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China Medicine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35초

ICR 마우스를 이용한 오미자, 상엽 에탄올 단독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의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Test of Ethanol Extracts of Schisandrae fructus and Mori folium, and their Mixture in ICR Mice)

  • 최은옥;권다혜;김민영;황보현;김홍재;안규임;정진우;이기원;김기영;김성구;최영환;홍수현;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207-1213
    • /
    • 2016
  •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와 상엽(Mori folium)은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식품자원 및 전통 의약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미자와 상엽은 항균, 항염증, 항산화, 면역기능 조절 및 혈관신생억제 등과 같은 많은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미자(SF), 상엽(MF) 에탄올 단독추출물 및 복합추출물(medicinal herber mixture, MHMIX)에 대한 독성 및 안전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F, MF 및 MHMIX가 유발하는 급성독성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ICR mice를 대상으로 SF, MF 및 MHMIX 5,000 mg/kg을 최고농도로 설정하여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14일 동안의 치사율, 체중 변화, 임상증상, 음수율 및 사료섭취량과 함께 부검 소견, 장기무게 변화, 혈액학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SF, MF 및 MHMIX의 투여 후 치사율, 임상증상, 체중 및 부검 소견 상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SF, MF 및 MHMIX 투여에 따른 각 장기의 무게,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임상 화학적 지표에도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SF, MF 및 MHMIX는 단회 경구 투여에 따른 치사량이 5,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어 ICR 마우스에 대하여 급성독성이 없는 비교적 안전한 물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천연물 소재로서의 효능 규명을 통한 활용이 기대된다.

왕느릅나무 껍질 열수 추출물의 마우스에서의 in vivo 면역조절 효과 (Immune-modulation Effect of Ulmus macrocarpa Hance Water Extract on Balb/c Mice)

  • 이인환;권다혜;이선희;이성도;김덕원;이종환;현숙경;김철민;김병우;강경화;황혜진;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151-1156
    • /
    • 2014
  • 약용식물은 염증, 감염증, 암과 같은 질병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오래 동안 사용되어 왔다.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는 느릅나무의 한 종으로서 중국, 일본을 비롯해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줄기와 뿌리의 껍질을 유백피라 하여 한의학에서 피부염, 유방염, 부종 등에 사용하여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백피의 열수 추출물(Ulmus cortex water extract, UCWE)이 면역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UCWE 식이농도 30 mg/kg, 100 mg/kg, 300 mg/kg의 3개 군으로 나누어 14일 동안 식이한 후 면역반응을 측정하였다. IL-2, IL-12, IFN-${\gamma}$ 의 혈중 농도가 UCWE를 식이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s (LAK)을 이용한 세포매개 세포독성 시험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UCWE를 식이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간, 신장, 비장, 흉선의 무게변화는 UCWE를 식이한 군과 정상군과의 차이가 없었다. 이는 300 mg/kg 고농도의 2주간 식이가 장기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UCWE는 내부 장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고 여겨진다.

Kocat-D1의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모델에 대한 항당뇨 활성 (The Anti-diabetic Effects of Kocat-D1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원혜진;이현순;김종탁;홍충의;구윤창;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4-209
    • /
    • 2010
  • STZ으로 당뇨를 유발 8주 후 당뇨대조군은 공복혈당이 $451{\pm}42.6\;mg/dL$인데 비해 Kocat-D1-1(Kocat-D1 추출물을 0.25 g/kg/day 투여한 군)에서는 $334.3{\pm}32.9\;mg/dL$, Kocat-D1-2(Kocat-D1 추출물을 1 g/kg/day 투여한 군)에서는 $259.5{\pm}35.0\;mg/dL$로 투여 농도에 의존적으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수준으로 혈당이 낮아졌다. OGTT 검사에서도 180분 경과 후에도 당뇨대조군은 포도당 투여전보다 혈당이 $55.5{\pm}5.1\;mg/dL$ 높았으나 Kocat-D1-2는 $17.0{\pm}7.4\;mg/dL$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쥐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혈장내의 GOT($411.3{\pm}31.3\;U/L$), GPT($162.3{\pm}23.2\;U/L$) 모두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Kocat-D1-2 군에서는 GOT($247.0{\pm}33.4\;U/L$), GPT($116.3{\pm}17.4\;U/L$) 모두 유의적인 수준으로 당뇨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알부민 수치 또한 정상대조군 $3.9{\pm}0.1\;U/L$에 비해 당뇨대조군은 $2.7{\pm}0.3\;U/L$으로 낮아졌으나 Kocat-D1-2군에서는 $3.0{\pm}0.1\;U/L$로 증가하였다. HDL-콜레스테롤 수치 또한 정상대조군이 $26.8{\pm}3.9\;mg/dL$인데 비해 당뇨대조군은 $11.7{\pm}1.3\;mg/dL$로 낮아졌다. 그러나 Kocat-D1을 투여한 두 군 모두 각각 $22.3{\pm}2.0$, $26.8{\pm}1.2\;mg/dL$로 유의적인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간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에서도 당뇨대조군의 경우 간세포사이에 지방구가 관찰되었으나, Kocat-D1-2는 거의 정상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지방구를 관찰 할 수 없었다. 각 실험군의 혈액 중 인슐린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대조군 $0.18{\pm}0.02\;ng/mL$인데 비해 당뇨대조군은 $0.05{\pm}0.04\;ng/mL$로 낮아졌으나 Kocat-D1-1은 $0.11{\pm}0.05$, Kocat-D1-2는 $0.13{\pm}0.02\;ng/mL$로 증가하였다. 췌장의 베타세포의 상대적 용적을 측정한 결과 Kocat-D1-2 군은 당뇨대조군의 $12.9{\pm}7.9%$에 비해 $49.4{\pm}4.2%$로 유의적인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Kocat-D1-1군에서도 당뇨대조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Kocat-D1은 인슐린을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을 강하시키는 항당뇨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직 명확한 학명 규명이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Kocat-D1은 의약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당귀(Angelica spp.)의 기원분석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현황 및 향후과제 (Current status on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differentiation of the origin of Angelica spp.)

