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초

밀리타리스동충하초가 테스토스테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Stimulatory Effect of Cordyceps militaris on Testosterone Production in Male Mouse)

  • 홍인표;최용수;우순옥;한상미;김혜경;이명렬;남성희;하남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8-150
    • /
    • 2011
  • 엽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수벌 번데기와 수벌 번데기에서 생산한 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혈청 테스토스테론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 쥐에 4주간 경구 투여하여 체중변화, 테스토스테론의 수치를 검사하였다. 대조군 및 투여군에서 체중의 증가량은 그룹간, 날짜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테스토스테론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료를 투여한 모든 군에서 증가경향을 보였다. 더욱이 밀리타리스동충하초 투여구의 호르몬 수치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CD206+ dendritic cells might be associated with Heat-pattern and induced regulatory T cells after treatment with bee venom

  • Jung, Woo-Sang;Kwon, Seungwon;Yang, Jung Yun;Jin, Chul;Cho, Seung-Yeon;Park, Seong-Uk;Moon, Sang-Kwan;Park, Jung-Mi;Ko, Chang-Nam;Bae, Hyunsu;Cho, Ki-Ho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
    • /
    • 2022
  • Objectives: Bee venom (BV) is a widely used therapy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TEAM). We previously reported that BV was clinically effective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that phospholipase A2 (PLA2) was the main component of BV, and that it induced regulatory T cells (Tregs) by binding CD206 on dendritic cells (DCs). Therefore, we aimed to reconfirm our findings in human blood sample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D206+ DCs and clinical syndrome differentiation in TEAM. Methods: We surveyed 100 subjects with questionnaires on cold-heat patternization and obtained their blood samples. The obtained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es (hPBMCs) were washed with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After resuspension with ex vivo media, numbers of cells were counted. Tregs were counted after culturing the samples in a 37℃ CO2 incubator for 72 h. Results: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a relatively high CD206+ group or a relatively low CD206+ group. The heat factor scores of high CD206+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ow CD206+ group (high vs low: 239.2 ± 54.1 vs 208.4 ± 55.1, p=0.023). After culturing with PLA2, Tregs increased in the high CD206+ group but decreased in the low CD206+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we reconfirm that CD206+ DCs induced Treg differentiation by incubating human blood samples with PLA2 and that they showed an association with syndrome differentiation, especially with heat patterns, in TEAM. A heat pattern in TEAM might be one indication for PLA2 therapy because its score was elevated in the high CD206+ group.

지역 보건소에서 시행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진단 검사상 양성인 재택치료 환자의 비대면 한의진료 효과: 후향적 차트 리뷰 (Effect of Non-contact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Recovering at Home with Positive Coronavirus Disease 2019 Diagnostic Test Results at a Local Public Health Center: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 전채헌;최대준;김경묵;김혜진;임정태;지규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0-137
    • /
    • 2022
  •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ppropriate management of sequelae and treatment of infectious symptoms became increasingly important healthcare issues. Although the practice guidelines and treatment cases based on the East Asian traditional medicine have been reported, there are rare studies on the use of Korean medicin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progress of non-contact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infected patients at a local public health center using retrospective chart review. A total of 18 patients were prescribed with 5 days of herbal decoction and medicine extract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With the questionnaire form, the progression and improvement of symptom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evaluated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and opinions were obtained. The symptoms such as cough (5.56±2.23 to 2.89±2.14), sputum (6.11±1,75 to 3.28±2.47), sore throat (6.06±2.70 to 1.47±1.62), anorexia (5.56±2.63 to 1.94±2.21), nausea (3.75±1.71 to 1.17±1.11), diarrhea (3.40±2.63 to 1.50±1.51), chest tightness (4.93±2.46 to 2.29±2.30) and fatigue (6.44±1.79 to 2.67±1.88) all improved according to the NRS, and the satisfaction with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a 5-point Likert scale was 4.24±0.90. No side effects and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Thereupon non-contact Korean medical treatment can be concluded that it effectively reduces the COVID-19 infection mild symptoms in restrictive extent. Since the retrospective data does not include a control group, the more confirmative data is needed by multicenter and large-scale controlled clinical study afterwards.

