계에 영향이 없음을 의미하며, 소비자 가치와 관계품질의 인과관계에도 영향이 없음을 뜻한다.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어 추가 연구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가치는 서비스 요인과 관계품질, 광고 요인과 관계품질 모두에 완전 매개함을 나타내 시장과 소비자의 관계품질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시장이 소비자들에 대한 관계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미래의 잠재고객인 대학생들에게 시장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의미한다. 말미에는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