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etch adhesive syste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chlorhexidine application on the bond strength of resin core to axial dentin in endodontic cavity

  • Kim, Yun-Hee;Shin, D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4호
    • /
    • pp.207-214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chlorhexidine (CHX) on the microtensile bonds strength (${\mu}TBS$) of resin core with two adhesive systems to dentin in endodontic cavities. Materials and Methods: Flat dentinal surfaces in 40 molar endodontic cavities were treated with self-etch adhesive system, Contax (DMG)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Adper Single Bond 2 (3M ESPE) after the following surface treatments: (1) Priming only (Contax), (2) CHX for 15 sec + rinsing + priming (Contax), (3) Etching with priming (Adper Single Bond 2), (4) Etching + CHX for 15 sec + rinsing + priming (Adper Single Bond 2).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made with LuxaCore (DMG) using a bulk method and polymerized for 40 sec. For each condition, half of specimens were submitted to ${\mu}TBS$ after 24 hr storage and half of them were submitted to thermocycling of 10,000 cycl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before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independent t-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95%. Results: CHX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of specimens tested at the immediate testing period, regardless of dentin surface treatments. However, after 10,000 thermocycling, all groups showed reduced bond strength. The amount of reduction was greater in groups without CHX treatments than groups with CHX treatment. These characteristics were the same in both self-etch adhesive system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Conclusions: 2% CHX application for 15 sec proved to alleviate the decrease of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mu}TBS$ between total-etching system and self-etching system.

The effect of different adhesive system applications on push-out bond strengths of glass fiber posts

  • Kivanc, Bagdagul Helvacioglu;Arisu, Hacer Deniz;Uctasli, Mine Betul;Okay, Tufan C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3호
    • /
    • pp.305-311
    • /
    • 2013
  • PURPOSE. Over the past years, the adhesion of fiber posts luted with simplified adhesive systems has been a matter of great interes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ost retentive potential of a self-adhesive resin cement using different adhesive systems to compare the push-out bond strengths of fiber posts. MATERIALS AND METHODS. The post spaces of 56 mandibular premolar roots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4 experimental groups and further divided into 2 subgroups according to testing time (n=7). The fiber posts (Rely X Fiber Post) were luted with a self-adhesive resin cement (RelyX Unicem) and one of the following adhesive systems: no adhesive, a total-etch adhesive resin (Single Bond), a two-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E Bond) and a one-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3 Bond). Each root was cut horizontally, and 1.5 mm thick six root segments were prepared. Push-out tests were performed after one week or three months (0.5 mm/min).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ree-way ANOVA (${\alpha}$=.05). RESULTS. Cervical root segments showed higher bond strength values than middle segments. Adhesive application increased the bond strength. For one week group, the total-etch adhesive resin Single Bond showed higher bond strength than the self-adhesive resin cement RelyX Unicem applied without adhesive resin at middle region. For 3 months group, the two-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E Bond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for both regions. Regarding the time considered, Clearfil SE Bond 3 months group showed higher bond strength values than one week group. CONCLUSION. Using the adhesive resins in combination with the self-adhesive resin cement improves the bond strengths. The bond strength values of two-step self-etch adhesive resin Clearfil SE Bond improved as time passes.

접착제의 접착변수가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근단밀폐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tal-etch, wet-bonding, and light-curing of adhesive on the apical seal of a resin-based root canal filling system)

  • 류원일;손원준;백승호;이인한;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385-396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근벽의 전처리 개념과 접착제의 중합방법이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치근단 밀폐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가지 다른 접착변수를 조합하여 충전한 Resilon-RealSeal 시스템의 근단미세누출을 색소침투법을 이용하여 통상의 가타퍼쳐 충전과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자가부식형 RealSeal primer와 이중중합형 RealSeal sealer를 이용하여 Resilon 충전한 SEDC군, 산부식없이 Scotchbond Multi-Purpose primer를 적용한 후 접착제는 광중합하고 Resilon을 충전한 NELC군, 및 Scotchbond Multi-Purpose의 접착강화제와 접착제를 total etch/wet bonding과 광중합의 술식을 정확하게 지켜서 Resilon을 충전한 TELC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GPCS)에서는 통상의 AH26 plus sealer를 사용하여 가타퍼쳐를 충전 하였다. 결과: 치아장축방향의 색소침투는 TELC군에서 GPCS군과 SEDC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횡단면의 미세누출 점수도 TELC군이 근첨으로부터 2 - 5 mm의 범위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결론: 레진계 근관충전제를 사용 시에는, 자가부식형 전처리제와 이중중합형 sealer보다는, total etch/wet bonding 개념과 적절한 광중합을 도모하는 전처리제 및 접착제의 사용이 치근단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므로 추천된다.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bonding systems to cervical enamel.