A novel herbal formulation consisting of red ginseng extract and Epimedium koreanum Nakai-attenuated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mice

  • Saba, Evelyn;Lee, Yuan Yee;Kim, Minki;Hyun, Sun-Hee;Park, Chae-Kyu;Son, Eunjung;Kim, Dong-Seon;Kim, Sung-Dae;Rhee, Man 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6호
    • /
    • pp.833-842
    • /
    • 2020
  • Background: Ulcerative colitis (UC) is a commonly encountered large intestine disease in the contemporary world that terminates into colorectal cancer; therefore, the timely treatment of UC is of major concern. Panax ginseng Meyer is an extensively consumed herbal commodity in South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Korea. It exhibits a wide range of biologically beneficial qualities for almost head-to-toe ailments in the body. Epimedium koreanum Nakai (EKN) is also a widely used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used for treating infertility, rheumat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Materials and methods: Separatel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both red ginseng extracts (RGEs) and EKNs had been demonstrated in the past in various inflammatory models; however, we sought to unravel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extracts in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model because the allopathic remedies for UC involve more side effects than benefits. Results: Our results have shown that the combination of RGE + EKN synergistically alleviated the macroscopic lesions in DSS-induced colitic mice such as colon shortening, hematochezia, and weight loss. Moreover, it restored the histopathological lesions in mice and decreased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through the repression of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κB) and nucleotide-binding domain (NOD)-like receptor protein 3 (NLRP-3) expression. In vitro, this combination also reduced the magnitude of nitric acid (NO),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 through NF-κ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pathways in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s. Conclusion: In the light of these findings, we can endorse this combination extract as a functional food for the prophylactic as well as therapeutic treatment of UC in humans together with allopathic remedies.

New metabolites from the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b1 by Paecilomyces bainier sp.229 and activities in inducing osteogenic differentiation by Wnt/β-catenin signaling activation

  • Zhou, Wei;Huang, Hai;Zhu, Haiyan;Zhou, Pei;Shi, Xunl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199-207
    • /
    • 2018
  • Background: Ginseng is a well-know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a range of therapeutic and healthcare applications in East Asian countries. Microbial transformation is regarded as an effective and useful technology in modification of nature products for finding new chemical derivatives with potent bioactivities. In this study, three minor derivatives of ginsenoside compound K were isolated and the inducing effects in the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Wnt) signaling pathway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New compounds were purified from scale-up fermentation of ginsenoside Rb1 by Paecilomyces bainier sp. 229 through repeat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ased on spectral data and X-ray diffraction. The inductive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on the Wnt signaling pathway were conducted on MC3T3-E1 cells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Results: The structures of a known 3-keto derivative and two new dehydrogenated metabolites were elucidated.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3-keto derivative wa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and its conformation was compared with that of ginsenoside compound K. The inductive effects of these compounds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by activating the Wnt/b-catenin signaling pathway were explained for the first time. Conclusion: This study may provide a new insight into the metabolic pathway of ginsenoside by microbial transform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might provide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activity of ginseng in treating osteoporosis and supply good monomer ginsenoside resources for nutraceutical 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Korean Red Ginseng Extract Activates Non-NMDA Glutamate and GABAA Receptors on the Substantia Gelatinosa Neurons of the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in Mice

