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tal T3

검색결과 7,300건 처리시간 0.053초

곤충사료 급여에 따른 반려견들의 기호성 평가(1) (Evaluation of Companion Canine Palatability by Feeding Insect Diets(1))

  • 최인학;정연우;박관호;정태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53-856
    • /
    • 2023
  • This study assesses the palatability of regular canine diets and seven types of black soldier fly-based canine diets when fed to dogs. Sixteen dogs of two typ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8 poodles (average weight 2.7 kg ± 0.5) and 8 bichons frises(average weight 2.0 kg ± 0.5). For intake and first choice, two-bowl tests, adhering to standards of canine palatability, were conducted every two days for a total of 14 days by comparing between the control and each treatment. Data, including total intake and total first choice were collected and accumulated for a total of 58 days. This encompassed 14 days of data on comparison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and 44 days of data on comparison among treatment groups (e.g., T1 vs T2) of black soldier fly-based canine diets. Significance differences in canine palatability was observed in treatments (p<0.05), except for the control and T2 results. Among the two-bowl tests, T1 and T2 exhibited the lowest intake and first choices. In particular, the palatability of canine diets ranked in the order T6 > T3 > T7 > T4 > T5 compared to each control. The total intake demonstrated in the following ranking: T6 > T3 > T7 > T5 > Control > T4 > T2 > T1. The total first choice was highest for T6, followed by T3, T7, T5, T4, Control, T2, and T1. In conclusion, insect diets with higher protein content such as T6, T3, and T7 representing as black soldier fly-based canine diets exhibit higher intake and first choice preferences in canines.

MRI sequence에 따른 GBCA 몰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GBCA Reaction by Mol Concentration Change on MRI Sequence)

  • 정현근;정현도;김호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2호
    • /
    • pp.182-1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GBCA(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를 이용한 MRI 검사 시 다양한 MR 시퀀스에 따른 GBCA 몰농도별 조영증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체 제작한 MR 팬텀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고자 하였다. MR 팬텀을 제작하기 위해 28개의 용기에 500 mmol Gadoteridol을 saline과 혼합하여 각각 500 부터 0 mmol 까지 몰농도를 서로 다르게 하였다. 제작된 MR phantom을 1.5T MRI 장비에서 물리학적 기전이 서로 다른 T1 SE, T2 FLAIR, T1 FLAIR, 3D FLASH, T1 3D SPACE, 3D SPCIR 시퀀스로 스캔하여 신호강도 변화를 측정 한 후 비교 분석 하였다. T1 Spin echo는 Total SI(Signal Intensity)가 15608.7, Max peak는 1 mmol에서 1352.6, T2 FLAIR는 Total SI가 9106.4, Max peak는 0.4 mmol에서 1721.6, T1 FLAIR에서는 Total SI가 20972.5, Max peak는 1 mmol에서 1604.9, 3D FLASH는 Total SI가 20924.0, Max peak는 40 mmol에서 1425.7, 3D SPACE 1mm는 Total SI가 6399.0, Max peak는 3 mmol에서 528.3, 3D SPACE 5mm는 Total SI가 6276.5, Max peak는 2 mmol에서 514.6, 3D SPCIR의 경우는 Total SI가 1778.8, Max peak는 0.4 mmol에서 383.8의 신호강도를 보였다. T1 SE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퀀스에서 몰농도가 높았을 때 보다는 대체적으로 일정이상 희석이 이루어진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또한 서로 다른 물리학적 기전의 다양한 MR시퀀스에서 GBCA의 조영증강 패턴 역시 모두 달랐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시퀀스에 따른 GBCA 농도별 반응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통하여 실제 임상에서의 조영증강검사에 있어서 효율적인 MR검사 프로토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aprylic Acid와 Cyclodextrin 복합물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rylic Acid and Cyclodextrin Complex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 김경훈;설용주;이성실;오영균;남인식;김도형;최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657-6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caprylic acid와 cyclodextrin과의 complex(CA-CD complex)의 첨가수준이 in vitro 반추위 발효 성상과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A-CD complex 무첨가구를 대조구로 설정 하였으며, 처리구로는 CA 20mg 단독 첨가구(T1), CD 830mg 단독 첨가구(T2), CA-CD complex 425mg 첨가구(T3, CA 함량 10mg), CA-CD complex 850mg 첨가구(T4, CA 함량 20mg), CA-CD complex 1700 mg 첨가구(T5, CA 함량 40mg)이며, 3반복으로 4, 8, 12시간의 배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구에서 배양 12시간까지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배양 8시간 후부터 T2, T3, T4, T5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otal VFA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2, T3, T4, T5구들이 8시간과 12시간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Propionate 농도는 배양 8시간에서만 다른 처리구보다 T4, T5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Acetate:Propionate(A/P) 비율은 모든 배양시간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2, T3, T4, T5 처리구에서 배양 4시간부터 대조구보다 암모니아 농도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Total gas는 T1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P< 0.05)인 감소가 있었으나, T2, T3, T4, T5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12시간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Total gas 발생량에 대한 메탄 비율(%)은 12시간 배양시간에서 대조구는 3.4%이었지만, 메탄 발생량이 가장 적었던 T1구는 2.8%, 메탄 발생량이 가장 많았던 T2구는 5.1%, 그리고 T3, T4, T5구는 평균 2.7%로 T1구와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A-CD complex를 이용하면, 반추위내 발효에 부정적 영향 없이 메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벼 품종별 미강의 Tocopherol과 Tocotrienol 함량 평가 (Genotypic Difference in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Rice Bran)

