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7초

전통산업경관의 명승적 가치 - 다랑이 논, 독살, 염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Valued as Scenic Site - With the Focus on Daranginon, Dok-sal, Saltern -)

  • 이영이;이진희;김형대;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27
    • /
    • 2012
  • 본 연구는 보존, 관리 측면에서 멸실되거나 원형이 훼손되고 있는 전통산업경관 자원 조사의 작업을 통하여,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명승 자원을 발굴하고자 하였으며, 경승적 가치가 수려하고, 인문학적,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전통산업경관 자원을 선정하여 그 가치를 분석하였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전통산업경관 자원 중에서 다랑이 논과 독살, 염전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경관자원조사를 바탕으로 목록화하고, 기초조사와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명승적 가치를 분석하였으며, 높은 가치를 지닌 자원의 경우, 문화재 지정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조상들의 삶의 터전이 되었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행해진 우리나라 전통 농업, 어업활동의 대표적인 전통산업경관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하였다. 전통산업경관의 지속적인 발굴 및 연구의 진행, 명승 지정을 통한 전통산업경관의 보존 및 활용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그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도읍경관 변천과정의 기초연구(I) (A Basic Study on the Landscape Morphogenesis of Major Local towns (Do-Eup) in Korea(I))

  • 박찬룡;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13
    • /
    • 1987
  • The landscape structure of the both pre-industrial and industrial cities should be influenced to the topographical feature , religious thoughts, political ruling system and history. In the major socio-cultural factors in the pre-industrial townscapes in korea, the Feng - Shui(poongsu) which is an acient human settlement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the “Yin - Yang” principle and “Five Elements” and “Chryaegogong”system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town scape in Korea. The landscap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were basically reorganized through change of “Boundary”, “Center” “Direction(path)” and “Domain” which were expressed by distinct traditional townscape in Yi dynasty. The physical shapes, meanings and behaviors of townscape were expressed properly of the intention of the colonization. As changes to the mordern industrial cities, the townscape had been amended landscape element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o an ideology of rebirth nation. Also as changes to the modern industrial cities, “Boundary”, “Center”, and “Domain” spreaded into the suburbs by funtionalsm and these were expressed an incoherent value system which were the advancement of growth, pursuit policies as well as an advancement of science techniques.

  • PDF

4차 산업혁명의 실태와 조경학 분야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 이종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8-75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조경학 분야의 적용방안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조경학 분야에의 적용방안을 모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적 변화를 의미하며 지능정보기술 기반 가치창출을 추구하고 있으며, 기술혁신을 통한 지속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조경학 분야에서도 많은 양의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재가공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되며, 시대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하겠다. 둘째, 조경학 분야에서의 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적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드론을 활용한 측량 기술이나 글로벌 맵핑 등의 정밀분석결과 구축, 3차원 설계 시뮬레이션, VR 등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전통조경 분야에서는 조경공간 구성요소에 대한 정밀 실측자료 구득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셋째, 향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조경학 분야의 적용방안은 기술 분야에서 정밀기술의 보급 및 프로그램의 보급, 공유 플랫폼 제공 등이 요구되며, 이에 대해 제도적으로 표준화된 프로세스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개발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조선왕조시대의 도읍경관체계 연구(II) : 전주부, 진주목, 공주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stems of the Korean Major Local Townscapes During the Age of Yi Dynasty : Jeonju Bu, Jinju Mok and Gongju Mok as Case Stusy Areas)

  • 김한배;박찬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5-137
    • /
    • 1987
  • The townscapes of “Bu” and “Mok” in the Yi Dynasty, Showing the typ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industrial city, were influenced by the two major socio - cultural norms, One of Which is the “Pung - su theory” a traditional religious system on human settlements, the other is the “Churyegogong system” ; a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oriental city planning. The former exerted main influencs on the location of towns, its external Boundaries of domain and its direction, by natural topographic features in macro perspective, and the latter on the inner parts of townscapes, i. e., the landscape system of ‘center’, ‘boundary’, ‘direction’, and ‘domain’, as representations of administrative and Socio-cultural structures of that era, in micro perspective compared with the former. The systems of Korean old townscapes can be summurized as followhg brief paradigm, with general and .case studies. And the constituents of the paradigm, such as center, boundary, direction and domain, are inferred to reinforce the “sense of place” in townscapes, with their ‘physical appearence’, ‘meaning’, and ‘social activities’.

  • PDF

가상현실(VR)기법을 이용한 조경설계 구현방법 - 주택정원 설계 중심으로 - (Realization Method for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 Focused on the Residential Garden Design -)

  • 덩베이지아;김영훈;차오린썬;허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71-80
    • /
    • 2019
  • 지능화와 정보화를 핵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이 2016년에 열렸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을 이용해서 조경설계 구현에 적용하는 접근 용이성이 강한 버츄얼 워크스루 방법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현재 가상현실 기술은 게임, 비상훈련 및 건축설계 등 많은 영역에서 활용되어 있지만, 조경분야에서는 초기단계에 처하고 있으며, 발전 전망이 밝다. 조경관련분야에서 대부분 전통적인 2차원 도면과 동적인 동영상을 통해 조경설계를 구현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또한 게임 제작 엔진으로 가상현실 구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여러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구현-체험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전통적인 조경설계 구현방법을 보완시키는 버츄얼 워크스루 구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버츄얼 워크스루 방법은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체험 자유성, 각도 다양성, 정보 제공 및 상호작용 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품질 및 효과 표현이 가능함으로 조경분야에 적용성이 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조경설계 평가 및 검토 관련 연구의 평가방법을 제공하며, 가상현실 조경분야에서 간편하고 활용성이 있는 구현방법으로 기대효과를 가진다. 가상현실 기법은 조경학계의 지속적인 성장을 기여할 수 있으며, 무한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