  • Yin, Hua;Park, Seon-Ah;Park, Soo-Joung;Han, Seong-Ky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219-225
    • /
    • 2011
  • Korean red ginseng (KRG) is a valuable and important traditional medicine in East Asian countries and is currently used extensively for botanical products in the world. KRG has both stimulatory and inhibitory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suggesting its complicated action mechanisms. The substantia gelatinosa (SG) neurons of the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Vc) are involved in orofacial nociceptive processing. Some studies reported that KRG has antinociceptive effects, but there are few reports of the functional studies of KRG on the SG neurons of the Vc. In this study, a whole cell patch clamp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ction mechanism of a KRG extract on the SG neurons of the Vc from juvenile mice. KRG induced short-lived and repeatable inward currents on all the SG neurons tested in the high chloride pipette solution. The KRG-induced inward currents were concentration dependent and were maintained in the presence of tetrodotoxin, a voltage gated $Na^+$ channel blocker. The KRG-induced inward currents were suppressed by 6-cyano-7-nitroquinoxaline-2,3-dione, a non-N-methyl-D-aspartate (NMDA) glutamate receptor antagonist and/or picrotoxin, a gamma-aminobutyric acid $(GABA)_A$ receptor antagonist. However, the inward currents were not suppressed by d,l-2-amino-5-phosphonopentanoic acid, an NMDA receptor antagonist. These results show that KRG has excitatory effects on the SG neurons of the Vc via the activation of non-NMDA glutamate receptor as well as an inhibitory effect by activation of the $GABA_A$ receptor, indicating the KRG has both stimulatory and inhibitory effects on the CNS. In addition, KRG may be a potential target for modulating orofacial pain processing.

미세먼지 PM10에 노출된 RAW264.7 세포에 대한 해당화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a rugosa extracts in RAW264.7 cells exposed to particulate matter (PM10))

  • 안민아;현태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45-149
    • /
    • 2022
  • 직경이 10 ㎛ 미만의 미세먼지 입자(particulate matter 10, PM10)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해로운 대기오염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호흡기와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주범이 되고 있다. FD는 대식세포에서 활성산소 종(ROS)의 생성과 염증반응을 과도하게 촉진시켜 세포 손상과 더불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장미속의 낙엽관목인 해당화(Rosa rugosa)는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예부터 동아시아 지역에서 민간요법 치료제로써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M10으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해당화 각 기관별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미세먼지 입자가 처리되지 않은 RAW 264.7 대식세포와 비교했을 때, PM10을 100 ㎍/ml의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lipopolysaccharide 처리와 유사하게 nitric oxide (NO) 생성을 눈에 띄게 증가시켰다. 또한 100 ㎍/ml의 해당화 줄기 추출물은 미세먼지 입자 단독 처리군에 비해 NO 생성을 45% 이상 감소시켰고, PM10에 의해 유도된 interleukin(IL)-1β, IL-6,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화 줄기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가 PM10으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유발 매개체의 억제에 의해 매개됨을 나타내며, 해당화 줄기가 유해한 공기 중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천연 자원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맥파의 특징점 추출 방법에 따른 만성위염 판별 모형 (Classification Model of Chronic Gastritis According to The Feature Extraction Method of Radial Artery Pulse Signal)

  • 최상호;신기영;김재욱;진승오;이태범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호
    • /
    • pp.185-194
    • /
    • 2014
  • 한국에서 만성위염은 10명당 한 명 꼴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만성위염을 진단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하지만 이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고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비침습적이고 저비용인 전통한방의학의 맥진에 따르면, 오른쪽 손목의 '관' 위치에서 비위의 기능적 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한방의학의 견해에 따라 오른쪽 손목 '관' 부위의 맥파를 분석하여 만성위염 판별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의 판별률을 비교하기 위해, 피크-밸리 검출법과 가우시안 모델을 적용한 상이한 방법의 특징점 추출방법에 대해 선형판별분석 기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판별모델과 특징점 추출 방법에 따라 77%~89%의 민감도와 72%~83%의 특이도를 보였고 각 모델의 평균 판별률은 약 80% 내외로 얻어졌다. 구체적으로, 가우시안 모델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민감도(89.1%와 87.5%)를 보인 반면, 피크-밸리 검출법은 우수한 특이도(82.8%와 81.3%)를 보였고, 평균적인 판별률에 있어서는 가우시안 모델이 1.2% 정로 앞섰다(80.9% vs 79.7%). 결론적으로, 전통의학적 맥진원리에 기반한 요골동맥 맥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만성위염 판별모델을 얻을 수 있었고, 민감도에 있어서 가우시안 모델이 더 우수하였고, 특이도에 있어서 피크-밸리 검출법이 더 우수하였다.

