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ch

검색결과 1,938건 처리시간 0.035초

텍스타일 터치센서를 활용한 스마트폰 제어 기능 재킷 개발 (Development of Smartphone Control Jacket Using Textile Touch Sensor)

  • 박진희;김지선;김주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5호
    • /
    • pp.140-15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ree functions for smartphones and PCs using a textile touch sensor in an everyday sports jacket and to present their usefulness; to this end, we have developed a mutual capacitive textile touch sensor and corresponding structure, and we have implemented three functions into a textile touch sensor jacket, of which we also conducted a usability evaluation. The jacket has a sensor on the wrist of the left sleeve and a device on the left arm. The sensor system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a sensor acting as a switch, a circuit connecting the sensor and the device, and the device that acts as power control and system on/off. The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texture touch sensor jacket in three modes: cell phone mode, music mode, and PPT presentation mode. We conducted an evaluation of each function in each mode, which indicated that all functions performed well without errors and that the switch had excellent operation for the number and intensity of touch. In terms of usability in a humid environment, the performance of touch functions was found to be equally implemented. In the temperature environment, neither high nor low temperatures caused issues with the functions. A wearing satisfaction assessment evaluated psychological satisfaction, clothing convenience, device convenience, device usability, and device effectiveness. This research jacket is thought to be desirable for the relatively bendable, flexible, and intimate sensor used on the clothing, and the circuit made of conductive fabric tape.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다이얼 메뉴 유저 인터페이스 (Dial Menu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 최정환;김연우;장현수;엄영익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84-589
    • /
    • 2008
  •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다른 주변 장치의 도움 없이 손이나 펜 등을 이용해 직접 화면에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 방식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조작을 통해 포인팅 커서를 움직이거나 입력하는 방식에 비해 비교적 유연한 손가락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입력의 유연성과 직관성을 극대화 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손가락을 이용한 조작에 의해 야기되는 조작의 부정확성과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부재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의 큰 단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효율적인 입력을 위한 다이얼 메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기법은 사용자의 명령을 받기 위해 작은 아이콘 형태로 대기하고 있는 비활성화 상대,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받은 후 다이얼 형태로 인터페이스가 전개된 활성화 상태, 활성화 상태에서 원하는 명령을 찾고 실행하기 위한 네 가기 동작인 회전, 확대, 축소, 그리고 클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기법을 통한 직관적인 조작은 터치스크린의 단점인 부정확한 포인팅을 극복하고, 터치스크린이 가지는 드래그 기능을 활용하여 메뉴 검색에 신속성을 부여한다.

  • PDF

중년 여성을 위한 냉감기능성 댄스스포츠 상의 개발 (Development of Cool-touch Functional Dancesport Top for Middle-aged Women)

  • 전미화;장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8-638
    • /
    • 2020
  • This study develops a cool-touch functional Dancesport top for middle-aged women by using cool-touch materials in areas where surface temperature becomes high after exercise. The post-exercise surface temperature of the developed research product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subjective evaluation of cool-touch as well as appearance and movement evaluation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designing the research product, a detachable neckband was made using highly-preferred hydrated polymer crystals. A material with high moisture absorption speed was also used in F1, S1, under arm and B5, while a material with good thermal conductivity was used in other parts of the bodice. Deodorant tape with antibacterial and deodorant effects was incorporated in the armpit for additional comfort. As for wear evaluation of the research produc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10 areas using a material with high moisture absorption spe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ost-exercis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cloth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ed top and the research product in the neckband area was 9.16℃, demonstrating clear cool-touch function in using cool-touch material.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cool-touch function, the results showed high scores when asked about the efficiency of the detachable neckband and the ease of movement when wearing the product. In the appearance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11 items, including redundant folds, tightfit, fit, and design line. The overall mean score of the movement evaluation was 4.6, indicating excellent function for movement.

대형 터치스크린의 고속감지를 위한 주파수분할 동시센싱 기법 (Frequency Division Concurrent Sensing Method for High-Speed Detection of Large Touch Screens)

  • 장운용;김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895-902
    • /
    • 2015
  • 본 논문은 대형 터치스크린을 위한 고속 터치감지 및 노이즈 제거를 위한 FDCS (Frequency division concurrent sensing)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터치스크린 감지방식은 대부분 구동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순차적으로 센싱신호를 분석하기 때문에 감지속도가 터치스크린 크기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대형터치스크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제안된 기법은 모든 드라이브라인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각 센스 라인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는 기법으로 대형스크린에서도 고속의 감지속도를 제공한다. 또한 주파수영역에서 노이즈 필터링기법을 제안하여 터치감지신호는 누적하고 노이즈는 상쇄하며, 터치스크린의 주파수전달함수의 역의 특성을 가지는 pre-distortion equalizer를 적용하여 터치감도 SNR을 더욱 개선한다. 23" 대형 터치스크린 모델에 실제의 환경 노이즈를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본 제안기술이 기존 기법 대비 frame scan rate을 274%, SNR을 43dB 증가시킴을 보인다.