  • Shimada, Y.;Kikushima, D.;Iwamoto, N.;Shimura, R.;Ide, T.;Nakaoki, Y.;Tagami, J.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60.1-560
    • /
    • 2001
  • To evaluate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current adhesive systems to cervical and mid-coronal enamel. Materials and Two commercially available resin adhesives were investigated; a self-etching primer system(Clearfil SE Bond, Kyraray) and a one-bottle adhesive system(Single Bond, 3M) intended for use with the total-etch wet-bonding technique were employed. Two regions of enamel, cervical and mid-coronal regions, were chosen from the buccal surface of extracted molars and were then bonded with each adhesive system and submitted to the micro-shear bond test.(중략)

  • PDF

와동벽에서 접착제의 두께가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hesive thicknes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the cavity wall)

  • 이화언;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9-1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와동벽에서 다른 위치에서의 상아질 접착제의 두께를 평가하고, 이런 다양한 접착제의 두께와 미세 인장 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 개의 인간 대구치에 모든 상아질 면이 노출되도록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3개의 치아는 filled adhesive ($Clearfil^{TM}$ SE bond)를 와동 내에 도포하였고, 다른 3개의 치아는 unfilled adhesives ($Scotchbond^{TM}$ Multi Purpose)를 도포하였다.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접착층의 형태와 두께를 관찰하였다. 접착제의 두께는 수직 와동벽을 따라 와동 변연, 와동벽 1/2, 와동 내각의 세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Scotchbond^{TM}$ Multi Purpose와 $Clearfil^{TM}$ SE bond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를 재현하여 미세 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에서 두 가지 상아질 접착제 모두에서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위치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웠으며, 와동 내각의 두꺼운 접착제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는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에서의 얇은 접착제 두께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Influence of different universal adhesives on the repair performance of hybrid CAD-CAM materials

  • Demirel, Gulbike;Baltacioglu, Ismail Hakk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3호
    • /
    • pp.23.1-23.9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mu}SBS$) of different universal adhesive systems applied to hybrid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restorative materials repaired with a composite resin. Materials and Methods: Four types of CAD-CAM hybrid block materials-Lava Ultimate (LA), Vita Enamic (VE), CeraSmart (CS), and Shofu Block HC (SH)-were used in this study, in combination with the following four adhesive protocols: 1) control: porcelain primer + total etch adhesive (CO), 2) Single Bond Universal (SB), 3) All Bond Universal (AB), and 4) Clearfil Universal Bond (CU). The ${\mu}SBS$ of the composite resin (Clearfil Majesty Esthetic) was measur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test,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set at p < 0.05. Results: The CAD-CAM block type and block-adhesive combin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ond strength values (p < 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following pairs of groups: VE/CO and VE/AB, CS/CO and CS/AB, VE/CU and CS/CU, and VE/AB and CS/AB (p < 0.05). Conclusions: The ${\mu}SBS$ values were affected by hybrid block type. All tested universal adhesive treatment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ntrol treatment for repair, except the AB system on VE blocks (the VE/AB group). The ${\mu}SBS$ values showed variation across different adhesive treatments on different hybrid CAD-CAM block types.

Calcium Silicate-based 재료에 대한 수 종 상아질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Shear Bond Strength Comparison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to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 신현옥;김미선;남옥형;이효설;최성철;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45-45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2종의 치수복조재 (Biodentine, RetroMTA)와 임상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상아질 접착제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 80개를 제작하고 2그룹으로 나누어 Biodentine (BD)과 RetroMTA (RMTA)를 중심구 안에 채운 후, 무작위로 10개씩 4개의 하위군을 나누어 재료 상방에 4가지 상아질 접착제인 Clearfill SE (CSE), AQ bond plus (AQ), All bond universal (ABU) 자가부식, ABU 일괄부식을 도포한 뒤 그 위에 복합레진을 적용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해 전단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Kruskal-Wallis를 사용하였고 Mann-Whitney의 사후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BD - ABU 자가부식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RMTA - AQ 군이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ABU 일괄부식과 ABU 자가부식군, ABU 일괄부식과 CSE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같은 상아질접착제 적용 시, BD가 RMTA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또한, BD와 RMTA 그룹 군에서 ABU 자가부식군 도포 후, 레진 적용했을 때 향상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37% 인산 부식제에 의해 발생한 안면피부의 화학 화상 (IATROGENIC CHEMICAL BURN ON FACIAL SKIN BY 37% PHOSPHORIC ACID ETCHANT)