  • 박경열;강창성;조영철;이용선;이영현;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69-472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벼 18품종의 미강을 품종별로 tocopherol, tocotrienol, vitamin E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강 중 tocopherol 함량은 9.12-14.76 범위에 평균은 11.14 mg/100g이었고 tocotrienol은 22.39-37.07 평균 28.03 mg/100g 이었으며, vitamin E 함량은 34.86-46.50으로 평균 39.17 mg/100g이었다. 2. tocopherol함량이 높은 품종은 서진벼 화성벼 추청벼 중안벼 등이고, tocotrienol 함량이 높은 품종은 안다 다마금 대립벼1호 진품벼 중안벼 서진벼 고시히카리 대안벼 봉광벼 등이며, vitamin E 함량이 높은 품종은 안다벼 서진벼 다마금 중안벼 고시히카리 등이었다. 3. 미강의 tocopherol(T) 및 tocotrienol($\textrm{T}_3$) 동족체함량은 $\delta\textrm{-}$T<$\beta\textrm{-}$$\textrm{T}_3$$\beta\textrm{-}$T<$\delta\textrm{-}$$\textrm{T}_3$$\gamma\textrm{-}$T<$\alpha\textrm{-}$T<$\alpha\textrm{-}$$\textrm{T}_3$$\gamma\textrm{-}$$\textrm{T}_3$ 순으로 높았다. 특히 $\gamma\textrm{-}$$\textrm{T}_3$ 의 함량은 $\alpha\textrm{-}$, $\beta\textrm{-}$, $\gamma\textrm{-}$, $\delta\textrm{-}$T의 합 보다 높았고 이러한 현상은 각각의 모든 품종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4. 항산화력이 높고 유방암 항암에 효과가 뛰어난 $\gamma\textrm{-}$$\textrm{T}_3$ 는 평균 17.92 mg/100g으로 총 tocotrienol 중 63.9%, $\delta\textrm{-}$$\textrm{T}_3$ 는 0.88 mg/100g으로 3.1%이었고, $\gamma\textrm{-}$$\textrm{T}_3$ 함량은 안다벼가 33.44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마금 대립벼1호 고시히카리 중 안벼 대안벼 서진벼 진품벼 등의 품종에서 높았다.

ON THE SIGNED TOTAL DOMINATION NUMBER OF GENERALIZED PETERSEN GRAPHS P(n, 2)

  • Li, Wen-Sheng;Xing, Hua-Ming;Sohn, Moo You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6호
    • /
    • pp.2021-2026
    • /
    • 2013
  • Let G = (V,E) be a graph. A function $f:V{\rightarrow}\{-1,+1\}$ defined on the vertices of G is a signed total dominating function if the sum of its function values over any open neighborhood is at least one. The signed total domination number of G, ${\gamma}^s_t(G)$, is the minimum weight of a signed total dominating function of G. In this paper, we study the signed total domination number of generalized Petersen graphs P(n, 2) and prove that for any integer $n{\geq}6$, ${\gamma}^s_t(P(n,2))=2[\frac{n}{3}]+2t$, where $t{\equiv}n(mod\;3)$ and $0 {\leq}t{\leq}2$.

Effects of Seeding Dates on Yield and Feed Value of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 Cultivation

  • Lee, Sang M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5-19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eeding dates on the yield and feed value in cultivating Italian rye grass on paddy soil. The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of 3 repetitions with seeding dates of Oct. 19 (T1), Oct. 26 (T2), Nov. 2 (T3), Nov. 9 (T4), and Nov. 16 (T5) treatments. Plant length,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in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in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On the other hand, NDF, ADF and Crude fiber were de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Total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4 > T3 > T5 > T1 > T2 (p<0.05). The total composition amino acid cont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seeding dates delayed.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T1, whereas the lowest in T5 treatment (p<0.05). Nutrition yields (crude protein, crude fat, amino acid and free sugar)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The abov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favorable to seed soon after rice harvest to increas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on yield of Italian ryegrass in the midlands.

