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Chinese Garde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18세기 '중국풍 정원(Anglo-Chinese garden)'의 문화전이에 관하여 (A Transcultural Reflection on Anglo-Chinese Gardens in the 18th Century)

  • 김대신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6호
    • /
    • pp.201-224
    • /
    • 2013
  • The tradition of the representative art style in the Sinosphere, Shanshui hua, expresses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 of the harmony and principle of the universe. This tradition is reflected in the Chinese garden. These Chinese gardens were precisely the three-dimension representations of Shanshui hua, a visual form of abstract expression of the oriental philosophical thinking. This research determines and draws attention to the vestiges of the reflection of Shanshui hua in the European gardens through visual art and culture. It will also approach the two subjects, Shanshui hua and garden, from a transcultural view to integrally analyze visual art. The appearance of Anglo-Chinese gardens, reflecting Shanshui hua, foreshowed a big change in traditional European gardens. This is a concrete example of the transcultural phenomenon. This has formed the typical naturally curved English gardens in the gardening history. This also divided these English gardens completely from the symmetrical, geometrical French gardens. This study considers the influence and the reverberation of Shanshui hua reflected on European gardens in the European culture. The cultural exchange of European and Chinese styles in the 18th century left an impact on the European gardening style histor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origin of these Anglo-Chinese gardens and its content to approach it with a transcultural view as a research methodology.

  • PDF

중국 고대 원림에 관한 연구: 진, 선한, 수, 당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inese Ancient Garden -focus on Qin, Han, Sui, Tang Dynasties-)

  • 박경자;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9-129
    • /
    • 1999
  • It may be said that ancient wild Chinese garden had been founded during Qin dynasty and completed through Han, Sui and Tang dynasties. At first used as hunting areas for kings, the ancient resort forests began to take forms of garden. They dug a pond in the garden and made a simulated mountains with the soil that came from the excavations for the pond and suc pavilions has Gyong, Ru, Gak etc. were built around the pond. The ponds were different in size from those in Korea, being of the lake-like size. they made three island in the pond, which were the islands of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called Bong-lae, Young-ju and Band-jang respectively. the traditional of making those islands began in the Qin era and were completed in the Han era, being descended to posterity as a traditional garden structure of 'three islands in one pond' garden style. Such style was brought to Korea and first appeared as Kung-Nam-Ji in Back-jae kingdom and then brought to Japan, becoming the tradition of constructing ponds from early Heian era. Those lake-like huge Chinese ponds constituted the core of ancient garden where various feasts took place. Such ponds were also placed at the center of the gardens and played the roles of feasting garden ponds.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udies of the ancient Chines garden, the origin of them and the influence of the ancient Chinese ponded garden upon those of Korea and Japan were investigated.

  • PDF

베를린 서울정원 이용객의 한국성 인지 양상 (A Foreign Visitors Recognition with Respect to Koreaness of 'Seoul Garden' in Berlin, Germany)

  • 윤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7-77
    • /
    • 2018
  • 본 연구는 독일 베를린 마르찬 세계정원 내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인 서울정원의 현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과 정원의 선호요소, 인접한 중국, 일본 전통정원과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정원은 앞서 조성된 중국정원, 일본정원보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르찬공원 내에서의 한국정원의 특별성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수준으로 타 국가의 전통정원과의 차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동양 3국의 전통정원이 공원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이용객들의 연속적인 관람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과 자연형 배식기법의 적용에 따른 유사한 수종의 구성을 통해 경관이 연출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정원이 타 동양정원과 비교될 만한 독특한 공간구성, 식재 수종의 다양성과 대표성, 설계단계에서의 해당 국민의 동양정원문화에 대한 인지성 분석 등 다각적인 차별화 방안이 향후 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방문 전후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 결과는 사전정보 없이 방문한 이용객의 경우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고, 재방문 의사도 높게 나타나 서울정원이 한국전통정원의 홍보와 이해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성을 표출하고 있는 서울정원의 선호요소 중 수경관의 폭포와 계류, 정자와 자연석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설계개념에서 제시한 독락당과 별서정원의 입지구조, 독락당 전면 너럭바위와 계류를 모티브로 한 한국정원의 경관연출기법이 중국과 일본의 전통정원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물리적 환경에서 지배적인 정원 건축물에 대한 양식적 차이와 함께 한국적 자연경관 형성을 통한 정원의 연출은 외국인에게 독특한 정원요소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中國) 전통원림(傳統園林) 공간(空間) 조영(造營) 원리의 현대적 탐구(探究) - 곡강지(曲江池) 유적공원(遺蹟公園)을 중심으로 - (A Modern Translation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Space - Focusing on Qujiang Pool Heritage Park -)

