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ungi

검색결과 699건 처리시간 0.024초

당밀의 첨가가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lasses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Galgeuntang Meal Silage and the Palatability in Korean Native Goats)

  • 김성복;문계봉;이봉덕;오홍록;배형철;이수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1호
    • /
    • pp.25-34
    • /
    • 2006
  • 본 연구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에서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0, 0.5 및 1.0%의 당밀 첨가수준에 3반복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I에서는 우리나라 재래산양의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실험 I에서, 당밀 1.0% 첨가구가 0.5% 첨가구 및 대조구보다 유산의 함량이 유의하게(p<0.05) 높았고, pH와 낙산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사일리지의 총미생물수(total microbial cell)는 당밀 첨가구가 유산균 배지인 MRS에서는 많게 나타났고, 곰팡이 배지인 PDA에서는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in vitro 건물 소실율에 있어서도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재래산양을 사용한 실험 II에서는 갈근탕을 비롯한 모든 처리구에서 30분 및 6시간 동안의 섭취량은 유의한 성적은 아니지만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갈근탕박은 열탕처리를 거침으로 인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이 부족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이에 대하여 수용성탄수화물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당밀을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되며, 이로 인하여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보존성도 향상된다고 하겠다.

  • PDF

자외선 살균이 고로쇠 수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V Sterilization on Quality of Acer mono Sap)

  • 최수빈;한상진;한억희;김학수;강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8-152
    • /
    • 2013
  • 고로쇠 수액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위해서 총 18가닥의 PFA 불소수지 튜브와 총 30개의 자외선램프(총 1,170 W)로 구성된 자외선 살균기를 제작하고 여과된 고로쇠 수액을 통과시켜 살균하여 미생물 살균효과 및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여과된 고로쇠 수액(FAS)은 여과전 수액(AS)과 비교하였을 때 일반세균수가 81%, 진균수가 54% 감소하였고 관능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속을 달리하여 자외선 살균한 시료들(SAS)은 852 mL/min와 1,358 mL/min의 유속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진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출력을 달리하여 자외선 살균한 시료들(SAS)은 390 W 이상의 출력에서 모든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하였다. 일반적으로 SAS가 AS 및 FAS와 비교하였을 때 관능적으로 상대적으로 좋지 아니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p<0.05), 852~1,358 mL/min의 유속에서 390 W 출력으로 살균하는 것이 다른 SAS에 비하여 관능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관능적으로 양호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자외선 살균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자외선 살균 전후의 pH, 산도, 당도 및 색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살균 전 시료(AS, FAS)와 자외선 살균 후의 시료(SAS)들 사이에 유의적 차이(p<0.05)가 없어 여과 및 자외선 조사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대학신입생들의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실천 (Knowledge and Practice of College Entrants Toward Hepatitis B)

  • 지성애;정규철;박종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31-46
    • /
    • 1988
  • In order to designate a present status necessary for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and guidelines of health education against hepatitis B in the course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 toward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as surveyed by a questionnare method on total of 4,855 college entrants in the academic year of 1987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using IBM PC(Trigem 88-II) with SAS package program. About two per cent of college entrants had past history of HBV infections not showing any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and geographical regions. About one third(33.7%) of total students had tested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only 4% had tested hepatitis B surface antibody(HBsAb) and vaccination rate amounted to 24.6%, one fourth of total subjects. Both serological tests and vaccination were most commonly performed during adolescence, showing higher rates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he rates also seemed to be higher in those from urban cities than those from rural cities. Students who had acquired correct knowledge that hepatitis B was infected by virus were amounted to 78.5% of college entrants, and remaining 21.5% had misunderstood that rickettsia, bacteria, fungi or parasites were causal agents. Female students were better aware of the causal agents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laces of growth. As for mode of transmission of HBV, 51.5% of male students and 47.7% of female students had correct knowledge. A very few student had known that fact that HBV was transmitted by body fluids such as tear(6.9%), nasal discharge(10.1%) and semen or vaginal secretion(19.2%) and majority(75%) of students had misunderstood that hepatitis B virus would be transmitted per os through food ingestion. Approximately one half(48.9%) of college entrants had knew correctly whom to be vaccinated. Approximately one half of the students knew that hepatr;ma(57.8%) and liver cirrhosis(57.4%) might complicate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hereas 12.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bronchitis was one of the complications of hepatitis B infection. In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we highly recommend that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radication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should be introduced in curricula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this country.

