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uspended particl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Reduction of energy demand for UF cross-flow membranes in MBR by sponge ball cleaning

  • Issa, Mohammad;Geissen, Sven-Uwe;Vogelpohl, Alfons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2권2호
    • /
    • pp.65-73
    • /
    • 2021
  • Sponge ball cleaning can generate an abrasion effect, which leads to an attractive increasing in both permeate flux and membrane rej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aily sponge ball cleaning (SBC) on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UF cross-flow membrane modules integrated with a bioreactor. Two 1"-membrane modules and one 1/2"-membrane module were tested. The parameters measured and controlled are temperature, pH, viscosity, particle siz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total suspended solids (TSS), and permeate flux. The permeate flux could be improved by 60%, for some modules, after 11 days of daily sponge ball cleaning at a transmembrane pressure of 350 kPa and a flow velocity of 4 m/s. Rejection values of all tested modules were improved by 10%. The highest permeate flux of 195 L/㎡.h was achieved using a 1"-membrane module with the aid of its negatively charged membrane material and the daily sponge ball cleaning. In addition, the enhancement in the permeate flux caused by daily sponge ball cleaning improved the energy specific demand for all tested modules. The negatively charged membrane showed the lowest energy specific demand of 1.31 kWh/㎥ in combination with the highest flux, which is a very competitive result.

분류식 오수관내 퇴적특성과 퇴적방지를 위한 설계법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a Design Method for Preventing Sediment in domestic sanitary sewers)

  • 황환국;김영진;한상종;이정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79-788
    • /
    • 2009
  •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field survey of four sewer networks selected from in domestic sanitary sew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in domestic sanitary sewers and to verify sewer design criteria using minimum Shear Stess for preventing sedimnet.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t a total of 22 points in the four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nitary solids that were sampled for suspended solids and bedload matter showed a specific gravity of 1.09, a median particle size of 1.26mm, and 88.9% organic contents. On the other hand, deposited sediment was found at 6 points out of the 22 monitoring points. The analysis results of disposed sediment showed a specific gravity of 2.16, a median particle size of 1.31mm, and 15% organic contents. In flow velocity, the majority of deposited sites have under 0.6m/s. However, one-site which was in large-diameter collector sewers, has recorded over 0.6m/s. The analysis results of tractive force showed that the ability of tractive force has to be $1.5{\sim}2.0N/m^2$ to prevent sediment in domestic Sanitary sewers. In conclusion, to prevent sediment it is necessary to apply a design velocity criteria higher than 0.6m/s in the large diameter collector sewer.

축산관련차량 이동에 따른 도로의 에어로졸 발생량 분석 (Aerosol Emission from Road by Livestock Transport Vehicle Movement)

  • 서일환;이인복;황현섭;배연정;배승종;문운경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137-147
    • /
    • 2013
  • Most of livestock houses are concentrated in certain area with mass rearing system resulting in rap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The livestock-related vehicles which frequently travel between farms could be a major factor for disease spread by means of transmission of airborne aerosol including pathogen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erosol concentration by field experiment while vehicles were passing through the road. The TSP (total suspended particle) and PM10 (particle matter) were measured using air sampler with teflon filter installed downward the road with consideration of weather forecast and the direction of road. And aerosol spectrometer and video recorders were also used to measure the real-time distribution of aerosol concentration by its size. The results showed that PM2.5 was not considerable for transmission of airborne aerosol from the livestock-related vehicle. The mass generated from the road during the vehicle movement was measured and calculated to 241.4 ${\mu}g/m^3$ by means of the difference between TSP and PM2.5. The dispersion distance was predicted by 79.6 m from the trend curve.

2009년 봄철 황사 단일 입자의 광물학 몇 혼합상태 (Single-Particle Mineralogy and Mixing State of Asian Dust, Spring, 2009)

