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e Union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3초

EU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이해를 통한 EU시장 개척 방안 (A Study on the Practical Approach of European Union's Market Acces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ariffs and Non-Tariff Barriers in European Union)

  • 정재우;이길남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191-225
    • /
    • 2014
  • 유럽연합(European Union)은 1952년 7월, 파리조약(Treaty of Paris)을 체결한 이후 1958년 1월 로마조약, 유럽공동체(EC 조약), 1993년 11월 마스트리히트 조약(Treaty of Maastricht), 1999년 5월 암스테르담 조약(Treaty of Amsterdam), 2002년 10월 니스 조약(Treaty of Nice), 2009년 12월 리스본 조약(Treaty of Lisbon) 조약을 체결하여 유럽의 정치 및 경제적 통합을 모색하여 왔다. 현재 EU는 28개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2012년 기준으로 총 5억 명 이상의 인구, 역내 GDP가 16조 6,090억 달러에 이르며 세계 GDP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세계최대의 경제권이다. 우리나라와는 3위의 교역상대국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주로 EU에 자동차, 반도체, 휴대폰, 조선과 그 부품 등의 공산품을 수출하여 왔다. 그러나 EU가 최근 미국과 FTA를 적극 모색하고 러시아와도 경제 협력을 도모하며 중국 기업들도 EU로의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우리 기업의 입지가 위축될 여지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EU는 평균 수입관세율이 낮고 비교적 가장 개방된 거래 시장이지만 크고 작은 진입장벽은 상존하여 EU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EU 시장 개척을 위한 가장 초보적이고 기초적인 연구로 EU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Non-Tariff Barriers)에 관해 검토하여 우리나라 기업에게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 PDF

미국 무역정책 변화가 국내 중공업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Predicting Performance of Heavy Industry Firms in Korea with U.S. Trade Policy Data)

  • 박진수;김경호;김범수;서지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101
    • /
    • 2017
  • 미국 무역위원회(United State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는 불공정 무역으로 인해 무역 질서를 해치는 경우 상계 관세(Countervailing Duties)와 반덤핑 관세(Antidumping Duties) 등을 징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계 관세 및 반덤핑 관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해 양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몇 가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을 활용한 본 연구의 양적 분석 결과, 미국의 상계 관세 및 반덤핑 관세 부과 경향이 우리나라의 중공업 산업의 성장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점은 '미국의 보호주의 무역기조가 울산지역의 주력산업의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직관적인 명제를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객관적으로 검증해보고 그 영향 정도를 계량화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부문 개혁과 노사관계: 영국의 최근 사례 (Public Sector Reform and Industrial Relations: the case of Britain)

  • 박덕제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2호
    • /
    • pp.79-107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영국 노동당 정부의 공공부문 개혁정책의 내용과 그 추진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노동조합의 대응과 노사관계에 대한 그 영향을 검토하고, 여기서 추출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공공부문 개혁은 민영화가 진행 혹은 논의 중인 보건, 교육, 교통 및 교동소 등을 주된 대상으로 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공공부문 개혁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노조와 정부 간의 갈등을 알아보고,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 PDF

글로칼시대의 해외지역 경제발전 연구 - 일본 간사이 광역경제권 사례를 중심으로 - (An Economic Role of Union of Kansai Governments in Glocalization Age)

  • 김병기;류건우;박성호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5-304
    • /
    • 2014
  •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는 급속한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치열한 국제경쟁, 인구감소, 저출산 및 고령화, 재정적자의 확대 등 대내외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외 지역과의 제휴 및 협력관계로 경제효과를 극대화하는 지역 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며 지역이 가지고 있는 인적 물적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통한 산업지원, 재정확보, 행정의 효율화 등을 목적으로 한 광역경제권 형성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간사이 광역연합은 지역산업클러스터 정책 등 광역경제권이 필요로 하는 성장전략을 통합적으로 기획하고 권역 내 자치기구의 성장전략을 조정하는 등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광역권내 투자계획 및 조정역할을 간사이 광역연합이 담당하고 있는 등 광역연합의 위상이 한층 제고되고 있다. 급속한 세계화와 정보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켜 효용극대화를 위해서는 국제교류의 주체도 중앙정부에서 지역정부로 이전될 필요가 있다. 외국의 광역지방자치단체와의 국제교류와 국제통상 그리고 산업클러스터 형성은 외부경제효과를 통한 양지역의 기술진보과 규모의 경제효과를 실현시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협력적 노사관계가 신뢰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on Trust and Commitment)

  • 김성건;김중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137-150
    • /
    • 2016
  • 협력적 노사관계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협력적 노사관계는 노사 양측의 이해관계로 구축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적 노사관계가 구성원들의 조직신뢰 및 노조신뢰와 조직과 노조에 대한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민주노총 소속 12개 기업 300명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협력적 노사관계는 조직신뢰와 노조신뢰에 긍정적 효과를 가진다고 나타났으며 이 두 신뢰는 모두 조직몰입과 노조몰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쌍방의 이익을 달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명성 경쟁 등 대립적 노사관계의 틀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노조의 전략변화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기업에 입장에서도 신뢰를 통한 조직의 몰입을 통한 기업의 발전의 근원을 위해서는 협력적 노사관계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Pig meat production in the European Union-27: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future trends