문헌 속 제호탕의 조리학적 분석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Jehotang in Literature in Terms of Cooking Science)

  • 지명순;김종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6-454
    • /
    • 2008
  • 제호탕 기록이 있는 고문헌과 현대 조리서를 조리학적인 측면에서 재료, 만드는 법, 저장 및 음용 방법 등을 분석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호탕기록이 있는 여러 의서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의방유취(醫方類聚)"에 원재료의 손질방법, 만드는 법 2가지 등을 가장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후대에 전수되는 과정에서 생략된 것과 해석상의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제호탕을 구성하는 재료는 오매(烏梅), 초과(草果), 사인(砂仁), 백단향(白檀香)과 꿀이다. 이 중 현재 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는 꿀(蜜)이며, 오매는 중국에서, 나머지 재료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생산 수입되고 있다. 오매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시며 독이 없고 담을 삭이며 구토와 갈증, 이질 등을 멎게 하고 술독을 풀어 준다. 초과, 사인, 백단향의 성질은 온(溫) 또는 평(平)하고 무독한 약재로 공통적으로 서열(暑熱)을 풀고 번갈(煩渴)을 그치게 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더위에 쇠진한 몸을 보하기에 충분한 약재이다. 문헌상의 재료 해석에 오류가 있다. 오매(烏梅)라 함은 씨를 빼고 그 육(肉)만을 취하여 짚불로 훈증 건조한 것을 지칭하는데, 우리나라에서 현재 오매가 가공 생산되고 있지 않으므로 제호탕을 문헌대로 재현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올바른 오매 제조가 우선적으로 선행되고 후대에 해석상 오류를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꿀도 마찬가지다. 은근한 불로 가열하여 위에 뜨는 흰 거품을 제거하는 연밀(煉蜜) 과정을 거친 것을 사용한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조리서에는 연밀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지 않으므로 연밀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고 재현되어야 제호탕이 바르게 재현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호탕에 사용된 재료의 양은 "의방유취(醫方類聚)" 기록이 "산림경제(山林經濟)"까지 그대로 내려오다가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 부터 오매의 양이 10냥(375 g)으로 줄고 "의방활투(醫方活套)"에서부터 꿀의 양이 무게 단위 1근(斤)(3 kg)에서 부피의 단위인 1두(斗)(2.8 kg)로 사용하였으며, 초과의 양을 줄이고 백단향을 증량하였다. 이로써 신맛과 방향성을 조절하여 거부감을 줄이는 음료로서 기호성을 향상시켰다. 고문헌에 나타난 조리법은 2가지로 하나는 재료를 가루 내어 연밀(煉蜜)에 섞어 약하게 끓는 상태에서 저어가며 졸이는 오매분말 연밀미비법(烏梅粉末 煉蜜微沸法)과 다른 하나는 오매에 물을 넣고 장시간 가열하여 오매수(烏梅水)를 만들고 여기에 향기성 재료를 가루 내어 나중에 섞는 방법인 오매수직화법(烏梅水直火法)이었다. 그러나 현대 조리서에는 가루로 빻은 한약재와 꿀을 혼합하여 중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리법은 경험에 의해 터득된 방법이거나, 미비(微沸)의 해석상의 오류로 추측된다. 완성된 제호탕은 자기에 담아 실온에 보관하였고 조선 초기에는 끓인 물이나 냉수에 타서 마신다고 한 것으로 보아 겨울철에도 음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나 조선 후기 "동의보감(東醫寶鑑)" 이후의 문헌에서는 찬물에 타서 마신다는 것으로 보아 갈증을 없애기 위한 여름철 청량음료로 정착되어 대중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호탕의 재현 및 현대화를 위해 재료의 원산지별 품질 평가가 선행되고, 오매의 제조방법의 재현, 연밀(煉蜜)의 재현, 계량단위의 통일이 이루어져야 하며 오매분말 연밀미비법(烏梅粉末 煉蜜微沸法), 오매수직화법(烏梅水直火法), 중탕법 등 여러 만드는 방법들의 장 단점비교, 관능평가, 영양분석 등이 계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