  • 정기영;최호정;권석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5-234
    • /
    • 2011
  • 2009년 3월 17일 채집된 황사 총시료(TSP)의 개별 입자에 대하여, 고분해 주사전자현미경 및 에너지분산 X선 분광분석을 이용한 광물학적 특성 및 혼합상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황사 입자들 중, 석영, 사장석, K-장석, 각섬석, 흑운모, 백운모, 녹니석, 방해석 등은 비교적 조립질 입자로 산출되며, 이들 입자는 앓은 극미립 일라이트질 점토광물 층으로 피복되어 있다. 극미립 점토광물 입자들은 또한 개별 점토 덩어리를 형성한다. 조립질 방해석 외에 나노섬유 방해석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체로 큰 입자를 피복하거나 점토광물과 함께 덩어리를 형성한다. 입자의 주 광물에 따라 광물학적 분류를 실시하고 빈도를 구하였다. 이번 TSP의 단일입자 광물학적 특성 및 혼합상태는 기존의 $PM_{10}$ 분석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보 설치가 퇴적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eirs Construction in the Han River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 강민경;최인영;박지형;최정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597-6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의 설치가 하천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남한강 하류에 설치된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에 대하여 보의 영향을 잘 대표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9개 지점을 선정해 퇴적물 분석을 진행하였다. 채취한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입도,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 COD, TOC, TP, SRP, TN 항목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퇴적물의 입도 분포는 전 구간에 걸쳐 같은 Sandy loam의 토양분류를 나타내어 준설이 퇴적물의 입도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입도,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 COD, TOC, TP, SRP, TN 항목에서 보 설치지점의 상류 농도가 하류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남한강 하류 유역에 설치된 보가 퇴적물 흐름에 영향을 미쳐 보의 상부에 퇴적양상을 나타내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SRP 및 C/N 비율 분석 결과에서는 지역에 따른 퇴적물 특성의 차이가 크지 않고, 퇴적물의 유기물 기원 분석의 경우에는 과거 퇴적물의 특성이 나타나는 점으로부터 연구가 수행된 시점에서는 보의 설치가 퇴적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남한강 수계에 설치된 보는 강우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토사의 이동 및 퇴적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수층으로의 오염물질의 확산 및 재부유를 발생시켜 수질 및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보 설치구간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농축산저수지 오염퇴적토의 토양정화기술에 대한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oilremediation Technology for Contaminated Sediment in Agro-livestock Reservoir)

  • 정재윤;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3호
    • /
    • pp.157-181
    • /
    • 2020
  • 하천, 호소 및 해양항만의 퇴적물은 수계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종착점이면서 동시에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을 수계로 배출하는 오염원(source)으로 작용한다. 지금까지 오염퇴적물은 육상매립 또는 해양투기해왔던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육상매립은 고 비용, 해양투기는 런던협약으로 인해 전면 금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부지인 왕궁축산단지의 오염퇴적토를 대상으로 토양정화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토양정화방법은 해외 적용사례와 국내 처리 가능한 적용기술을 선별하여 전처리, 퇴비화, 토양세척, 동전기, 열탈착을 적용하였다. 오염특성파악을 위한 대상 부지 조사결과 수질은 용존산소(Disolved Oxigen, DO), 부유물질(Suspended Solid, SS),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질소(Total Nitrogen, TN), 총인(Total Phosphorus, TP) 이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였고 특히 SS, COD, TN, TP는 기준을 수십 배에서 수백 배 초과하였다. 토양은 돼지사료의 성장을 촉진하는 구리, 아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카드뮴이 토양환경보전법 기준치 1지역을 상회하였다. 전처리기술은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활용하여 입도분리를 실시하였으며, 미세토양이 80% 이상 분리되어 선별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퇴비화는 유기물 및 석유계 총 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TPH는 우려기준 이내로 처리되었고, 유기물의 경우 대장균이 높게 분석되어 70℃에서 퇴비화 최적조건을 적용하여 비료규격을 만족하였으나 비료규격에 비하여는 유기물함량이 낮게 분석되었다. 토양세척은 연속추출시험결과 Cd는 미세토에서 5단계인 잔류성(Residual)물질이 확연하게 존재하였고 Cu 및 Zn은 오염분리가 쉬운 이온교환성(1단계), 탄산염(2단계), 철/망간산화물(3단계)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산용출과 다단세척을 단계별로 적용결과 염산, 1.0M, 1:3, 200rpm, 60min이 최적 세척인자로 분석되었으며 다단세척실험결과 오염 퇴적토는 대부분 1단에서 토양환경보전법 우려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적용성 시험결과 중금속오염이 높은 오염토는 전처리 후 토양세척을 적용하여 처리토를 골재로 활용하고, 유기물 및 유류 오염토는 퇴비화를 적용하여 오염물질과 대장균을 사멸한 후 부숙토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소나노튜브 성장 실험실에서 CVD 밀폐 여부에 따른 공기 중 나노입자 농도 비교 (Comparison of Airborne Nanoparticle Concentrations between Carbon Nanotubes Growth Laboratories based on Containment of CVD)