  • PDF

폐결핵(肺結核)이나 기타 폐질환환자(肺疾患患者)에서의 진균(眞菌) 합병증(合倂症) (Fung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or Other Lung Diseases)

  • 김상재;홍영표;김신옥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6-32
    • /
    • 1988
  • 성공적인 결핵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만성기침 또는 객담이 있거나 간헐적인 혈담 또 각혈이 있는 환자와 그외에도 진균감염이 의심되는 환자 등 총 1,192명을 대상으로 하여 모든 환자로부터 혈청을 채취하고 대부분의 환자로부터 객담이나 기타 병리가검물을 채취하여 흉부 x선소견과 함께 진균감염여부를 관찰하였다. 면역확산법검사에 의해 한가지 이상의 진균항원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환자는 전체의 34.0%인 405명이고 그중에서 Aspergilli에 감염된 환자는 303명이었고, 대부분의 환자(287명)가 Aspergillus fumigatus에 감염되어 있고 그 다음은 Aspergillus flavus(1.7%) Aspergillus nidulans(0.3%), Aspergillus niger(0. 3%), Aspergillus nidulans var. latus(0.1%)순이며 Candida albicans(8.1%)에도 침강항체반응이 나타났으며 Pseudallerscheria boydii 드물게 분리되는데 9명(8.1%)에도 침강항체반응을 나타내었다. 침강항체반응 양성을 나타내는 186명의 흉부 x선사진에서 진균종 음영이 나타나는 환자가 47명이었고 이들 가운데서 45명이 A. fumigatus 의해 형성되었다. 진균감염 또는 미감염환자 724명의 객담에서 발견되는 진균가운데 46.4%가 Aspergilli였다. 413명의 환자객담에서 분리된 137주의 효모양균주를 분리 동정할 결과 그중 Candida albicans(64.2%)가 가장 많았다.

  • PDF

주거용 아파트 엘리베이터의 미생물 오염도와 영향요인 조사 (Research on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Apartment Tower Elevators)

  • 심원보;서주희;이채원;정명진;김정숙;김형갑;정덕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56-464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elevators in apartment buildings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such microbial contamination. Methods: A total of 144 samples, including from the exterior buttons, interior buttons, elevator handrails, walls, ventilators and airborne bacteria were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from July to August 2013 for six different elevators. The samples were used to detect sanitary indicator bacteria (total bacteria,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pathogenic bacteria (E. coli O15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B. cereus, S. aureus) and fungi. Results: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bacteria were 0.3-3.8 and 0.0-2.4 log CFU/100 $cm^2$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oliform bacteria, the levels were 0.0-3.7 log CFU/100 $cm^2$ in the morning and 0.0-0.3 log CFU/100 $cm^2$ in the afternoon. However, E. coli was not detected among all samples. Bacillus cereus, pathogenic bacteria, was only detected in 13 (11%) among 144 samples. E. coli O15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 aureus were not detected among all samples. Comparing the samples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we could confirm that the samples in the afternoon were cleaner.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amples in the afternoon were cleaner because these samples were collected following routine cleaning. Also, the levels of contamination in the elevators were low and the sanitary conditions were comparatively well-manage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for elevators be cleaned regularly to provide good conditions for people using elevators.