  • 위첨첨;김정문;전조양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3-1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원리를 어떻게 현대공원에 접목시키며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전승 및 창신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전조양 등은 '중국 고전원림 및 현대전역십오강(中國古典園林与現代轉譯十五講)'에서 중국 전통 원림은 시간과 공간이 결합된 원림이며, 간략(簡略)화된 기본 조영원리 모식도(模式圖)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중국현대공원인 곡강지 유적공원에 전통 원림요소와 현대 원림요소를 어떻게 접목시켰는지와 이 요소들이 공원 공간에 표현된 방법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강지 유적공원의 복합형 공간은 공원 경계부와 복합형 동선으로 조영하였다. 공원경계부에 위치해 있는 원림 요소는 다리, 광장, 식물, 선형(線形)으로 배열된 건축물군집으로 구성하였다. 공원의 중심 수공간은 곡강지 옛 수계유적흔적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구불구불한 자연적인 호안선으로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원 수공간은 대지(大池)와 소지(小池)로 나눴으며 대지 내에 연파도(煙波島)를 설치하고 소지 안에 조도(鳥島)를 조영하였다. 공원 내에 있는 건축물들이 공원 동선의 볼록한(철각(凸角)) 부분에 위치하여, 공원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의 시간과 공간설계구성의 공간조영원리를 검증하였으며, 현대공원의 전체 공간 구조에 간략화 된 공간 설계 기법으로 원림의 복잡한 조합에 그 본질적인 공간구조가 나타난다. 또한, 곡강지 유적공원의 원림요소는 현대기법으로 진(秦)·한(漢)·수(隋)·당(唐)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곡강지 공원을 지역의 특색을 지니는 공간으로 재조영 하였으며, 당나라 문화를 주제로 하여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시대별, 공간별 조영요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은 제시된 공간조영원리가 적용된 공간이며, 중국 전통원림 공간 구성원리가 적용된 결과물이다. 그리고 곡강지 원림요소가 전통역사문화와 결합해서 창출된 경관은 현대 원림요소의 창신한 부분이다. 즉, 곡강지 유적공원은 중국의 특색있는 현대 원림으로 계승 및 창신 되었다.

중국정원의 미학 -조영과 감상의 미적 경계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s of Chinese Garden -with special reference to Yi-Jing)

  • 이유직;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9-95
    • /
    • 1996
  •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between designers and users. As designers and users communicated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garden, they give suggestions to our design and appreciation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pursued to reach the state of Yi Jing(意境), and this state formed the keynote of the whole field of Chinese culture. Yi Jing is the aesthetic theory originated in Pre-Qin Era, and established in Tang-Dynasty. After this, this theory become the very important aesthetic category of Chinese aesthetics. Yi Jing is the process from conception to appreciation, and requires the three parts of designer, a work of art, and appreciator. To reach Yi Jing, designers must be well grounded an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hey also had to have the ability of corresponding the inner order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nd expressing their own feelings and emotions into gardens. So ultimately, they were in pursuit of constructing the gardens as if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e garden itself is the meeting place of designers and users. The space in which users can think of life, nature, history, and cosmos. In order to do this, designers design the real landscape and non-visual landscape. This design can give appreciators more fertile imagination. Appreciation perfects the Yi Jing of gardens. Yi Jing is created by co-work of artist and appreciator with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sense. Therefore, it is subjective, and it may be vary with man and time.

