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rism Contents

검색결과 723건 처리시간 0.026초

우리나라 일부 산채의 in vitro 산화 방지 활성, 알파-글루코시데이스와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ral Korean Sanchae)

  • 안해천;정라나;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4-169
    • /
    • 2015
  • 묵나물 형태의 삼나물, 미역취, 다래순, 방풍나물, 생채인 참나물의 75%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 방지 활성, ${\alpha}$-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함량을 구하여 이들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삼나물과 다래순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삼나물, 다래순, 방풍나물에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미역취와 다래순에서 높았다. 삼나물 추출물은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다래순 추출물은 다른 산채에 비해 토코페롤 함량이 높았다. 산채 추출물의 산화 방지 성분 함량과 in vitro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플라보노이드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r^2=0.8895$)를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으나, ${\alpha}$-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이 높았던 삼나물과 다래순은 항당뇨, 항비만 활성을 가진 잠재적인 식품 자원으로 기대되었다.

지자체 발전전략과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체계의 연계 방안 연구 (Linkag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Local Government to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 박지만;황철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71-687
    • /
    • 2009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발전전략에서 정책결정과정을 주목하고, 지리정보 기반의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체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체계는 해당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해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갈등상황을 최소화하고, 정책의 기획부터 집행까지 주민이 참여하여 지역현안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논의되고 있다. 이 논의는 지자체의 사회경제적 여건과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획일적인 정책결정과정을 개선하는 방안으로써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소도시규모인 경기도 구리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도시발전전략과 정책목표를 분석하여 주민참여를 위한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구리시청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지리정보 관련 담당부서는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리정보를 활용한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체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해당 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리적 환경과 자원을 고려하여 지역발전전략을 계획해야 한다. 둘째, 지역발전을 위한 지리정보의 활용은 실무자의 GIS에 대한 인식개선과 해당 업무에서 지리정보와 연계활용측면의 교육이 중요하다. 셋째, 주민참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 요소는 참여주체, 시스템, 그리고 제도행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지자체 발전전략을 위한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체계는 다양한 지역의 인문 사회 자연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통합적인 추진모형구축이 필요하다.

  • PDF

여주지역 영유아 대상 영양플러스 사업 효과 - 영유아 영양보충 및 보호자 영양교육 실시에 따른 영유아의 영양개선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Nutrition Plus Program among 0~5 Year Children in the Yeojoo Area -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ft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

  • 박옥진;이민준;김지향;민성희;이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67-776
    • /
    • 2009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nutritional improvement of 0~5 year children of financially poor families aft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The subject selected among applicants for low-income family financing of the government included 198 children (0~12 months:92, 1~5 years:106), and the average ages were 5.3 months and 2.4 years respectively. Food that includes each nutrient factor was provided to the subject for six months. Nutrition education was performed in two ways, through class and private education, once a month for both. Nutritional improvement was evaluated by body measurement and anemia prevalence rate. As to the survey on breast-feeding, complete breast-feeding accounted for 58.7%, weaning food 27.3%, and combined feeding 14.1% respectively, which shows that breast-feeding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The education program improved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arents/guardians, which brings in positive effects on growth of children as well.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was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0~12 month children $(8.5\pm1.75\;to\;8.9\pm1.69)$ and 1~5 year children $(7.3\pm1.39\;to\;7.8\pm1.30)$. The nutrition attitude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0~12month children $(52.0\pm6.99$ to $53.5\pm5.21$, p < 0.001) and 1~5year children ($45.1\pm7.30$ to $49.0\pm5.96$, p < 0.001). In evaluation on nutritional improvement based on body measurements, it turned out that the wasting was reduced as for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and weight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 The concentration of hemoglobin after the nutrient treatment for six month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anemia prevalence rate as well was reduced from 40.6% to 13.5%,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t improvement. Based on the findings above, it turned out that providing quality food to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to the parents/guardians poorly fed in low-income families improved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guardians and prevents anemia and improves growth, which brings in positive effects on growth of children. In the results regarding attitude and knowledge on nutrient/dietary life; however, the improvement level was relatively low when the extent before the education was too small, which indicates the need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contents and method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result of body measurement, long-term and consistent investigation is necessary since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effect on growth only based on short-term nutrient supplement.

