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Valued as Scenic Site - With the Focus on Daranginon, Dok-sal, Saltern -  

Lee, Young-Yi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Lee, Jin-He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Kim, Hyoung-Da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0, no.2, 2012 , pp. 14-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new types of landscape resources that have not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s through a survey of the nationwide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resources whose original forms have been lost or damaged in the aspect of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t also discovered and analyzed the values of the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considered to be humanistic and cultural values. Among the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resources distributed nationwide,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d Daranginon, Dok-sal(Korean traditional stone fishing weir) and saltern. Make a list of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based on the scenic resources and analyzed the value as scenic spot by conducted basic research and field work. In case some resources were highly valued, this study aimed to rediscover the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of the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that was a basis of our ancestors' lives and has represented our traditional agricultural and fishing activities done by them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being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s. Continuous discoveries and studies of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s, conservation and usage of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s by being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required to be done will be required to be done. Also, this study was suppos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Keywords
Scenic Site Resources; Types; Traditional Industrial Landscap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만익(2009). 조선시대 제주도 잣성(牆垣)연구. 탐라문화. 35: 205-246.
2 구자옥(2009). 한국 전통농업의 현대적 의의. 농업사연구. 8(3): 158-207.
3 김광임, 박용하, 최재용, 박재근, 박소현(2005).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방안-심미적․경제적 가치와 환경정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4 김대열(2008). 우리나라 명승 지정 확대방안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5 김부성(2003). 연안통합관리계획의 도입과 천수만 어촌의 지속가능발전. 대한지리학회지. 38(2):184-205.
6 김준, 박종오(2009). 전통어법을 이용한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전남발전연구원.
7 김준(2010). 한국 어촌사회학. 민속원.
8 남해군(1994). 남해군지.
9 노재현, 신상섭(2010). 제주 방선문의 선경적 이미지와 명승적 가치. 한국조경학회지. 38(1):98-106.
10 박근엽(2007). 명승지정을 위한 경관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산청군(2006). 산청군지.
12 신안군(2006). 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 1. 증도면 편.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13 신안군(2003). 도서 문화유적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 2. 비금면 편.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14 신안군(2000). 신안군지.
15 윤경숙(2011). 명승 자원으로서 다랑이 논의 보전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재근, 구영일, 김상엽, 김한배, 노재현, 박동석, 신상섭, 이상필, 이원호, 이행렬, 장동수, 조승래, 최종희, 홍광표(2009). 전통 문화 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 도서출판 조경.
17 이진숙, 진은미, 전택기, 홍룡일(2010).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제작. 한국색채학회지. 24(3):125-137.
18 이진희(2005). 명승 대상지 평가 인자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진희(2010). 동북아시아 명승 보존관리 비교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장병권, 민동규, 고석영(2005). 전북 농어촌 테마관광마을 육성방안. 국제관광학회지. 2(1):5-28.
21 정기상(2006). 섬진강권역의 명승지정을 위한 기초자원 조사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연학(1994). 傳統漁獵'돌살'에 대하여. 비교민속학회지. 11:583-605.
23 주강현(2006). 돌살 신이 내린 황금그물. 들녘.
24 태안군(1995). 태안군지.
25 통영시(1999). 통영시지.
26 홍광표, 허준, 김주환(2009). 소요산의 명승적 가치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7:108-120.
27 http://www.cha.go.kr
28 http://www.sancheong.ne.kr
29 http://munhang.seantour.org
30 http://www.namhae.go.kr
31 http://shinan.go.kr
32 http://taean.go.kr
33 http://tongyeon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