  • 이신우;이수진;한은희;신의철;조계만;김윤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2-18
    • /
    • 2017
  • 당귀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국가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한약재이다. 그러나 국가마다 그 기원을 달리하기 때문에 혼 오용이 심하고 국제시장에서 혼란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형태학적, 세포유전학적 분석과 지표성분을 이용한 화학적 판별 마커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재배환경과 수확 후 가공 및 처리방법에도 비교적 안전한 유전자 단편의 염기서열 비교분석을 통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적용한 판별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결과 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 기술의 실용화를 통한 현장 적용에는 한계가 있으며 보다 많은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문제점을 논하고 향후 필요한 추가 연구 과제들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Ixeris dentata on Ultraviolet B-Induced HaCaT Keratinocytes

  • Kim, Sung-Bae;Kang, Ok-Hwa;Keum, Joon-Ho;Mun, Su-Hyun;An, Hyun-Jin;Jung, Hyun-Ju;Hong, Seung-Heon;Jeong, Dong-Myong;Kweon, Kee-Tae;Kwon, Dong-Yeu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60-66
    • /
    • 2012
  • Human skin is the first line of defense for the protection of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from different stimuli.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nduces skin damage and inflammation through the secretion of various cytokines, which are immune regulators produced by cells. To prevent the initiation of skin inflammation, keratinocytes that have been irreversibly damaged by radiation must be removed through the apoptotic mechanism. Ixeris dentata (family: Asteraceae) is a perennial medicinal herb indigenous to Korea. It has been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to treat in digestion, pneumonia, diabetes, hepatitis, and tumors. To gain insight into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 dentata, we examined its influence on UVB-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by observing cells that were stimulated with UVB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 dentata. In the present study,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perform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to measure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s). I. dentata inhibited UVBinduced product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 (IL)-6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 I. dentata inhibited the UVB-induced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COX)-2. Furthermore, I. dentata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c-Jun NH2-terminal kinase and p38 MAPKs, suggesting that it inhibits the secret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IL-8, and COX-2 expression, by blocking MAPK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 dentate can potentially protect against UVB-induced skin inflammation.

경주국립공원 내 야생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집단의 유전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assessment of wild populations of Paeonia lactiflora Pall.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원효식;임창건;최선아;김미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5-251
    • /
    • 2013
  • 작약은 원예 및 전통한약으로 중요한 자연자원이다. 경주국립공원 일대에서 발견된 야생 작약 집단에 대한 보전 및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를 활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주국립공원 일대 3개 집단과 중국 연변 1개 집단 등 4개 집단을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로부터 61개의 대립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평균 이형접합성($H_o$)은 0.452로 나타났다. 집단 간의 유전적 분화는 $F_{ST}$=0.116로 볼 때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층적 AMOVA 분석 결과 유전적 변이가 집단 간보다는 집단 내 개체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F_{ST}$값 대신 대립유전자의 크기를 고려한 $R_{ST}$ 값을 사용한 AMOVA 분석 결과에서는 중국 집단과 국내 집단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STRUCTURE 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한편, 경주국립공원 일대 3개 집단 사이에는 지속적인 유전자 흐름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작은 집단 크기와 성숙한 개체가 적은 것으로 볼 때, 추가적인 보호 및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Bazhen on Growth Performances, Serum Traits, Immunity, Mea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aiwan Country Chickens