제주 현대건축의 지역성 구현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Method of Locality about Jeju Contemporary Architecture)

  • 김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6-51
    • /
    • 2018
  • 본 이 연구는 제주 건축에 있어서 지역성을 탐구하는 일련의 연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 저명 건축가가 아닌 국내 건축가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제주 건축의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념적 측면이 아니라 현상적 측면에서의 지역성에 집중함으로써 현재적 상황에서의 지역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 분석 결과, 건축가들이 생각하는 제주의 지역성은 첫째, 해석학적 지역성으로서 제주 전통 건축의 재해석을 통한 건축적 적용이며, 둘째, 현상학적 지역성으로 제주가 가진 독특한 자연경관이나 풍경을 자신의 건축에 담아내려고 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건축가들이 생각하는 지역성을 구현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되었다. 해석학적 지역성의 특징은 제주 전통 민가를 재해석하여 자신의 건축에 적용하는 경우로, 주로 공간구성이나 배치를 통해 민가의 요소를 건축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지역성의 특징은 제주의 경관과 풍경을 존중하여 이를 건축으로 구현하는 방식이었으며, 이 경우 경관이나 풍경요소를 그대로 건축에 차용하거나, 건축물이 제주 고유의 경관이나 풍경을 존중하여 이를 건축적으로 담아내는 경우에 해당하였다.

齊白石山水畫之特徵小考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Qi Baishi's Landscape Painting)

  • 최창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87-93
    • /
    • 2021
  • Qi Baishi is a prolific master of modern Chinese painting in the 20th century and a profound influence on modern Chinese painting. With a lifetime of diligence and pursuit, he brought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literati painting to the palace of world art. Qi Baishi's paintings have very different styles and rich connotations. There is a childlike "Plantain Crowd", which is childish but full of interest. There is also a simple and old-fashioned "Peony" in the late years, vigorous and powerful, moving heartstrings. There is also the irony of the present world, refuting the ugly "Tumbler", which is thought-provoking. Of course, the most worthy of study is Qi Baishi's landscape paintings. His landscape paintings surpassed their era and have unique historical value in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Chinese landscape painting. He was one of the pioneers of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 in the 20th century. In this article, through the research and collation of Qi Baishi's landscape paintings, the characteristics of Qi Baishi's landscape paintings and their surpassing of the times are discovered.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 융릉.건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Ureung.Gunreung -)

  • 이창환;정종수;이원호;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52
    • /
    • 2010
  • 조선왕릉은 궁궐, 종묘와 함께 매우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조선왕릉은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경관고고학 지구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융릉, 건릉의 복원을 목적으로 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릉, 건릉의 능역 일원에는 왕릉으로서 뿐만 아니라 뉴타운시설, 산업단지, 문화재 보호지구 등 많은 이질적인 토지이용이 있는 바, 이들 시설들은 제거, 이전되어야 하며, 본래 능역을 고려한 참배, 관람동선을 계획하였다. 둘째, 역사경관림은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진달래와 같은 전통 수종들로 계획되어야 하며, 진입공간과 제향공간에는 상층목과 하층목을 도입하고, 능침공간은 송림을 도입하고 사초지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셋째, 재실, 수복방 등의 전통 건조물 등은 복원하도록 제안하였으며, 관람객을 위한 편의, 휴식시설을 계획하였다.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 김포 장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Gimpo Jangreung -)

  • 이창환;정종수;이원호;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6-97
    • /
    • 2010
  • 조선왕릉은 궁궐, 종묘와 함께 매우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경관고고학 지구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김포 장릉의 복원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포 장릉의 능역일원에는 왕릉으로서 뿐만 아니라 군사시설, 공공묘지, 산업단지, 생활시설 등 많은 이질적인 토지이용이 있는 바, 그 시설들은 제거되어야 하며, 본래 능역의 진정성을 고려한 참배, 관람동선을 계획하였다. 둘째, 역사경관림은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진달래와 같은 전통 수종들로 계획하였으며, 진입공간과 제향공간에는 상층목과 하층목을, 능침공간은 송림을 도입하고 사초지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셋째, 재실, 수라간, 수복방, 어정과 같은 전통 건조물과 상설물들은 복원하도록 제안하였으며, 관람객의 편의를 위한 편의 휴식시설을 계획하였다.

백두대간 인지도 조사를 통한 전통적 지리체계인식 확산을 위한 교육정책제안 연구 (A Study for Education Policy Suggestions through the Survey of Baekdudaegan Awareness)

  • 김차권;정태열;강기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8-45
    • /
    • 2018
  • 산과 물을 하나의 유기체로 인식한 우리나라의 전통적 지리체계인 백두대간은 산자분수령을 원리로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중 남한에는 1대간 9정맥이 있으며, 본 연구는 남한의 백두대간 이용객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하여 2,51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전통적 지리체계를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5.1%로 매우 낮았으며, 백두대간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39%, 정맥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11.8%에 불과하였다. 백두대간의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다'라고 판단한 응답률은 60%를 상회하여 비교적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백두대간의 홍보에 대한 방법은 교과과정에 편입하여 교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는 초등학교때부터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현행 교육부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시에는 전통적인 지리체계에 대한 교육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을 기반으로 교육부의 교과과정에 전통적 지리체계에 대한 교육과정을 정식으로 편성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우리 국토와 환경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기초적인 자질을 심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