대화면 스마트폰의 한 손 조작 시 터치 사각영역 지원 인터랙션의 유용성 (Validating one-handed interaction modes for supporting touch dead-zone in large screen smartphones)

  • 박민지;김헌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5-3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면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조작 시 터치가 어려운 사각영역의 효율적인 터치를 지원하는 한 손 모드 인터랙션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내 두 종류의 기존 한손 모드들을 분석하였고, 보다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두 개 유형의 한 손 모드들을 추가적으로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기존 및 제안한 한 손 모드들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네 개의 한 손 모드들과 일반터치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터치에 비해 한 손 모드로 사각영역을 터치하는데 오히려 더 긴 시간이 걸렸다. 이는 한손 모드의 경우 모드진입 조작 및 모드전환 애니메이션 시간이 기본적으로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실험참여자들이 일반터치로 사각영역을 터치 시에는 엄지를 많이 뻗어서 터치해야 해서 손의 위치변화가 커지고 연속된 조작을 어려워하였다. 또한 한 손 모드로의 전환효과와 터치 조작반경의 축소로 인하여 주관적 만족도는 한 손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높았다. 한편, 한 손 모드들 중에서는 아이폰의 하단이동 한 손 모드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스마트폰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별 사용자 제스처의 분석 (Analysis of Users' Gestures by Application in Smartphone Touch Interfaces)

  • 김지선;반효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14
    • /
    • 2015
  • 스마트폰이 채택하고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는 기존 피처폰 및 PC에서 채택하던 키패드나 키보드를 전면 대체하는 대중적인 인터페이스로 자리 잡았다. 특히, 터치 인터페이스는 개인별 다양한 동작 인식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별 입력 데이터 특성이 뚜렷이 구분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타나는 애플리케이션별 사용자 제스처를 분석한다. 특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널리 사용되는 게임, 웹 브라우져, 유튜브, 이미지 및 e-book 뷰어, 비디오 플레이어, 카메라, 지도 등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별로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애플리케이션별로 고유한 터치 입력 패턴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어떤 사용자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했는지를 식별하는 용도, 소유자와 다른 입력 패턴이 들어올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는 용도, 나아가 사용자에게 편리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용도 등에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입체 영상에서 터치 인터랙션을 위한 대규모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 (Large scale interactive display system for touch interaction in stereopsis)

  • 강맹관;김정훈;조성현;주우석;윤태수;이동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2-25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LED BAR를 기반으로 하여 3D 입체 영상을 이용하면서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한 대규모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IR LED BAR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의 느낌을 느낄 수 있는 스크린과 떨어진 공간에 인터랙션 막을 생성 한다. band pass filter를 장착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한다. 획득되어진 영상은 영상처리모듈을 통하여 터치 인터랙션 좌표 정보를 구하고 packet으로 저장한다.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packet을 server로 보내며 server에서 메타포 분석 모듈로 packet을 분석하고 메타포 이벤트로 저장하여 콘텐츠에 보낸다. 콘텐츠에서는 실시간으로 메타포 이벤트 결과를 실행하여 입체 영상에서 터치 인터랙션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그로 인하여 직접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아도 시스템과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이용하면서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비전을 이용한 비접촉 스크린 입력장치 (Input Device of Non-Touch Screen Using Vision)

  • 서효동;주영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10호
    • /
    • pp.1946-1950
    • /
    • 2011
  • This paper deals with an input device without the touch. The existing touch screens have some problems such as the week durability by frequent contact and the high cost by complex hardware configuration. In this paper, a non-touch input device is propos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uses a skin color generated by the HCbCr color model and a hand region obtained by the labeling technique. In Addition, the skeleton model is employ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hand motion. Finally,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새로운 문자입력장치 개발을 위한 숙련타이피스트의 타이핑 위치 측정 (The Measurement of Skilled Typist's Typing Position for Developments of New Text Entry Input Device)

  • 김진영;이호길;황성호;최혁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5-130
    • /
    • 2001
  • Skilled typists can type characters or words without looking at keyboard, relying on the finger's relative position. If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ngers can be identified, a virtual keyboard may be accomplish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DataGlove" or "FingerRing". The virtual keyboard may be efficient as a new mobile input device supporting QWERTY keyboard lay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skilled typing pattern, in this paper the touch-positions of the fingers are measured with a touchscreen while five skilled typists type a long sentence. From these measurement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groups of touch-positions are classified into alphabet characters. Though there are some overlapped groups we can find constant distances capable of being discriminated among the groups from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touch-position for touch-time. Based on the analysis, the prediction algorithm of the constant distance is proposed and evaluated, which is useful for realization of a portable virtual keyboard.le virtual keybo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