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hea bronchu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흉강 내시경을 이용한 식도 중봉 낭종 수술 치험 -1례- (Excision of Esophageal Duplication Cyst with VATS - One case report -)

  • 박성용;김태훈;이두연;김은영;전세은;조상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2
    • /
    • 2007
  • Esophageal duplication cyst is very rare mediastinal tumor which is congenital lesion of the esophagus. Esophageal duplication cyst could be excised with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VATS) if it is relatively small, cystic lesion and not adhered severely to the surrounding tissues such as lung, trachea, bronchus, esophagus and pleura. We report a case of an esophageal duplication cyst which was located in the right thoracic cavity below carina and could be excised completely and repaired by interrupted suture with 3.0 black silk. The patient was discharged at 10 days after operation with good condition and has been in uneventful condition 2 months after operation.

  • PDF

미주 신경의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백서의 기도내 혈장 유출에 대한 FK224의 효과 (Effects of FK224, a $NK_1$ and $NK_2$ Receptor Antagonist, on Plasma Extravasation of Neurogenic Inflammation in Rat Airways)

  • 심재정;이상엽;이상화;박상면;서정경;조재연;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44-751
    • /
    • 1995
  • 연구배경: 여러 종류의 자극으로 감각신경(C-fiber)의 말단부에서 분비되는 신경단백질인 substance P와 neurokinin A는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 점막의 혈장 유출 및 점액의 과분비를 일으켜 기관지 천식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 이러한 기도 신경단백질은 $NK_1$, $NK_2$, $NK_3$ 등의 3종류의 수용체를 통하여 작용하며, $NK_1$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는 substance P는 기도의 혈관확장과 혈장 유출에 관여하며 $NK_2$ 수용체에 작용하는 neurokinin A는 기도의 수축에 주로 작용하며 기도혈장 유출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적: 저지들은 백서의 미주신경인 비교감 및 비부교감 신경을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기도 혈장 유출에서 $NK_1$$NK_2$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이용하여 기도내 신경성 염증에서 혈장유출에 대한 효과를 기도 부위별로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백서 21마리를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미주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 2분간 자극한 군(NANC2군)과 신경 단백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미주신경 자극 전에 사용한 군(FK224군)에서 Evans blue dye를 이용하여 기도 부위별 혈장 유출의 정도를 각 군간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2분간 신경 자극한 군(NANC2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기관에서 49.7(${\pm}2.5$)ng/mg으로 353%, 주기관지에서 38.7(${\pm}2.8$)ng/mg으로 221%의 증가와 말초기관지 19.1(${\pm}1.6$)ng/mg으로 151%로 혈장 유출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주로 상부 기도에서 혈장 유출 정도가 심하였으나, 폐실질은 13.0(${\pm}1.8$)ng/mg, 76%로 대조군과 차이는 없었다(p>0.05). 2) 신경 단백질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한 FK224군은 2분간 신경 자극한 군에 비하여 기관에서 24.3(${\pm}2.2$)ng/mg으로 49%, 주기관지에서 22.3(${\pm}1.6$)ng/mg 으로 58%의 억제와 말초기관지 13.3(${\pm}0.8$) ng/mg으로 70%로 혈장 유출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백서에서 미주신경(NANC)의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혈장유출은 기도에서만 발생되고 주로 상부기도에서 혈장유출이 심하며, $NK_1$$NK_2$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전처치하여 substance P와 neurokinin A의 수용체 차단으로 기도 혈장 유출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Ventilating bronchoscopy로 치유시도된 기도이물의 치료성과 (The Result of Ventilating Bronchoscopy for the Air Way Foreign Bodies)