  • G. G. Mateos;N. L. Corrales;G. Talegon;L. Aguirre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4_spc호
    • /
    • pp.755-774
    • /
    • 202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data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rends of pig meat production in the European Union-27 (EU). Pig production has played an important social and economic role for centuries in many states of the EU. In 2022, pig meat production in the EU reached 23 M tons, which represented 21% of total production worldwide. The two key reasons that justify such amount of pork produced, are the acceptance and high consumption of the meat by the local population and the high quality of the meat produced which facilitated pork export. However, current data show a reduction in pork production for the last three years, as a consequence of a series of events that include i) problems with the chain of ingredients supply, ii) uncontrolled increase in African Swine Fever (ASF) outbreaks, iii) fast recovery of pig production in China, iv) increasing concerns by the rural population on the high cost to meet future requirements of the EU legislation on farm managemen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animal welfare, v) increased cost of all inputs involved in pig production and vi) limited interest of the new farmer generation to work on the pig sector. Consequently, pork production is expected to decrease in the EU for the next years, although sales will be maintained at a relative high level because pork is the meat preferred by local consumers in most EU countries. In order to maintain the favourable position of the pork industry in the near future, strategies to implement include: i) maintain the quality of the meat destinated to export markets, ii) improve the control of outbreaks of ASF and other swine diseases, iii) implement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making more attractive to work in the pork sector of the food chain to the new generation of farmers and workers.

Impact of Exchange Rate Shocks, Inward FDI and Import on Export Performance: A Cointegration Analysis

  • NGUYEN, Van Chien;DO, Thi Tuyet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4호
    • /
    • pp.163-171
    • /
    • 2020
  •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ward every presence of foreign investment, import, and real exchange rate shocks on export performance in Vietnam. This study employs a time-series sample dataset in the period of 2009 - 2018. All data are collected from th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in Vietnam, World Development Indicator and Ministry of Finance, State Bank of Vietnam. This study employs the Augmented Dickey-Fuller test and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with the analysis of cointegr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 higher value of import significantly accelerates export performance in the short run, but insignificantly generates in the long run. When the volume of registered foreign investment goes up, the export performance will predominantly decrease in the both short run and long run. Historically, countries worldwide are more likely to devaluate their currencies in order to support expor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tudy,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has an effect on the external trade in the long run but no effect in the short run. Finally, Vietnam's export performance converges on its long-run equilibrium by roughly 6.3% with the speed adjustment via a combination of import, every presence of foreign investment, and real exchange rate fluctuations.

미얀마 봉제기업의 고용관계 변화: 세인정권기간 한국투자기업의 경우 (The Change of Employment Relations in Myanmar's Garment Companies: A Case of Korean Investment Companies in a Period of U Thein Sein Government)

  • 윤영삼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9권1호
    • /
    • pp.19-38
    • /
    • 2018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employment relations depending on labor reform by U Thein Sein Government(2011~2015) in company level and implemented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ccording to contents of the legislative amendment pursued by U Thein Sein government, there were some changes in employment relations as the use of standard labor contract, the application of paid holidays, easy use of vacations/sick leave and the establishment of trade unions. But, after the adoption of the minimum wage system, there was not change in the employment relations to such an extent as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 of the laborers. So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the trade union representing laborers in the future is able to take mutually beneficial employment relations.

  • PDF

South Korea's Role for the joint economic prosperity of South and North Korea

  • KANG, Jang-Oh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1
    • /
    • 2022
  • Purpose - Beginning from the formation of the two governments, South and North Korea in 1948, North Korean collective economy as per trade in exchange strategies with right of way employed on heavy and chemical companies, against the external concerned with South Korean selling economy.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lutions for the joint economic prosperity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method focuses on themes and concepts that are present in previous literature. This method seeks to derive relationships and meanings by analyzing themes and concepts within existing data. Result - According to qualitative textual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total seven solutions to lead the joint economic prosperity of South and North Korea (Technology Innovation, Energy and Construction,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Gulf market; Oppression via negotiation, Sports and Culture, Agenda-setting and Framing; Competition System). Conclusion - The Korean Government's association strategies outlines tackled in this study are uniform to each other because they are phased, peaceful, regular, and well-designed. But there were situations in which diminutive tenure North Korea approaches was enlisted beyond medium-to-lasting-period union strategies. North Korea should allow a free market whereby its citizens can freely trade among themselves and other people from South Korea.

신 회원국의 관점에서의 한-EU 자유무역협정 (The EU-Korea FTA in the Viewpoints of the New Member States)

  • 우타이 우프라센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3-30
    • /
    • 2011
  • 유럽연합국(EU27)이 구 회원국(EU15)과 신 회원국(NMS12)의 결합체라고 볼 때, NMS12의 최대 무역 대상은 EU15라는 것을 통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한-유럽 FTA 체결에 따라, EU15와 NMS12 그리고 한국 간의 현존하는 무역 패턴은NMS12와 한국과의 무역 기회를 증가 시킬 뿐 아니라, 한국의 대 EU15시장 수출의 잠재적인 증가로 인해 NMS12로부터 EU15의 수출에 더 치열한 경쟁 위협을 일으킬 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국제무역분류의 3단계를 활용하여 NMS12의 관점에서 한국과 NMS12 간의 무역 기회 및 경쟁 위협의 증가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다양한 종래의 무역지표들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무역지수는 같은 수출 대상국을 둔2개의 다른 수출국의 각각의 경쟁 위협 정도를 측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EU15에 대한 NMS12와 한국 간의 수출 경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ivalry Threat Index (RTI)라 불리는 새로운 무역지수를 개발 하였습니다. NMS12의 관점에서 한-EU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동시에 한국을 무역 대상국이자 수출 경쟁국이 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실증적인 증거들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