동해산 재래종 다시마 (Kjellemaniella crassifolia)의 식이가 흰쥐 체내의 칼슘흡수, 혈액조성 및 분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with Sea Tangle (Kjellemaniella crassifolia) on Calcium Absorption, Serum Composition and Feces in Rats)

  • 이진경;임영선;주동식;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01-607
    • /
    • 2002
  • 체내 칼슘 흡수 및 혈액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주령 암컷 횐쥐 (Sprague-Dawley female raD)에게 다시마 첨가량을 각각 $0\%$, $0.5\%$, $1.0\%$, $1.5\%$로한 실험 사료를 8주 동안 사육하면서, 4주 간격으로 골격성장, 칼슘흡수, 혈액조성 및 분변에 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육기간 동안 사료 섭취량이 대조군과 다시마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횐쥐가 다시마에 대한 거부반웅을 보이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혈청 분석 결과 영양상태가 양호하였고, GPT, G07 활성 결과 독성에 의한 부작용도 없었다.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 첨가군에서 평균 체중 증가량이 낮고 변 중량이 높아, 다시마 식이 섬유에 의한 배변 증량 효과를 보였다. 대퇴골의 분석에서 중량과 길이는 사육기간 동안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퇴골의 수분함량이 감소한 반면 회분 및 칼슘함량은 증가하여 성장 동안 골밀도의 상승으로 인한 대퇴골의 강도가 높아짐을 보였다.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 첨가군에서 칼슘함량과 대퇴골의 강도가 높음을 보석 다시마가 칼슘을 뼈로 홉착을 도와준고 있음을 설명해 주었다. 다시마 첨가수준에 따라서는 $0.5\%$ 첨가군에서 대퇴골의 수분함량이 낮고, 회분 및 칼슘함량이 높아 대퇴골의 강도가 가장 단단하였다.

목포 갓바위의 지형 및 지질 특성과 활용 (Geomorphology and Geology of Gatbawi, Mokpo, Korea)

  • 김해경;문병찬;고영구;윤석태;오강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9-108
    • /
    • 2012
  • 천연기념물 500호인 목포 갓바위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규모, 형태, 광물 조성, 화학 조성, 풍화 상태 등을 분석하였다. 갓바위 해안지형은 전형적인 침식지형으로 해식절벽, 해식노치, 해식대지, 타포니, 해식노치 등의 지형이 발달해 있다. 해식절벽은 수직적 경사를 보이고, 기저부는 파식에 의해 해식노치를 형성하며, 폭 3.5m 너비 20m 내외의 해식대지, 벌집구조의 타포니가 발달하여있다. 갓바위 암석의 주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미사장석, 흑운모, 견운모 등으로 구성되며, 석영과 장석이 우세한 결정질 응회암이다. 화학 조성은 $Al_2O_3$ 23.60~28.27 wt.%, $Na_2O$ 3.27~5.80 wt.%, Cl 0.11~0.20 wt.%로 지각평균보다 높다. 화학적 풍화지수(CAI)는 77.42~83.93%로 상당한 풍화가 진행되었다. 갓바위 자연경관의 관광 및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 안내판 설치, 관찰 망원경 비치, 전문 해설사의 교육 및 활용, 유관 기관들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관광 상품 개발, 교과서나 참고서의 관련 삽화로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인의 장례문화산업 인식과 개발 방안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Koreans' Recognition of Funeral Culture Industry and Development Plan)