  • 우훈영;고건성;이희배;윤태현;안회영;백만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4.3-5
    • /
    • 1978
  •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응급을 요하는 경우로서 진단 및 치료가 지체되면 예기치 않은 불행한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저자들은 1975년부터 1977년까지 3년간 본원에서 시도된 50례의 기도이물에 대해 고찰하였다. 1. 남여비는 2.8 : 1이였다. 2. 연령은 3개월부터 52세 사이였으며, 1세부터 5세까지가 58%로 가장 많았다. 3. 주증상은 해수: 68%, 호흡곤란: 52%, 청색증;18% 순이었다. 4. 기도이물 진단시 병력이 확실한 경우는 66%이었다. 처음 오진율은 28% 이었으며 그중 57.1%가 상기도감염으로 인한 오진이었다. 5. 처음 내원시 청진상 호흡음 감소가 4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천식음이 24%, 정상이 26%이였다. 방사선 검사상 폐기종이 82%, 폐부전확장이 20%이었으며, 정상범위가 18%이었다. 6. 내원까지의 기간은 24시간이내가 48%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1년반 이었다. 내원후 제거까지의 기간은 24시간 이내가 68%이며 가장 오래 걸린 예는 9일이었다. 7. 치료는 기관절개한 경우가 24%로 그 중 75%가 식물성 기도이물이었다. Ventilating bronchoscopy로 치유된 경우는 72%이었으며. 자연배출된 경우가 8%, 기관절개창으로 자연배출된 경우가 6%, 개흉술 치유된 경우가 6%, 그외 사망, 후두직달경, 기관직달경에 의한 제거가 각각2% 이었다. 8. 기도이물의 종류는 식물성 46%, 금속성 28%, 프라스틱 18%, 동물뼈 8%이었다. 9. 이물의 소재는 기관 16% 우측기관지 52%, 좌측기관지 28%, 미상 4%이었다.

  • PDF

기도 이물의 임상통계적 고찰 (A Statistical Study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s)

  • 신기철;이동명;김진영;김홍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4.1-4
    • /
    • 1981
  • 저자는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 입원치료한 15세 이하의 기도이물환자 74례를 대상으로 임상통계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 및 연령별로 보면 유소아의 기도이물 74례중 남자 55례, 여자 18례로 남녀비는 3 : 1이며 연령분포는 2세미만이 41.8%로 가장 많고, 3세까지의 증례는 75.5%이었고, 5세까지의 증례는 83.6%이였다. 2) 증상및 이학적 소견에서는 내원시의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청색증등이었으며, 6.7%에서는 전혀 증상이 없었다. 초진시의 이학적소견은 흡기의 감소, 천식음, 거친호흡음등이었으며 10.8%에서는 전혀 이학적 소견이 없었다. 3) 내원까지의 시간은 48.6%가 24시간내에 내원하였으나 2년이 지나서 내원한 례도 있었다. 4) 방사선학적 소견에서는 내원시의 단순흉부X-선 소견은 무기폐 25.0%, 폐기종 32.8%, 확실한 이물음영 17.2%이었고. 17.2%에서 정상이었다. 5) 이물의 종류와 개재부위는 기도이물 74례중 식물성 60.8%, 금속류가 17.5%, 프라스틱류 16.2%, 어골류, 2.7% 기타 2.7%이었다. 이물의 개재부위는 우측기관지 40.5%, 좌측기관지 31.0%, 기관 9.4%, 다발성 6.7%이었다. 6) 연령에 따른 이물의 종류를 보딘 5세이하에서는 대부분이 식물성이물이었고, 6∼15세에는 금속류와 프라스틱제품도 있었으며 특히 프라스틱 제품은 10세이상의 남자에 많았다. 7) 이물적출방법을 보면 Ventilating Bronchoscopy 82.3%, 기관절개술 2.7%, 흡입적출 2.7%, 자연배출 1.3%, 개흉술 5.4%, 사망이 5.4%이었다.

  • PDF

중재 시술용 기능성 기관-기관지 팬텀의 유용성 (Usefulness of a Functional Tracheobronchial Phantom for Interventional Procedure)

