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loor area plann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생애주기를 고려한 오피스 건물의 리모델링과 그린리모델링의 경제성 평가 연구 : 서울시 강남업무지구의 임대오피스 사례 (An Economic Evaluation Study of Office Remodeling and Green-remodeling Projects : A Simulation Approach to a Rental Office in GBD, Seoul)

  • 이성호;이재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23-34
    • /
    • 2018
  • Due to a waste of energy in korea, about 525,000 which are 75 percent of total buildings are at least 15 years old buildings that need remodeling. There are two current remodeling systems. One is a remodeling system to reduce a waste of resources from the reconstruction. The other is a green-remodeling system aimed to energy savings and reducing environmental costs. This study is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se current systems with respect to the cost-benefit caused by the life cycle and suggests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For a quantitative analysis, we analyzed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rent benefits with simulation by using opportunity costs, construction costs, plan costs and supervision costs as expense variables and using the reduced floor area ratio, institutional incentives, energy, water resources and certified emission reduction(CER) as benefi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the green-modeling was more beneficial in the field of environment such as the energy savings, however, the final benefits of remodeling which has n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osts but more floor area ratio incentives were more economical. The green-remodeling system focused on reducing environmental costs and energy savings needs a equatable institutional incentive system.

지역별 에너지 소요량과 생산량을 반영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Zero Energy Building considering Energy Demand and Energy Generation by Region)

  • 이순명;이태규;김정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13-2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energy generation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energy demand of the building in terms of zero energy building design. The reason why the zero energy building viewpoint should be discussed is that direction of the building, heat transfer rate of the building, and the S/V ratio of the building are variables related to energy demand and solar panels installed on the building roof and building envelope are variable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his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ly, the simulation model of large office and elementary school has the same mutual volume and total floor area, and the each floor area and number of floors are adjusted so that the S/V ratio is different. To the next, the energy demand and energy generation of the simulation model were derived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of Seoul, Daejeon, Busan. Finally, energy demand, energy generation, and final energy demand were compared with heat transfer rate, S/V ratio, building type, region, and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considerat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in terms of energy gener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t the sam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heat transfer rate, the shape, the region and the direction of the zero energy building design.

종합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의 시설 현황 조사 - 300 병상 미만 병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ility and Equipment of Laboratory Medicine in General Hospital - Focused on less than three hundred bed hospitals)

  • 김영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5-23
    • /
    • 2019
  • Purpose: As the medical laboratories in general hospitals have made an efforts on quality management and employee health, they recognized the need of design guideline for clinical laboratory. As laboratories are prohibited to patients, their environments are becoming more congested and deteriorated as time goes by.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y and equipment of laboratory medicine focusing on less than three hundred patient bed hospitals, and searches the improving matters. Methods: Questionnaires to technologist captains and field surveys to medical laboratories in korean hospital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18 answers have been analysed statistically by MS Excel program.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followings. Clinical laboratory functions are all hematology, clinical chemistry, immunology, transfusion and urine microscopy, and except for three including microbiology for infection and bio safety level. Average man power of lab are 12.3 man including lab director and captain. Patient bed number, space area and total specimen numbers are not correlated with each other, but specimen numbers and employee number are correlated with. Work space distances are usually good, but exit distances are not adequate for escape owing to obstacles. Specimen delivery system by courier, test method by automatic analyzer, access floor for exposed plumbing and electricities are more practical. Open lab layed out in the center and lab support layed peripheral in space diagram. Lab space configuration by SD method showed that lab support area and employee support area are dissatisfied. Implications: Specialized hospital and yearly total specimen numbers are related to the space area and organization for laboratory planning and design.

뮤지컬 공연을 위한 프로시니엄 형식의 무대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scenium Type Stage Space Composition for Musical Performance)

  • 전용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42-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stage planning by analyzing current state of major theaters' stage space and understanding feedback from directors belonged to theaters. Each room in total 18 theaters' stage facilities was measured and their usage and requirements were analyzed on the spot. In addition, each director provided their experiential knowledge about appropriate stage composition for musical performa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 under stage machinery is not needed for musical. Tour teams prefer to use their own show-deck for set conversion. On the other hand, over stage flying system needs to be able to deal with dense, fast, and accurate scene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motor room needs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e number of set battens is directly linked up with the size of the motor room, which should be located lower than the gridiron. As stage sets get bigger and complicated, the number of works at the gridiron is also increasing. The grating floor has to have enough strength coping with machines lifting heavy sets. Most sound control for musical performance is being done at F.O.H. these days rather that in the sound control room. It should equip enough work area and related infra especially for tour teams. 1st gallery needs to have enough effective width, power infra for lighting fixture, and strong guardrail. Lastly, the whole process of parking-unloading-transporting equipments and sets from loading dock to stage and vice versa needs to be efficient, and this has to be carefully considered from early stage of planning.