  • 송현동;김문준;조지용;장경희;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13-12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대에 따른 장례문화인식, 장례문화산업개발, 장례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례문화산업 개발 방안 제시이다. 본 연구의 설문은 한국갤럽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일시는 2021년 2월 5일~2021년 2월 8일, 추가조사는 2021년 2월 18일~2021년 2월 19일에 실시되었다. 유효 연구대상자는 316명이며, 표본추출방법은 성/연령별 할당 추출이다. 연구결과 전 연령대에서 화장을 선호했으며, 화장한 유골의 안치 장소는 수목장과 납골당이 높았다. 연령대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청년에서 노년층으로 갈수록 상조상품 가입, 생전장례식, 이별여행, 이별여행상품구매, 장례보험 가입, 죽음관련 전문가와의 상담에 대해 거부감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례문화산업 인식과 개발 방안에 대한 학제간 융합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의미와 활용 방안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 성정용;양시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204-227
    • /
    • 2021
  • 본 논문은 중원이라는 명칭이 갖고 있는 역사성과 그 시공간적인 범위를 개관해봄으로써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중원역사문화권의 활용 방안을 함께 모색해보았다. 국토의 중심이라는 의미를 내포한 중원은 지리적으로는 충주를 중심으로 계립령과 죽령, 그리고 남한강과 북한강을 통해 남북으로 한반도를 이어주는 핵심 지역으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고대 국가가 태동하는 마한 시기부터 서쪽으로는 미호천 유역인 청주와 진천 일대, 동쪽으로는 충주 일원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후 백제와 고구려·신라가 중원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접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삼국 문화의 교섭과 융합으로 중원 문화가 탄생하게 되었다. 특히 신라는 중원경을 중심으로 청주에는 서원경, 원주에는 북원경을 설치하는 등 중원 지역을 계속 중요시 하였다. 우리는 그간 고구려·백제·신라의 고대 국가 중심의 사관에 매몰되어 있다 보니 중원 지역에 대한 온전한 가치를 간과해왔는데, 앞으로는 중원역사문화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원의 문화유산 생생 정보 공개 서비스,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역사문화유산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한 중원의 역사·문화·관광 콘텐츠의 개발 및 운영, 중원역사문화권의 정체성 규명을 위한 학술조사 및 연구의 활성화 등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VR 기반 문화유산 체험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R-based Cultural Heritage Experience on Visit Intention)

  • 유건우;황경화;권오병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5-122
    • /
    • 2021
  • 최근 COVID-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사회가 되면서 가상현실(VR) 기반으로 문화유산을 체험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VR 콘텐츠 체험이 실제 문화유산이 있는 관광지에 대한 방문으로까지 이어지는지, VR 콘텐츠 체험 만족으로 인해 관광지 방문 의도가 감소하지는 않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VR 기반 문화유산 체험이 유적지 방문 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VR 기반 문화유산 체험이 Web 기반 문화유산 체험에 비하여 가지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DeLone and McLean이 제안한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을 기반으로, 관광 콘텐츠 체험이 유적지 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콘텐츠 체험형태(VR vs. Web)에 따른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VR 기반 콘텐츠 체험 시에 시스템 품질의 편리성과 정보 품질의 실재감, 유용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보품질의 실재감과 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사용의도는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만족도는 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Web을 통해 콘텐츠를 체험한 집단이 VR을 통해 콘텐츠를 체험한 집단보다 정보 품질의 유용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지에 대한 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한 VR 기반 관광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Education Needs for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for Well-Aging)

  • 임효남;김용하;이종형;송현동;황혜정;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205-215
    • /
    • 2021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의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안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로 한국갤럽에 등록된 만 19세 이상 성인 3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건강 상태는 3.11점(SD=.72), 건강증진행위는 2.27점(SD=.47),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92점(SD=.10)이었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 상태(r=.472, p<.001), 건강증진행위(r=.122, p<.026)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내용의 우선순위는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장년기가 청년기보다 지식 정도, 교육의 필요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참여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생애주기별에 따라 세분화 된 종합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외식기업의 정보원천이 신뢰, 구전의도, 그리고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s on Trust, WOM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in the Restaurant Sector)

  • 조미옥;유연우;김은정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3호
    • /
    • pp.1-15
    • /
    • 2022
  • Purpose: In the restaurant sector, it has been known that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 of brands influences their positive WOM intention, and information 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credibility by enhancing consumer awareness and developing differentiated brand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s (e.g., advertisement, WOM, SNS) on trust (cognitive and affective) and, WOM and eWOM intention in the restaurant context. In the model,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play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formation sources (e.g., advertisement, WOM, SNS) WOM and eWOM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search direc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and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is paper based on prior studies.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validated in prior studies. A total of 502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The research model was evaluated using SmartPLS 4.0.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respondents.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ssessed using measurement model analysis. The proposed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Advertisement, WOM, and SNS information source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trust, whereas only WO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trust. In addition, affective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trust and eWOM intention but did not affect WOM intention. Finally, cognitive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WOM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redefines the concept of where restaurant service companies should focus when providing consum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ir products and services. As a resul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positive word of mouth intention to increase new customer visits to the restaurant brand has been expanded. In addition, this study not only presents an information source management strategy for restaurant brands, but also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ource allocation guidelines for customer management in the restaurant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