  • 박종현;신혜진;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1호
    • /
    • pp.38-41
    • /
    • 2009
  • 복합레진 수복을 위해 상아질에 total-etch adhesive system을 적용할 경우, 37% 인산 산부식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37% 인산은 매우 강력한 부식제로 구강점막이나 안면피부와 접촉되었을 때 심각한 해로운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복합레진 수복과정에서 사용된 인산 산부식제에 의해 안면피부에 발생된 의원성 화학적 화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산부식제에 의한 화학적 화상은 산부식제를 부주의하고 부적절하게 사용함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원성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부식과 수세과정 후 산부식제가 완전히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하며, 복합레진 수복 시 러버댐이나 적절한 격리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화상이 발생하였다면, 적절한 응급처치 후 피부과로 의뢰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부가적 산부식 시간에 따른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법랑질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S TO TOOTH ENAMEL WITH ADDITIONAL ETCHING)

  • 이형숙;김성기;이동수;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4-521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와 영구치의 법랑질에 자가 산부식 접착제 적용 전 부가적인 산부식 시간을 달리 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각각 65개의 발거된 건전한 유치와 영구치 협, 설면 법랑질 시편을 제작하고 두 종류의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하였다. 실험군은 $Clearfil^{TM}$ SE bond, $Adper^{TM}$ $Prompt^{TM}$ $L-pop^{TM}$으로 처리한 두 개 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산부식 시간에 따라 여섯 군(0, 5, 10, 15, 20, 30초)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으로는 total-etching system인 $Adper^{TM}$ $Scotchbond^{TM}$ Multi-purpose plus를 사용하였다. 접착제 처리면을 복합레진으로 충전하고 24시간 경과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한 군은 유치, 영구치 모두에서 total etching system에 비해 낮은 전단 결합강도를 보였다. 자가 산부식 접착제 사용 군내에서 산부식을 추가로 시행하였을 때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 10초 이상 산부식을 시행한 경우 결합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와 영구치간 결합력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는 유치, 영구치 모두에서 10초 이상의 부가적 산부식이 결합력의 증가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열순환이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RMOCYCLING ON THE DURABILITY OF DENTIN ADHESIVE SYSTEMS)

  • 문영훈;김종률;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222-235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열순환이 4종 상아질 접착 시스템의 결합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것이다. 제3대구치의 상아질층을 노출시킨 후, 무작위로 8개군으로 나눈다: 3단계 산부식 시스템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SM, All Bond-2 ; AB), 2 단계 산부식 시스템 (Single Bond; SB, One Step plus, OS), 2단계 자가부식 시스템 (Clearfil SE Bond; SE, AdheSE; AD), 1 단계 자가부식 시스템 (Promp L-Pop ; PL, Xeno III; XE). 8개 군에 각 상아질 접착제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도포하고 복합레진 (Z250)을 적층한 후, 광조사한다. $37^{\circ}C$ 증류수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각 군마다 정해진 프로그램으로 0, 1000, 2000회 열순환한 후, 저속 diamond saw로 $1\times1mm$ 막대형 시편을 제작한다. Universal testing machine (EZ-test; Shimadzu, Japan)으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유의수준 0.05 level에서 ANOVA / Duncan's test로 통계분석 하였다. 상아질측 파단면과 접착계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단계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열순환 전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2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열순환 처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2단계 자가부식형 접착제 (SE)의 결합강도가 가장 높았고,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 (PL, XE)는 실험군 중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3. 모든 접착제는 주로 접착성 파괴가 발생하였고, 열순환에 의하여 산부식형 접착제는 접착성 파괴가, 1단계 자가부식형 접착제에서는 혼합형 파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단계/과정이 결합내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접착과정의 단순화가 반드시 접착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