  • PDF

조경기법으로 본 중국원림의 풍수지리사상 (From Landscaping Techniques to Study the Feng Shui Geographical Thought in Chinese Garden)

  • Yu, Wen-Dong;Kang, Tai-Ho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0-138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원림의 조경기법에서 배치, 축 대칭, 주종(主從) 관계, 공간 대조, 경관 은폐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풍수지리사상인 "혈효응(穴效應)", "용사효응(龍砂效應)" 및 "수구효응(水口效應)" 의 이론을 파악하고 원림 공간에서의 표현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배치 방식을 증명하기 위하여 사합원(四合院)과 소주 망사원(網師園)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축 대칭과 주종(主從) 관계를 증명하기 위하여 명 청대 북경성과 자금성, 운남성 선위시(宣威市) 도시 광장 설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공간 대조와 경관 은폐 방식을 증명하기 위하여 소주 유원(留園)과 창랑정(滄浪亭), 졸정원(拙政園), 태안시 남호공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현지답사 및 사례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치 방식은 사합원, 소주 망사원 등에서 중국 풍수지리사상의 "혈효응"이 적용되었으며, 둘째, 축 대칭과 주종관계는 명 청대 북경성의 도시 계획과 자금성 공간 배치에서 풍수지리사상의 "용사효응"이 적용되었으며, 운남성 선위시 도시 광장 설계 등 중국 현대 조경 설계기법에도 풍수지리사상을 도입하고 있다. 셋째, "수구효응"은 공간 대조 기법과 경관 은폐 기법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소주 유원(留園), 창랑정(滄浪亭), 졸정원(拙政園), 태안시 남호공원 등의 설계에 도입되었다.

$\ulcorner$원야$\Ircorner$에 나타난 계성의 원림조영이론 연구 (A study on Ji Cheng's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 이유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4.2-104.2
    • /
    • 1997
  • Ji Cheng''''s great work on garden design theory, the ''''Yuanye'''', written in 1631 and originally published in 1634 is the first surviving treatise and most famous and comprehensive work on the suvject in the Chinese tradition. He constructed Dongdiyuan in Changzhou about 1623, Wuyuan in Yizheng in 1631, and Yingyuan in Yangzhou about 1634. But no poems and paintings written by him still exist, and none of his known gardens has survived. Therefore his design philosophy is able to be interpreted only by his work, Yuany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Yuanye reflected the garden tastes of literati, and Ji Cheng endeavored to express the deas of literati painting into gardens. 2) The essence of the garden design theory is Xingzao, and Yindi, following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and Jiejing, to borrow from the scenery, are two major activities of Xingzao. 3) Ji Cheng''''s design theory build up on the basis of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masters. 4) Yindi is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and design method. This is the activity to reach the state of artistry through suitability. 5) Jiejing is not merely borrowing the landscape but the making use of scenery around the garden. And only the master has the skill in fitting in with the form of the land. 6) Ji Cheng pursuits the garden which will look like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ough manmade. It is the goal of the Chinese traditional gardens and ideal situation. 7) Ji Cheng aims to unify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design dialectically into Xingzao.

"원야"에 나타난 계성의 원림조영이론 연구 (A study on Ji Cheng's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 이유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7-134
    • /
    • 1997
  • Ji Cheng's great work on garden design theory, the 'Yuanye', written in 1631 and originally published in 1634 is the first surviving treatise and most famous and comprehensive work on the suvject in the Chinese tradition. He constructed Dongdiyuan in Changzhou about 1623, Wuyuan in Yizheng in 1631, and Yingyuan in Yangzhou about 1634. But no poems and paintings written by him still exist, and none of his known gardens has survived. Therefore his design philosophy is able to be interpreted only by his work, Yuany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Yuanye reflected the garden tastes of literati, and Ji Cheng endeavored to express the deas of literati painting into gardens. 2) The essence of the garden design theory is Xingzao, and Yindi, following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and Jiejing, to borrow from the scenery, are two major activities of Xingzao. 3) Ji Cheng's design theory build up on the basis of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masters. 4) Yindi is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and design method. This is the activity to reach the state of artistry through suitability. 5) Jiejing is not merely borrowing the landscape but the making use of scenery around the garden. And only the master has the skill in fitting in with the form of the land. 6) Ji Cheng pursuits the garden which will look like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ough manmade. It is the goal of the Chinese traditional gardens and ideal situation. 7) Ji Cheng aims to unify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design dialectically into Xingzao.