  • 김태형;임청환;김정구;김명수;최원찬;임진오;이광종;박인애;김미옥;정은미;신령미;정승기;윤선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4호
    • /
    • pp.27-32
    • /
    • 2003
  • 중재 시술용 기능성 기관-기관지 팬텀을 제작하고,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중재 시술용 기능성 기관-기관지 팬텀은 실리콘으로 제작하였으며, 기관을 통하여 스텐트 삽입술이 가능하도록 삽입구를 제작하였다. 팬텀은 지점토를 이용하여 인체와 동일한 형태로 기관, 기관지 분지부와 양쪽 상부 기관지를 재현하였고, 사각형의 틀에 지점토를 고정시킨 후 액상의 실리콘을 채워 건조시킨 후 지점토를 제거하여 제작하였다. 인체, 동물, 팬텀에서 기관지스텐트 삽입 후 흉부 촬영 필름의 농도와 기관지 분지부의 각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기관지스텐트는 세선의 교차가 다른 2가지(X-type, Y-type) 형태를 삽입하였으며, 스텐트 삽입술 후 기관 상부, 기관 분지부, 좌기관지, 우기관지, 스텐트 삽입부의 필름농도를 측정하였다. 필름농도는 기관 상부의 경우, 인체 0.76(${\pm}0.011$), 동물 0.97(${\pm}0.015$), 팬텀 0.45(${\pm}0.016$)이었고, 기관 분지부의 경우는 인체 0.51(${\pm}0.006$), 동물 0.65(${\pm}0.005$), 팬텀 0.65(${\pm}0.008$)이었고, 우기관지의 경우는 인체 0.14(${\pm}0.008$), 동물 0.59(${\pm}0.014$), 팬텀 0.04(${\pm}0.007$)이었고, 좌기관지의 경우는 인체 0.54(${\pm}0.004$), 동물 0.54(${\pm}0.008$)로 팬텀 0.08(${\pm}0.008$)이었고, 스텐트 삽입부의 경우는 인체 0.54(${\pm}0.004$), 동물 0.59(${\pm}0.011$), 팬텀 0.04(${\pm}0.007$)이었다. 기관 분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인체의 좌기관지에서 $42.6({\pm}2.07)^{\circ}$, 우기관지에서 $32.8({\pm}2.77)^{\circ}$이었으며, 동물에서 각각 $43.4({\pm}2.40)^{\circ},\;34.6({\pm}1.94)^{\circ}$, 팬텀에서 각각 $35({\pm}2.00)^{\circ},\;50.2({\pm}1.30)^{\circ}$이었다. 본 연구팀이 제작한 기관-기관지 팬텀은 기관지 스텐트 삽입술의 재현이 가능하여 중재시술의 술기연습용이나 스텐트를 평가하기 위한 체외실험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관에 국한되어 발생한 BALT 림프종 1예 (A Case of Primary BALT Lymphoma Limited to the Trachea)

  • 오현종;김희정;황은미;김도영;김용현;윤형규;문화식;박성학;송정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198-205
    • /
    • 2003
  • 원발성 폐 림프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보고된 바가 흔하지 않고 특히 폐 실질의 침범 없이 기관에서 원발성으로 발생한 경우는 극히 드물며 그 대부분은 BALT 기원의 저등급 B-세포 림프종으로 알려져 있다. BALT 림프종은 오랜 기간 동안 한 곳에 국한되어 존재하고, 예후가 좋고, 얌전한 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아직 전세계적으로 그 예가 많지 않아 표준적인 치료지침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외과적 절제, 국소 방사선 치료나 항암제 치료 등이 있으며 특히 국소성 방사선 조사는 확실히 전이가 되지 않았을 때 일차적 치료로 선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경기관지 조직 검사상 기관 원발성 BALT 림프종을 진단 후 경기관지 레이저 소작술 및 국소 방사선 조사치료를 시행하고 2년간의 추적관찰 기간동안 재발의 소견없이 안정적인 임상경과를 보이고 있는 기관 원발성 BALT 림프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 하는 바이다.

기관분기부 편평상피 세포암에서 순차적 양측 개흉술을 통한 좌측 소매 전폐 절제술 치험 1예 (Left Sleeve Pneumonectomy Via Sequential Bilateral Thoracotomy in Carinal Squamous Cell Carcinoma -One case report-)

  • 김도형;강두영;백효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44-447
    • /
    • 2003
  • 기관분기부에 침범한 악성 종양의 치료로 이용되는 소매 전폐 절제술은 수술 후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동반하나 기관 분기부위의 악성 종양이 일측 폐를 완전히 허탈시키고 반대편 기관지의 허탈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좋은 수술적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64세된 남자환자는 과거력에서 13년 전에 승모판 협착증 및 삼첨판 폐쇄 부전증으로 타 병원에서 승모판 치환술 및 삼첨판륜 성형술을 시행 받았으며 2년 전에는 성대에 생긴 유두종으로 종양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최근에는 혈담을 주소로 내원하여 기관지내시경 및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하부 기관부터 좌측 주 기관지까지 약 3.5 cm의 악성 편평상피세포암이 관찰되었으며 좌측 주 기관지를 완전히 막고 있는 소견이 있었고 grade III의 삼첨판 폐쇄부전이 있었다. 심폐 바이페스 없이 순차적 양측 후측방 개흉술을 통해 좌측 소매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병리 조직검사에서 T4N0M0인 악성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인되었고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좌측 전폐절제술후 발생한 Postpneumonectomy Syndrome의 치험 1례 (Postpneumonectomy Syndrome after Left Pneumonectomy -one case report-)

