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 시술용 기능성 기관-기관지 팬텀의 유용성

Usefulness of a Functional Tracheobronchial Phantom for Interventional Procedure

  • 김태형 (아산재단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정구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명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최원찬 (아산재단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임진오 (아산재단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이광종 (아산재단 서울아산병원 방사선과) ;
  • 박인애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미옥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정은미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신령미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정승기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윤선희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발행 : 2003.12.30

초록

중재 시술용 기능성 기관-기관지 팬텀을 제작하고,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중재 시술용 기능성 기관-기관지 팬텀은 실리콘으로 제작하였으며, 기관을 통하여 스텐트 삽입술이 가능하도록 삽입구를 제작하였다. 팬텀은 지점토를 이용하여 인체와 동일한 형태로 기관, 기관지 분지부와 양쪽 상부 기관지를 재현하였고, 사각형의 틀에 지점토를 고정시킨 후 액상의 실리콘을 채워 건조시킨 후 지점토를 제거하여 제작하였다. 인체, 동물, 팬텀에서 기관지스텐트 삽입 후 흉부 촬영 필름의 농도와 기관지 분지부의 각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기관지스텐트는 세선의 교차가 다른 2가지(X-type, Y-type) 형태를 삽입하였으며, 스텐트 삽입술 후 기관 상부, 기관 분지부, 좌기관지, 우기관지, 스텐트 삽입부의 필름농도를 측정하였다. 필름농도는 기관 상부의 경우, 인체 0.76(${\pm}0.011$), 동물 0.97(${\pm}0.015$), 팬텀 0.45(${\pm}0.016$)이었고, 기관 분지부의 경우는 인체 0.51(${\pm}0.006$), 동물 0.65(${\pm}0.005$), 팬텀 0.65(${\pm}0.008$)이었고, 우기관지의 경우는 인체 0.14(${\pm}0.008$), 동물 0.59(${\pm}0.014$), 팬텀 0.04(${\pm}0.007$)이었고, 좌기관지의 경우는 인체 0.54(${\pm}0.004$), 동물 0.54(${\pm}0.008$)로 팬텀 0.08(${\pm}0.008$)이었고, 스텐트 삽입부의 경우는 인체 0.54(${\pm}0.004$), 동물 0.59(${\pm}0.011$), 팬텀 0.04(${\pm}0.007$)이었다. 기관 분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인체의 좌기관지에서 $42.6({\pm}2.07)^{\circ}$, 우기관지에서 $32.8({\pm}2.77)^{\circ}$이었으며, 동물에서 각각 $43.4({\pm}2.40)^{\circ},\;34.6({\pm}1.94)^{\circ}$, 팬텀에서 각각 $35({\pm}2.00)^{\circ},\;50.2({\pm}1.30)^{\circ}$이었다. 본 연구팀이 제작한 기관-기관지 팬텀은 기관지 스텐트 삽입술의 재현이 가능하여 중재시술의 술기연습용이나 스텐트를 평가하기 위한 체외실험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usefulness of a functional tracheobronchial phantom for interventional procedure. The functional phantom was made as a actual size with human normal anatomy used silicone and a paper clay mold. A tracheobronchial-shape clay mold was placed inside a square box and liquid silicone was poured. After the silicone was formed, the clay was removed. We measured film density and tracheobronchial angle at the human, animal and phantom, respectively. The film density of trachea part were 0.76(${\pm}0.011$) in human, 0.97(${\pm}0.015$) in animal, 0.45(${\pm}0.016$) in phantom. The tracheobronchial bifurcation part measured 0.51(${\pm}0.006$) in human, 0.65(${\pm}0.005$) in animal, 0.65(${\pm}0.008$) in phantom. The right bronchus part measured 0.14(${\pm}0.008$) in human, 0.59(${\pm}0.014$) in animal and 0.04(${\pm}0.007$) in phantom. The left bronchus were 0.54(${\pm}0.004$) in human, 0.54(${\pm}0.008$) in animal and 0.08(${\pm}0.008$) in phantom. At the stent part were 0.54(${\pm}0.004$) in human, 0.59(${\pm}0.011$) in animal and 0.04(${\pm}0.007$) in phantom, respectively. The tracheobronchial angle of the left bronchus site were $42.6({\pm}2.07)^{\circ}$ in human, $43.4({\pm}2.40)^{\circ}$ in animal and $35({\pm}2.00)^{\circ}$ in phantom, respectively. The right bronchus site were $32.8({\pm}2.77)^{\circ}$ in human, $34.6({\pm}1.94)^{\circ}$ in animal and $50.2({\pm}1.30)^{\circ}$ in phantom, respectively. The phantom was useful for in-vitro testing of tracheobronchial interventional procedure, since it was easy to reprodu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