Effects of Microbial Phytase Supplementation to Diets with Low Non-Phytate Phosphorus Levels on the Performance and Bioavailability of Nutrients in Laying Hens

  • Um, J.S.;Paik, I.K.;Chang, M.B.;Lee, B.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203-208
    • /
    • 1999
  • An 8 week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864 ISA Brown laying hens, 48 weeks old, to determine if microbial phytase $(Natuphos^{(R)})$ supplementation can reduce non-phytate phosphorus (NPP) level in laying diet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dietary treatments: T1, control diet with 0.26% NPP (0.55% total P) wand no supplementary phytase; T2, 0.21% NPP (0.50% total P) diet with 250 U of phytase/kg of diet; T3, 0.16% NPP (0.45% total P) diet with 250 U of phytase/kg of diet; and T4, 0.11% NPP (0.40% total P) diet with 250 U of phytase/kg of diet. T3 showed the highest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and the lowest feed conversion while T4 gave the lowest egg production and the highest feed conversion and mortality. Daily feed consumption ranged from 130.4 g (T4) to 132.7 g (T2). T1 and T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roduction parameters. Eggshell strength, egg specific gravity, and eggshell thick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broken egg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T2 and T4 than in T1. Retentions of Ca, P, Mg, and Cu were greater in phytase supplemented treatments (T2, T3, and T4) than the control (T1), and those in T3 and T4 were greater than in T2. Excretions of P in phytase supplemented treatments (T2, T3,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smaller than in T1 but excretions of 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Contents of ash in tibia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reatments, but contents of Ca, P, Mg, and Zn was increased and that of Cu decreased by phytase supplement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NPP concentration in the diet of Brown layers consuming about 130 g/d of feed can be safely lowered from 0.26% (0.55% total P) to 0.16% (0.45% total P). The excretion of P was reduced by the inclusion of 250 U phytase/kg of diet.

논토양에서 파종시기와 재배기간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Dates and Growth Period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in Paddy Field)

  • 이상무;이재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441-448
    • /
    • 2010
  • 본 연구는 파종시기와 재배일수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구 처리는 파종시기를 5월 1일(T1), 5월 8일(T2), 5월 15일(T3), 5월 22일(T4) 및 5월 29 (T5)일로 하고 수확 시기는 일괄 8월 24일로 실시하였다. 따라서 재배기간은 T1, T2, T3, T4 및 T5구가 각각 115, 108, 101, 94, 87일로 난괴법 5처리 3반복으로 하였다. 수확시 숙기는 T1, T2, T3, T4 및 T5구가 각각 황숙기, 황숙기 초기, 호숙기 말기, 호숙기, 호숙기 초기 상태였다. 생육특성에 있어서 초장과 근계 발생(1, 2, 3, 4 차근 발생 정도)은 T5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엽장은 T4구에서(P<0.05), 고사엽, 알곡충실도 암이삭 둘레는 T1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0.01). 그러나 엽폭, 착수고, 엽수, 암이삭 길이, 경의 굵기, 경경도 및 당도에 있어서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물 및 TDN 수량은 파종시가 빠르고 재배기간이 길었던 T1 > T2 > T3 > T4 > T5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조단백질, 조회분, NDF, ADF, 조섬유 함량은 T4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0.01) 조지방 함량은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T4 > T3 > T1 > T2 > T5 순으로 총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T1 > T4 > T2 > T3 > T5 순으로 총 아미노산 함량은 T4 > T1 > T3 > T2 > T5구 순으로 나타났지만 이들 처리구간에는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불포화지방산, 총포화지방산 함량은 T1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1). 그리고 총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의 비율은 T1 > T2 > T3 > T4 > T5구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물성분은 T4구가 4,721.25 mg/100 kg으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는 2,970.80 mg/kg으로서 다른 구에 비하여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논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는 5월 초순에 파종하여 황숙기에 수확 하는 것이 건물수량과 영양수량 생산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료 내 엄나무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 이상무;황주환;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2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가지와 잎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를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가지 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그 추출물을 급여한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사료요구율은 T1과 T3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일반성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pH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T3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엄나무 가지와 잎의 급여구에서 높았고, 엄나무 가지와 잎의 혼합 중탕구인 T3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p<0.05). 계육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특히 T3에서 가장 높았으며 LDL-cholesterol은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엄나무를 급여함에 따라 지방산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포화지방산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T3에서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였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가지와 잎의 중 탕 처리구는(T3)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및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키고, LDL-cholesterol과 포화지방산을 감소시킴으로 cholesterol 및 지방산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oT기반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Total 스마트 미러 기초 실태조사 연구: 뷰티산업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Real Status of Total Smart Mirror(TSM) with IoT-based Augmented Reality(AR): Focused on Beauty Industry)

  • 황은희;윤천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the current perception of Total Smart Mirror Display devised with IoT, focused on Hair beauty industry. In detail,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ed case studies and conditions of Smart Mirror in beauty industry, and to learn, through survey, the real condition of use of Hair Smart Mirror, which is devis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actual state of our country. First, the mean comparison for Total Smart Mirror by gender showed that Function1, Technology 2 and 3 had differences. Second, the mean comparison each by age, external design, function, marketing and technologies showed that Function 4, Marketing 1 to 3, Technology 1 and 3 had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