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농업과학연구)
- Volume 33 Issue 1
- /
- Pages.25-34
- /
- 2006
- /
- 2466-2402(pISSN)
- /
- 2466-2410(eISSN)
Effects of Molasses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Galgeuntang Meal Silage and the Palatability in Korean Native Goats
당밀의 첨가가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Bok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Moon, Gye-Bong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Bong-Duk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Oh, Hong-Rock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Bae, Hyung-Chul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oo-Kee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성복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문계봉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이봉덕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오홍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배형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이수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lasses supplementation to silage materials in ensiling Galgeuntang (herbal medicine) meal on the quality of silage, and its palatability in Korean native goats. In experiment I, molasses was added at the levels of 0, 0.5, and 1.0% to Galgeuntang meal with three replicates per treatment. In experiment II, three 1.5-yr-old Korean native goats were used to measure palatability. In experiment I, lactic acid contents in molasses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and pH and butyric acid cont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non-molasses treatment. In addition, molasses treatment increased total microbial cell counts in MRS medium for lactobacillus, but decreased total microbial cell counts in PDA medium for fungi. Molasses supplementation to silage materials increased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Molasses supplementation tended to increase silage intake in Korean native goat (experiment II),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0.05). It is concluded that molasses supplementation to silage materials in ensiling herbal medicine meal could improve its preservability and palatability, the higher the better.
본 연구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에서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0, 0.5 및 1.0%의 당밀 첨가수준에 3반복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I에서는 우리나라 재래산양의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실험 I에서, 당밀 1.0% 첨가구가 0.5% 첨가구 및 대조구보다 유산의 함량이 유의하게(p<0.05) 높았고, pH와 낙산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사일리지의 총미생물수(total microbial cell)는 당밀 첨가구가 유산균 배지인 MRS에서는 많게 나타났고, 곰팡이 배지인 PDA에서는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in vitro 건물 소실율에 있어서도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재래산양을 사용한 실험 II에서는 갈근탕을 비롯한 모든 처리구에서 30분 및 6시간 동안의 섭취량은 유의한 성적은 아니지만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갈근탕박은 열탕처리를 거침으로 인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이 부족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이에 대하여 수용성탄수화물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당밀을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되며, 이로 인하여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보존성도 향상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