도시공원에서의 개발행위 특례 적용을 위한 사업수지분석 연구 - 수원시 장기미집행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A Feasibility Study on Acquisition System of the Urban Parks under the Special Use Permit - Focused on the Neighbourhood Parks Unexecuted in Long-term in Suwon City -)

  • 김성용;이창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4-63
    • /
    • 2010
  • 이 연구는 민간공원추진자가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약을 통하여 공원의 본질적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익사업 시행과 함께 미집행 도시공원 부지를 도시공원으로 조성하도록 하는 예외인정제도로서의 개발행위 등 특례제도에 관한 적용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수원시의 장기미집행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개발행위 등 특례에 의거 공원부지 일부를 공동주택으로 개발하고, 그 외 부지를 공원으로 조성하여 공원관리청에 기부체납하는 경우의 사업수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시지가가 높은 도심의 평지형 근린공원은 사업용적률 300%에서 사업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공시지가 낮은 도심 외곽의 산림형 또는 수변형 근린공원의 경우, 사업용적률 200%에서 사유지 면적의 10% 이내에서 사업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보상비와 공원조성비를 합친 사업비는 전체 지출금액의 50% 내외에서 사업수지의 균형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개발행위 특례에 의한 공공 기여 비율을 전체 사업비의 약 50%로 추정할 수 있는 바, 개발행위 특례에 의한 우발이익은 적정 환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화 및 집회시설 적정 주차면 수 산정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영화관을 중심으로 - (Calculation of Appropriate Number of Parking Lots for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 Focused o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Movie Theater -)

  • 진태희;권성대;진일;하태준;이형무;이강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551-557
    • /
    • 2021
  • 건축물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은 주차장법과 지자체 조례에 따라 용도별, 연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최근 문화 및 집회시설의 교통수요 증가와 함께 시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 및 집회시설의 주차면 수 계획 시 법정주차면, 원단위주차면을 사용하지만, 이는 현실성 및 편의성을 고려하지 못했기에 시설 이용에 불편을 주고 주변 도로에 교통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내 문화시설인 영화관의 현실적인 주차면 수 산정을 위한 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내 영화관의 주차면수, 상영관수, 좌석수, 연면적, 버스노선대수, 불법주정차 유·무 등을 조사한 후 SPSS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주차면수 산정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적정 주차면 수 산정모형과 원단위주차면을 비교한 결과, 예측모형이 실제 누적주차면과 더 근사한 값으로 나타나 모형 검증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모형을 기준으로, 문화 및 집회시설 부설주차장 설치 시 현실적으로 적절한 주차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특정지역에 제한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향후 다양한 시설과 인구 및 도시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 및 집회시설 이외의 근린생활시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ealth Facilities for the Aged in Japan

  • Kim, Tae Il;Yoshida, Tomo Hiko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7
    • /
    • 2006
  • Various housing measures are needed for the rapidly aging society of Korea. In particular,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has changed towards the community care. Taking this fact into consider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hat offers the elderly appropriate welfare services at their appropriate residence (ageing in plac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ty care. In this aspect, there are a number of implications to Korea to study merits and demerits of the Health Facilities for the Aged (HFA) in Japan. The society of Japan has been rapidly aging since 1970, and Korea is to face the same situation. As for the data of this study, a total of 2,393 facilities (as of November 1999) mentioned in the annual report of the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were classified based on types of their establishment: (1) free-standing structures (603 facilities); (2) annexes to hospitals (981 facilities); (3) annexes to welfare facilities (511 facilities); and (4) annexes to clinics (298 facilities). Next, 239 facilities were selected through taking a sample of 10 percent from each type of the HFA mentioned above. This was done through the random sampling method with the computer program of MS EXCEL.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health facilities were planned with the scale that was larger than the scale of standard special nursing homes in terms of the total floor area. Precise equations that were to obtain precise results of the scale of the HFA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residents were obtained through the method of the regression analysis. Korea and Japan have similarities in terms of culture, society and family relations; however, the two countries also hav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laws on the establishment of houses,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As for planning the scale of the HFA, the realities of Korea should be considered. Second, as for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HFA with a condition of returning home, the place before and after the HFA showed the pattern of 'from a residential place to a residential place' and 'from a hospital to a hospital.' This reveal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types of the HFAs and operational ways of the facilities. Its cause is considered to be the aspect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HFA rather than the aspect of its function of providing services in association with medical and health facilities. Therefore, when intermediate welfare facilities are considered in Korea, it is strongly advised to consider the problem of annexes to other facilities and efficiency of sharing of the facilities in terms of its operation and management.

가정용수 용도별 사용량의 통계적 특성 분석 (Analysis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ater End-uses)