  • 윤용한;이두연;김부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624-628
    • /
    • 1998
  • 전폐 절제술후 증후군은 드문질환이지만 종격동내 혈관의 정상적인 해부학적인 구조를 가진 대부분의 환자에서 전폐 절제술후에 지연 합병증으로 올수 있다. 이증후군의 임상증상으로는 대개 수술후 1년 이내에 나타나는 호흡곤란과 남아 있는 우측폐의 반복되는 감염이다. 전폐절제술후 이차적인 변화로 종격동이 좌측으로 끌려가면서 심장과 대혈관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폐가 좌측 흉부 전방까지 확장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로 우측 폐동맥과 흉추사이에 끼이면서 기관과 우측 주기관지가 눌려지게 된다. 본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는 21세 여자환자에서 6년전에 기관지확장증으로 좌측 전폐절제술후 발생한 전폐절제술후 증후군을 좌측 개흉술후 종격동의 박리와 확장 보조물을 삽입하여 종격동 정복(mediastinal repositioning)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증상은 수술후 소실되었으며 수술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 PDF

식도암 수술 후 흉곽 내 위장에 발생한 원발성 위암에 대한 광역동치료 -1예 보고 - (Photodynamic Therapy for Neoplasms in Intrathoracic Constructed Stomach)

  • 박기성;고무성;권오춘;이섭;김종기;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94-797
    • /
    • 2003
  • 광역동치료는 흉부외과 영역에서 조기 식도암, 기관 및 기관지 종양, 위장관 점막 내 종양 및 바레트식도 등에서 광감작물질의 광파장 및 광선의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이고 직접적인 독성 효과를 이용한 비수술적 치료로 안전하고 효과가 있으며, 기타 진행된 폐암이나 식도암에서 보존적 요법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광역동치료 후 광독성에 의한 피부 독성이 흔하여, 직사 광선의 차단 및 약물 요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 후 흘곽 내에 거치된 위장에 발생한 원발성 위암에 대한 광역동치료(Photodynamic tharapy)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보고하고자 한다.

명당장부도(明堂臟腑圖)에서 기원한 심장도(心臟圖) 29종의 비교 (Comparison of 29 Diagrams of Heart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 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76
    • /
    • 2017
  • Objectives : The transition of the 29 diagrams of Heart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will be used to understand the shape of heart and the changes of people's understanding of heart. Methods : The 29 diagrams of Heart originated from MingTangZangFuTu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shape elements (Heart itself, internal curvatures, structures above heart, wuzangxi, and excursus). Then its transitions are analyzed, and each shape element is compared to modern anatomy and its textual basis is searched. Results : The lengthy cylinderical organ situated above the heart is composed of upper part consisting with joints and the lower part void of joints. The upper part is Pyewan (such as the lungs) and fall into trachea. The lower part is Xinxi or Feixi which are either relative vein (or aorta) or left bronchus that passes behind the heart. This depiction of the structures around the heart can be considered to have composed by actual observance of a physical heart, a method that is similar to anatomy. However, the shape of the heart itself is described as a lotus flower that has not been bloomed, a depiction which finds its origin from Zhongguangbuzhu huangdineijing suwen (762). The three short curvatures inside the heart is described as Pericardium, influenced by Shisijingfahui (1341) in its depiction, or as sammo, influenced by Nanjing. Structures that are connected directly from the heart to spleen, kidney, and uterus are not found in modern anatomy. The saying in Excursus "All cords of five internal organs belong to heart" is based on Huatuoxuanmenneizhaotu, and this is changed to the saying cords of four internal organs belong to heart in Leijingtuyi for the first time. Conclusions : The authors of medical scriptures at the time did not have a method of direct observance when they were copying heart diagrams. Therefore, they made changes to the source material's diagram and excursus while being influenced by Nanjing, Huatuoxuanmenneizhaotu, and Shisijingfahui. Then the doctors' understandings with regards to the shape and function of heart were reflected during that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