  • PDF

조선후기 원림 석파정(石坡亭)의 공간변화양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spect of Space Change to Seokpajeong garden(石坡亭)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40
    • /
    • 2015
  • 본 연구는 석파정의 공간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원림의 소유권 이전에 따른 공간의 특성을 시기별로 분류하고 관련 문헌 및 도상자료, 기사, 사진 등의 분석을 통해 각 시기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석파정의 조영실제 및 소유주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공간특성을 시기별로 구분한 결과 3시기로 분류되었다. 1기는 김흥근 소유의 삼계동 정사가 이에 해당하며, 2기는 대원군이 석파정을 소유하였던 시기를 들 수 있다. 3기는 석파정의 원형이 변질되는 시기로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로 구분하였다. 둘째, 김흥근 소유의 삼계동 정사를 살펴본 결과 계류 중심의 공간구성 및 다수의 건조물을 경영하는 특성을 지니며 중국풍 정자 및 별당채의 도입 등 외래문물의 수용양상과 함께 기화요초를 다수 식재하였다. 셋째, 석파정도병풍을 소재로 확인되는 흥선대원군 소유의 석파정은 기존 삼계동 정사의 공간구성을 대부분 수용한 것으로 보이나 공간의장이 집중되는 사랑채 위치의 상이함은 석파정도병풍의 제작 이후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을 가능성 또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중국식 정자의 표현위치와 함께 이에 따른 추가적인 문헌의 고증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근대의 석파정은 잦은 소유주의 변경에 따라 이전시기에 비해 상당부분 원형에 훼손되었고 지형이나 수계의 변형뿐만 아니라 건조물 또한 사랑채나 안채, 후면의 별원만이 남아있으며, 오늘날 원림유적이라기보다는 서울미술관의 부대시설로 전락하여 이에 대한 환원과 함께 원형복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중 전통식 레스토랑에의 전통장식요소 적용현황 비교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in Restaurants of Korea and China)

  • 팽스스;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4-45
    • /
    • 2012
  • In these days, restaurants are not simply used as a physical space but used as a cultural space in which people can enjoy and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and traditional images. Moreover, from the restaurants design elements which help to form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s which serve food of specific country, we can see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that country. The additional value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which are the main factors forming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ous expressions used in the restaurant space. For this article, 12 restaurants, Norangjugory korean restaurant, Yongsusan korean restaurant, Best well-bing food restaurant, Awoolim, Mugunhwa, Ondal in Korea, and Songhelou, South Beauty, Xuxian restaurant & lounge, Beijing dadong roast duck restaurant, The horizon chinese restaurant, Dynasty jade garden in China, were selected for the field study. This study focu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especially, the application rate of the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The analyzed elements are nature, religious beliefs, history and culture for the intangible elements and facade, courtyard, trademark, ground, wall, ceiling, door, window, furniture and adornment for the tangible elements. After that, we analyzed the rates of the use of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and modern decorative elements. Through the survey result and ratio analysis, we concluded as below. In Korean restaurant, traditionality is expressed in furnitures while, in Chinese restaurant, traditionality is expressed in decorative pattern. When it comes to the intangible elements among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of the Korean and Chinese restaurants, Chinese and Korean restaurants have similarities in emphasizing the natural elements. Korean restaurants focus much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arts, while Chinese restaurants focus much on the fantastic natural atmospheres like those shown and expressed in the poems. As for religion characteristics, Chinese restaurants emphasize "geomancy" more than Korean restaurant. When it comes to the visible elements among the traditional decorative components of the Korean and Chinese restaurants, in Korean restaurants, the interior part has more traditionality than exterior part, while in Chinese restaurants, the exterior part has more traditionality than the interior pa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