  • 김화수;이두진;박노석;정관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B호
    • /
    • pp.603-614
    • /
    • 2008
  •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은 주거형태, 거주자 생활양식, 주택구조 등의 내부적인 요인과 온도, 날씨, 수도요금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요인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거주민의 생활양식, 주거형태, 수도관련 시설의 변화 등에 따라 사용량이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단기적으로는 기온이나 가뭄과 같은 기후조건이나 절수정책과 같은 인위적인 영향에 의해 사용량이 크게 변화하기도 한다. 용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과 이해는 사용량의 변화원인과 경향을 설명해주고 여러가지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물사용패턴과 향후 수요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사용패턴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일별, 월별, 계절별 사용량을 비교하고, 또한 가구특성, 기온 등의 외부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용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가정용수의 사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토요일에 사용량이 가장 많고, 월간 중에는 7월의 사용량이 가장 높았으며, 월별 사용량의 첨두율은 평균대비 1.12로 나타났다. 기온에 따른 용도별 사용경향에서 총량용수는 $-14^{\circ}C{\sim}0^{\circ}C$까지 물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circ}C$이상에서는 큰 변화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세면, 세탁, 욕조용수는 $0^{\circ}C$이상에서도 점진적인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변기용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온에 대한 용도별 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세면용수가 상관계수 0.73으로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 변기용수는 -0.14로 매우 낮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각 인자별로 가정용수 사용량 원단위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주택유형, 실거주인수, 가족구성, 건평, 수입, 맞벌이여부, 절수형변기, 비데기유무 등에 대하여 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주택유형의 경우 욕조용수의 사용량에 차이가 발견되었고, 실거주인수는 싱크대, 변기, 기타, 총량용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실거주인수는 세면과 욕조를 제외한 모든 용도별 사용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인수의 증감에 따라 용도별 사용량의 차이가 분명히 발생하며, 이는 향후 가구당 용수사용량을 설계하는 경우 평균 거주인수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특성 분석결과는 수요예측, 수요관리 정책수립, 수도관련 기자재 및 시설의 규격결정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레스토랑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위해 요소 규명 및 위생교육 매체 개발 (Risk Factor Analysis for Preventing Foodborne Illness in Restaurants and the Development of Food Safety Training Materials)

  • 박성희;노재민;장혜자;강영재;곽동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9-600
    • /
    • 2007
  •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객단가 만원에서 이만원 수준의 7개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연구팀이 개발한 위생관리 모니터링 도구를 활용하여 위생관리실태를 조사하고, 위생관리가 소홀히 할 경우에 잠정적으로 식중독 유발 가능성이 있는 주요 리스크 인자를 규명하는 한편, 이를 중심으로 레스토랑의 종사원을 위한 위생관리 교육 매체를 개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에 참여한 외식업체는 한식당 6 업소($A{\sim}F$), 일식당이 1개소(G)이었고, 모두 서울에 위치해 있었다. 업장 면적은 90평($297m^2$)에서 400평($1332.4m^2$) 범위이었고, 주방의 면적은 가장 작은 곳은 4평($13.2m^2$)에서 크게는 120평($396.7m^2$) 범위였으며, 업장면적 대비 주방면적 비율로 환산하면 4.4%에서 30% 수준이었다. 조사에 참여한 외식업체들은 중소 기업형 이상의 업체들로 일일 이용 고객수의 규모는 300명에서 925명이었고, 객단가는 9,000원에서 23,000원 수준이었다. 2. 서울 지역 7개의 외식업소를 대상으로 한 위생 관리 점검 결과, 위생관리 수행도 점수는 100점 만점에 57점 수준으로 많은 개선이 요구되는 수준이었다. 특히 음식의 생산공정을 평가하는 영역인 식품위생 영역에 관한 중점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평가점수는 G업소가 73.0점으로 가장 높았고, A업소가 51.0점으로 가장 낮았다. 영역별 평균점수는 개인위생이 18점 만점에 9.57점(53.1%), 식품위생은 50점 만점에 26.4점(52.8%), 환경위생은 32점 만점에 19.5만점(61.1%)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역별로 중요도를 달리하는 위생 교육이 필요하였다. 3. 위생관리 평가 항목별 점수를 근거로 레스토랑에서 식중독 발생의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는 개인위생에서 '수세대 구비 및 손세척의 올바른 실행(0.29/4점)으로 나타났다. 식품위생측면에서는 '올바른 검수관리(0.29/4점)', '냉장 냉동 식자재 검수 시 온도 확인 및 조치(0/4점)', '상온 창고내 물품의 바닥방치 금지(0/2점)', '생채소와 과일의 적절한 세척(1.71/4점)' 으로 나타났다. 환경위생관리측면에서는 '청소, 소독 프로그램의 수립 및 감독(2/4점)', '방충 및 구서 관리(0.84/2점)', '화장실 청결 관리(0.43/3점)' 등으로 나타났다. 4.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생교육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위생교육 내용은 4가지 원칙 -개인위생확보, 교차오염방지, 시간온도관리, 냉장관리- 으로 구성하였고, 8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교육 설계방식은 강의식 교육을 위주로 하고, 주제별로, 실연식 교육, 시청각 교육, 토의식 교육을 위한 강의 자료를 마련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여 준 레스토랑에서 식중독 예방을 위한 위생관리 활동 내용으로 실천율이 낮은 활동을 규명하고 이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활동을 전개한다면 레스토랑의 식중독 예방에 크게 도움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위생교육 자료를 활용한다면, 외식업체의 전반적인 위생수준을 향상시키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에 외식업계에서 발생되고 있는 식중독 사고는 이상 기후의 영향이나 시설미비도 그 원인이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은 경영층의 위생에 관한 인식부족,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양적으로 과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는 외식업계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외식업체는 위생교육의 지속적인 실천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그 결과를 인사고과시스템에 반영하는 통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