커피박 퇴비 추출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 검정 (The Antifungal Activity of Coffee Ground Compost Extract against Plant Pathogens)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박종호;한은정;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85-9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커피박 퇴비를 개발하고자 커피박과 커피박 퇴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커피전문점의 커피박 pH, EC, Zn 함량이 상업용 커피박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K_2O$, CaO, MgO, $Na_2O$, M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주요 식물병원균 6종(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Alternaria alternata, and Botrytis cinerea)에 대한 커피전문점과 상업용 커피박 퇴비의 수용성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공시한 6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커피박 추출물의 A. altanata 포자발아 억제 및 P. capsici 유주자낭 형성 억제효과를 조사 한 결과, 10% 깻묵+커피박 퇴비 수용성 추출물이 A. altanata의 분생포자 발아관의 신장과 P. capsici의 유주자낭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커피박 퇴비의 기능성을 조사하고자 커피박을 90일간 부숙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부숙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 깻묵+커피박 퇴비에서 90일째에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인 평균 $0.35{\pm}0.03mg\;GAE/g$로 나타냈다.

제주도 식물군락의 생태학적 연구 -비자림 및 문주란 자생지를 중심으로- (Ecological studies on plant communities of Quelpart Island -The communities of the Crinum maritimum and Torreya nucifera-)

  • 차종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1호
    • /
    • pp.13-24
    • /
    • 1970
  • This investigation was one of the series of ecological studies on the plant communities of Quelpart Island which was held in 1969. It was aimed at studying the ground vegetation of Torreya nucifera and the soil properties of the ground in which it grows. Observaton of the flora in a place where wild growth of Crinum maritimum, soi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a place where wild growth occurs, were also made. 1) A few kinds which have important values among the ground vegetation fo Torreya nucifera forest are Liniope graminifolia, Convallaria keiskei, Sasaquelpaertensis, Carex kingiana, Pteridium aquilinum, Pyrola japonica, Hedera tobleri, etc. 2) While the studies of 25 Quadrats were being held, 29 species in A plot, 30 species in B plot, and 26 species in C plot have been found. 3) The kind which has the highest important value among the species located in naked plot(outside of Torreya nucifera forest) is Zoysia japonica and 18 other kinds were found. 4) The soil fertility through all depths are found higher in the forest soil than in that of open places. 5) P2O5, K, and total exchangeable bases etc. have shown the differenc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depth and generally had lower value as much as it goes down. 6) The content of N was a lot higher than any other forest soil and P2O5, K and total exchangeable bases seemed to be a little lower. 7) The overall flora of Todo consists of 71 species (9 species of wood plant and 62 species of herbs) added 28 kinds of non-reported species. 8) Themineral contents are the highest at a place of wind growth of Crinum maritimum which has much organic matter. The subsoil of this place is more fertile than surface soil. 9) The soil of Todo which is sandy soil, consists of shellfish shell and quartz, and has low fertility and alkali. 10) In the total occurrences of micro-organisms, bacteria was the greatest in number followed by actinomycete and fungi, in that order. 11) A survey of the soil depth and the ecologic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icro-organismsm revealed that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s the greatest on the surface, gradually de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depth. 12) It was found that a comparatively greater number of micro-organisms occurred when the soil showed an adequate increase in water content.

  • PDF

당밀의 첨가가 대시호탕(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lasses Supplementation Levels to Daesihotang (Herbal Medicine) Meal on Quality of Silage and the Palatability in Goats)

  • 김성복;문계봉;이봉덕;배형철;이수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83-690
    • /
    • 2006
  • 본 연구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Ⅰ에서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대시호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0, 0.5 및 1.0%의 당밀 첨가수준에 3반복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Ⅱ에서는 우리나라 재래산양의 대시호탕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측정하였다.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실험 Ⅰ에서, 당밀 1% 첨가구가 0.5% 첨가구 및 대조구보다 조단백질 및 유산의 함량이 유의하게(P<0.05) 높았고, pH와 낙산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사일리지의 총균수(total microbial cell)는 당밀 첨가구가 유산균 배지인 MRS에서는 많게 나타났고, 곰팡이 배지인 PDA에서는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in vitro 소실율에 있어서도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소실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실험 Ⅱ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30분 및 6시간 동안의 섭취량은 유의한 성적은 아니지만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시호탕박은 열탕처리를 거침으로 인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이 부족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이에 대하여 수용성탄수화물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당밀을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되며, 이로 인하여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보존성도 향상된다고 하겠다.