  • Lien, Tu-Fa;Lin, Kou-Joong;Yang, Ling-Ling;Chen, Lih-Ge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675-682
    • /
    • 2013
  • One hundred and sixty Taiwan country chickens (d-old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with four replicates and equal sex. Basal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0, 0.5, 1 and 2% of Bazhen powder,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complex.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4 wk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Bazhen supplement did not influence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gain ratio.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serum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inearly increased (p<0.03) and that of VLDL+LDL (very low-density+low-density lipoprotein) linearly decreased (p<0.03) in Bazhen supplemented groups, that 2% Bazh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trol group (p<0.05).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2% Bazhen displayed reduced (p<0.05) serum GOT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levels. The IgG, ${\gamma}$-globulin levels and PHA (phytohemagglutinin) skin challenge results in 1% Bazhan supplemented group were higher (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SRBC (sheep red blood cell) and ND (newcastle disease) titers in Bazhen supplemented groups were linear higher (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liver catalase activity and the capacity of scavenging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radical were linearly increased (p<0.03) in Bazhen supplemented groups, and the 1 and 2% groups were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p<0.05). Liver TBAR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levels in all Bazhen supplemented groups and total glutathione level in the 2% group were reduced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displayed a linear response (p<0.05). The TBA (thiobarbituric acid) and pH value of the breast muscle after 24 h post-mortem in the Bazhen supplemented groups was linear lower (p<0.05) than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azhen supplement in chicken had several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increased SRBC and ND titers, HDL and IgG, ${\gamma}$-globulin levels, PHA skin challenge result, decreased VLDL+LDL and GOT levels, and displayed antioxidation effects in serum and carcass meat parameters.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Pogostemon cablin)

  • 윤승근;진수정;정현영;윤희정;도미영;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4-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 증식 억제효능과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동시에 가지는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A549, HepG2, MCF7, HT29 등 다양한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성장억제효과를 보였고, A549에 대해 특이적으로 뛰어난 사멸효과를 보였다.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A549에서의 항암 효과는 p38 - Cdc25A - Cdk - Cyclin - Rb pathway를 통해 G1 arrest 유도로 연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DPPH를 통한 free radical의 소거능 확인 결과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식세포(RAW 264.7)의 iNOS 발현을 감소시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증, 항암 후보물질 소재로 활용가능 할 뿐 아니라, 다양한 건강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3종의 배암차즈기에 대한 염증억제 활성 비교 및 활성성분 구명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ree Kinds of Salvia and Its Active Compounds)

  • 신한재;곽효민;장미;박시환;민혜정;이정민;이문용;김종한;김성원;한창균;김승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1-407
    • /
    • 2016
  • Background: Salvia has been widely cultivated for use in flavoring and folk medicine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the underlying active compounds of Salvia extract and its fractions. Methods and Result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measured by assessing the inhibition of cysteinyl leukotriene produc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mast cells. Salvia plebeia R. Br. was found to have the most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leukotriene production than S. japonica and S. chanroenica had. Fifty percent ethanol extracts of S. plebeia R. Br. were successively partitioned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1-butanol and water.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showed stronger anti-inflammatory activity than other solvent fractions did. The EtOAc fraction was subjected to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elution with a chloroform and methanol gradient system (100 : 1 ${\rightarrow}$ 1 : 1) yielding 10 fractions. Three kinds of fractions (chloroform:methanol = 20 : 1, 10 : 1 and 5 : 1) showed high inhibitory activity on leukotriene production. We confirmed the major compounds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from S. plebeia R. Br.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major components of S. plebeia that showed leukotrien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were isolated using solvent extraction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Rosmarinic acid, hispidulin and luteolin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compounds with anti-inflammatory effect.

Analysis of Dibenzocyclooctadiene Lignans in Omija Wine and Cheong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Seo, Hyung-Ju;Ji, Seung-Bae;Kim, Sin-Eun;Lee, Gyung-Min;Moon, Seong-Hun;Jang, Dae-Sik;Liu, Kwang-Hyeon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1권2호
    • /
    • pp.30-35
    • /
    • 2020
  • Schisandra chinensis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at is widely spread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fruits of S. chinensis Bailon, known as omija in Korea,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ughs, fatigues, and insomnia. Up to now,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for the identification of major lignan compounds and their quantitation in S. chinensis extract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however, there is no report on the analysis of lignans in omija wine and omija cheong (sugared omija or omija sugar syrup). In the present study, seven dibenzocyclooctadiene lignans (gomisin A, gomisin B, gomisin C, gomisin N, schisandrin, deoxyschisandrin, and wuweizisu C) in omija wine and omija cheong were analyzed and quantitat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mong seven lignans, pharmacologically active gomisin A, schisandrin, and deoxyschisandrin, which are major components in fruits of S. chinensis, were the most abundant lignans in omija wine and cheong. The content of lignan in omija wine was in the order: schisandrin > gomisin A > deoxyschisandrin > gomisin N > gomisin B > gomisin C > wuweizisu C. The concentration of deoxyschisandrin and gomisin N in omija wine was approximately 2.0- and 6.0-fold higher than for omija cheong.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d a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lignans in omija wine and cheong and indicated that the omija wine and cheong might be of value for their dietary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