  • 하주현;신용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4-191
    • /
    • 2010
  • Although the usage of nanomaterials including carbon nanotubes (CNTs) has increased in various fields, scientific researches on workers' exposures and controls of these materials are very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irborne nanoparticles concentrations from two university laboratories conducting experiments of CNTs growth based on containment of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Airborne nanoparticle concentrations in three metrics (surface area concentration,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and mass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task using three direct reading instruments. In a laboratory where CVD was not contained, the surface area concentration, number concentration and mass(PM$_1$) concentration of airborne nanoparticles were 1.5 to 3.5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laboratory where CVD was confined. The ratio of PM$_1$ concentration to total suspended particles(TSP) in the laboratory where CVD was not confined was about 4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laboratory. This indicates that CVD is a major source of airbone nanoparticles in the CNTs growth laboratories. In conclusion, researchers performing CNTs growth experiments in these laboratories were exposed to airborne nanoparticles levels higher than background levels, and their exposures in a laboratory with the unconfined CVD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laboratory with the confined CVD. It is recommended that in the CNTs growth laboratories adequate controls including containment of CVD be implemented for minimizing researchers' exposures to airborne nanoparticles.

특정크기 입자농축을 위한 대유량 슬릿형 2단 가상충돌기의 성능분석 (Analysis of High Volume Slit Type Two-Stage Virtual Impactor for Particle Size Classification)

  • 박성호;김상수;오명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85-291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800 1pm인 대유량을 처리하고 공기중 1.8~4.5$\mu\textrm{m}$ 입자를 효율 적으로 선별하여 농축시키는 슬릿형 2단 가상충돌기를 설계 제작하고 그 성능이 평가 되었다. 즉, 첫째단과 둘째단에서 4.5$\mu\textrm{m}$과 1.8$\mu\textrm{m}$이 각각 50%의 효율로 분리되도록 설계되었다. 즉, 첫째단과 둘째단에서 4.5$\mu\textrm{m}$과 1.8$\mu\textrm{m}$이 각각 50%의 효율로 분리되도 록 설계한다. 설계인자(design parameter)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슬릿형 노즐의 1단 가상충돌기의 분리효율(separation efficiency)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50% 커트오 프 Stokes수를 구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2단 가상 충돌기의 주요치수와 작동조건을 결정하였다.

고산에서 측정한 TSP 농도 특성: 통계적 해석 (Characteristics of TSP Concentrations Measured at Gosan: Statistical Analysis)

  • 박민하;김용표;강창희;김원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10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고산에서 측정한 TSP (Total Suspended Particle) 농도 특성을 해석하였다. 우선 황사와 비황사시의 평균농도를 비교하는 t-검정의 기본가정을 점검하였다. 모집단을 정규분포화 하기 위해 당량농도를 Log 변환하였고 이로써 1992~1999년 봄철 황사시 평균농도가 비황사시 평균농도보다 높은 이온 성분은 NH$_4$$^{+}$ 뿐임을 확인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본 가정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다. 또한 봄철에 집중되어 있는 TSP측정기간이 평균값에 미치게 될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측정일수를 유사하게 맞추었다. 측정일수를 맞추어 산정한 평균값과 측정일수가 다른대로 산정한 평균값을 비교해본 결과, 기간별 측정일수가 다름은 평균값에 영향을 미치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해 nss-SO$_4$$^{2-}$ NO$_3$$^{-}$ 과 S/N 비의 경향성을 분석해본 결과, nss-SO$_4$$^{2-}$ 의 경우 통계적으로 그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고 NO$_3$$^{-}$만이 증가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인 S/N 비는 NO$_3$$^{-}$ 에 의한 감소의 경향을 나타냄을 통계 적으로 확인하였다.

대기 부유분진중 발암성 유기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돌연변이원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utagenicities of Carcinogenic Extractable Organic Matters in Airborne Particulates)

  • 정용;신동천;박성은;황만식;이현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1-139
    • /
    • 1995
  • Air suspedned particulates are the most serious factor among air pollutants in Seoul and their extracts have been revealed to be pulmonary carcinogenes. Air particulates were collected at a site representative of the high traffic area of Seoul from December 1993 to May 1994.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nitroarenes in organic extracts of air particulate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and mutagenicity of particle extracts was evaluated by the pre-incubation procedure with Salmonella typhirnurium TA98 and TA 98N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and inhalable (less than 10 $\mu$m) particulates were 169.63 $\mu g/m^3$, 141.92 $\mu g/m^3$, respectively.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s was highest in neutral fraction and was lowest in basic fraction. Among identified 20 PAHs, the level of PAHs with 4-benzen ring i.e., pyrene, benzo(a)anthracene and chrysene were much higher than the PAHs with higher ring numbers. The mutagenicity of air particulates was much higher in the presence of rat liver microsomai fraction (S9 mixture) than that observed in its absence, which indicates that air particulates contained both direct and indirect mutagens. Nitroarenes in this study were not almost detected but mutagenicity of their fraction was higher. These results are represent to research for the identification of nitroarenes in the forward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