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ater End-uses

가정용수 용도별 사용량의 통계적 특성 분석

  • 김화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 이두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 박노석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
  • 정관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8.04.01
  • Accepted : 2008.08.02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End-uses of household water have been changed by a life style, housing type, weather, water rate and water supply facilities etc. and those variables can be considered as an internal and exogenous factors to estimate long-term demand forecasts.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water consumption in households would give an explanation to cause on the change of trend and would help predicting the water demand of end-use in househ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trends and patterns of household water uses by metering and questionnaire such as occupation, revenue, numbers of family member, housing types, age, floor area and installation of water saving device, etc. The peak water uses were shown at Saturday among weekdays and July in a yea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water use pattern. A steep increase of total water volume can be found in the analysis of water demand trend according to temperature from $-14^{\circ}C$ to $0^{\circ}C$, while there are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phase of more than $0^{\circ}C$, with an almost stable demand. Washbowl water shows the highest and toilet water shows the lowest relation with temperature i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n the results of ANOVA t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unit water use by exogenous factors such as housing type, occupation, number of generation, residential area and income et al., difference was shown in bathtub water by housing type and shown in kitchen, toilet and miscellaneous water by numbers of resident. Especially, definite differences in components except washbowl and bathtub water, could be found by numbers of resident. Based on the result, average residents in a hous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the results can be applied as reference inform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for predicting water demand and establishing water conservation policy. It is expected that these can be used as design factors in planning stage for water and wastewater facilities.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은 주거형태, 거주자 생활양식, 주택구조 등의 내부적인 요인과 온도, 날씨, 수도요금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요인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거주민의 생활양식, 주거형태, 수도관련 시설의 변화 등에 따라 사용량이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단기적으로는 기온이나 가뭄과 같은 기후조건이나 절수정책과 같은 인위적인 영향에 의해 사용량이 크게 변화하기도 한다. 용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과 이해는 사용량의 변화원인과 경향을 설명해주고 여러가지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물사용패턴과 향후 수요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사용패턴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일별, 월별, 계절별 사용량을 비교하고, 또한 가구특성, 기온 등의 외부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용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가정용수의 사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토요일에 사용량이 가장 많고, 월간 중에는 7월의 사용량이 가장 높았으며, 월별 사용량의 첨두율은 평균대비 1.12로 나타났다. 기온에 따른 용도별 사용경향에서 총량용수는 $-14^{\circ}C{\sim}0^{\circ}C$까지 물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circ}C$이상에서는 큰 변화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세면, 세탁, 욕조용수는 $0^{\circ}C$이상에서도 점진적인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변기용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온에 대한 용도별 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세면용수가 상관계수 0.73으로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 변기용수는 -0.14로 매우 낮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각 인자별로 가정용수 사용량 원단위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주택유형, 실거주인수, 가족구성, 건평, 수입, 맞벌이여부, 절수형변기, 비데기유무 등에 대하여 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주택유형의 경우 욕조용수의 사용량에 차이가 발견되었고, 실거주인수는 싱크대, 변기, 기타, 총량용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실거주인수는 세면과 욕조를 제외한 모든 용도별 사용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인수의 증감에 따라 용도별 사용량의 차이가 분명히 발생하며, 이는 향후 가구당 용수사용량을 설계하는 경우 평균 거주인수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특성 분석결과는 수요예측, 수요관리 정책수립, 수도관련 기자재 및 시설의 규격결정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2) 실측을 통한 생활용수의 예측 모델 개발
  2. 김주환, 김화수, 이두진, 김기형(2007)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모니터링을 통한 물수요 특성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29권, 제8호, pp. 864-869
  3. 심정욱, 손영숙, 백장선(2001) 수리통계학, 자유아카데미
  4. 이상은, 최동진, 박희경(2007) 시스템 다이나믹스를 이용한 도시 물수요 장기 예측의 동적 모델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제21권, 제1호, pp. 75-82
  5. 한국수자원공사(2001) 용도별 유량계 설치를 위한 표본선정 수립 용역 보고서
  6. AWWA Research Foundation (2000) Commercial and institutional end uses of water, AWWARF, Denver
  7. AWWA Research Foundation (1999) Residential end uses of water, AWWARF, Denver
  8. Cochran, R. and Cotton, A.W. (1985) Municipal water demand study, oklahoma city and tulsa, oklahom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1, No. 7, pp. 941-943 https://doi.org/10.1029/WR021i007p00941
  9. Darmody, J., Maddaus, W., and Beatty, B. (1998) Water use surveys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emand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11th IWSA-ASPAC Regional Conference, Integrating the Urban Water Cycle, Sydney, 1-5 November
  10. Denver Water (2006) Post drought changes in residential water use
  11.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ics, Vol. 11, pp. 1-42 https://doi.org/10.2307/3001478
  12. Foster, H.S. and Beattie, B.R. (1979) Urban residential demand for water in the united states, Land Economics, Vol. 55, No. 1, pp. 43-58 https://doi.org/10.2307/3145957
  13. Gibbs, K.C. (1978) Price variable in residential water demand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4, pp. 15-18 https://doi.org/10.1029/WR014i001p00015
  14. Zhou, S.L., McMahon, T.A., Walton, A., and Lewis, J. (2000) Forecasting daily water demand: a case study of Melboune, Journal of Hydrology, Vol. 236, pp. 153-164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