미생물제 비료시용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 화학성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LB Microbial fertilizer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Microbial Flora and Growth of Chniese Cabbage (Brassica Co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MAKINO))

  • 윤세영;신중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6
    • /
    • 2001
  • 미생물제 비료시용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 변화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포장시험으로 실시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TLB미생물제 비료를 시용함으로써 배추의 생육은 양호하였으며, 배추수량에 있어서도 유의성 있는 증수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LB미생물제 비료를 시용하더라도 배추생육시 요소비료의 추비량 및 퇴비 시용량을 줄일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TLB 미생물제 비료 시용의 효과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확기의 토양유기물 함량의 감소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토양중 전질소 함량은 0.76~1.44% 범위로 대조구보다 오히려 미생물제 비료 시용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중 유효인산 함량은 시험전 토양의 559ppm에 비하여 배추의 수확기에 대조구 755ppm 그리고 미생물제 시용구 653ppm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미생물제 시용으로 인하여 다소 낮은 편이었다. 한편 배추 수확 후 배추의 화학적 성분은 전 질소 2.62~2.94%, 인산 1.48~1.55%, 칼리 3.60~4.38%범위이었으며, 각 처리간에 함량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토양 미생물상중 전세균수는 대조구보다 미생물제 시용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배추수확기 토양에서 Pseudomonas속이 3배 이상 높은 군락을 보였다. 그러나 방선균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상균수는 수확기 토양에서 미생물제 비료 시용으로 현저히 높은 군락을 형성하였다.

  • PDF

Essential oil mixture 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 an in vitro study

  • Kim, Hanbeen;Jung, Eunsang;Lee, Hyo Gun;Kim, Byeongwoo;Cho, Seongkeun;Lee, Seyoung;Kwon, Inhyuk;Seo, Jakyeo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08-814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mixture (EOM)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hanges in an in vitro. Methods: Thre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used: control (CON, no additive), EOM 0.1 (supplementation of 1 g EOM/kg of substrate), and EOM 0.2 (supplementation of 2 g EOM/kg of substrate). An in vitro ferment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strained rumen fluid for 12 and 24 h incubation periods. At each time poin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IVNDFD), pH, ammonia nitrogen ($NH_3-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s, and relative microbial diversity were estimated. Results: After 24 h incubation, treatments involving EOM supplementation led to significantly higher IVDMD (treatments and quadratic effect; p = 0.019 and 0.008) and IVNDFD (linear effect; p = 0.068) than did the CON treatment. The EOM 0.2 supplementation group had the highest $NH_3-N$ concentration (treatments; p = 0.032). Both EOM supplementations did not affect total VFA concentration an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VFAs; however, total VFA tended to increase in EOM supplementation groups, after 12 h incubation (linear; p = 0.071). Relative protozoa abundance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EOM supplementation (treatments, p<0.001). Selenomonas ruminantium and Ruminococcus albus (treatments; p<0.001 and p = 0.005), abundance was higher in the EOM 0.1 treatment group than in CON. The abundance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fungi and Ruminococcus flavefaciens (treatments; p<0.001, p<0.001, and p = 0.005) was higher following EOM 0.2 treatment. Conclusion: The addition of newly developed EOM increased IVDMD, IVNDFD, and tended to increase total VFA indicating that it may be used as a feed additive to improve rumen fermentation by modulating rumen microbial communities.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detailed metabolic mechanism underlying the effects of EOM sup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