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tation Surveyi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1초

지형측량을 위한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Non-prism Total Station for Topographic Surveying)

  • 서동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33-441
    • /
    • 2006
  •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로 대상물에 접촉하지 않고, 장비에서 발사된 레이저가 측정대상물에 직접 반사되어 거리를 측정 가능하게 하였다. 더욱이 3차원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이 등장하여 도로, 공항, 항만 등의 토목분야 뿐 아니라 구조물변위, 계측 등의 건축분야에 그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관측거리에 따른 재료 및 반사각도별로 관측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고, 그 활용성을 위하여 지형측량에 적용하였다. 연구한 결과는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은 반사각도가 $90^{\circ}$일 때는 재료와 상관없이 매우 양호한 값으로 분석되었다, 점차적으로 반사각도가 예각으로 증가할 때 RMSE는 높아지는 양상이 보였다. 그리고 관측거리에 따른 재료 및 반사각도별로 회귀분석 한 결과, 관측거리와 반사각도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료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인 지형측량에 있어서 무프리즘 토털스테이션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교통의 흐름이 많은 곳의 도로, 경사각이 높은 암벽의 절리면, 기타 위험지역에서 측량자의 안전과 신속한 측량작업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곡선경로를 가지는 마이크로 터널링의 무인 원격 측량을 위한 자동 추미식 거리 및 각도 측정 시스템 (Development of Auto Tracking Total Station for Unmanned Remote Surveying of Micro Tunneling with Curved Courses)

  • 이진이;김정훈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891-898
    • /
    • 2003
  • Unmanned remote survey system is proposed to measure distance and angle of the present position of micro-tunneling machine from any starting point of entrance. Cross type linear LED that can be controlled remotely is attached to the tunneling machine. Range finder and angle measuring devise fixed to internal of the pipe can scan the center of LED. Distance and angle measuring devises are disposed in the measurable position of the pipe, then the present position of tunneling machine can be calculated automatically from the measurements.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토공량 산정 적용 (An Application of earth-volume Calcula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 이종출;김희규;김대현;노태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5-218
    • /
    • 2003
  • There are lots of ways to measure earth-volume, but recently Total Station and GPS are more frequently used. According to the advance of science,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image by camera are also going to make great progress. So that, in this study, we search the efficiency for earth-volume calcula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 PDF

단일주파수 GNSS 수신기를 위한 전리층 모델 비교 (Comparison of Ionosphere Models for Single Frequency GNSS Receiver)

  • 이창문;박관동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7-150
    • /
    • 2010
  • Ionopheric deley is the largest error sources in GNSS positining. The single frequency receiver user needs an ionospheric model like the Klobuchar model or NeQuick model to eliminate the ionospheric error. In this study we estimated VTEC(Vertical Total Electron Content) over DAEJ station using the two models in each season. We compared the results with Global Ionosphere Maps and 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model predictions. As a result, the NeQuick model was more accurate than Klobuchar model.

  • PDF

A Study of the 3D Unmanned Remote Surveying for the Curved Semi-Shield Tunneling

  • Lee, Jin-Yi;Jun, Jong-Wo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791-1796
    • /
    • 2005
  • Semi-shield tunneling is one of the propulsion construction methods used to lay pipes underground between two pits named 'entrance' and 'destination', respectively. Usually a simple composition, such as 'a fiducial target at the entrance+a total station (TS)+a target on the machine', is used to confirm the planned course. However, unavoidable curved sections are present in small-sized pipe lines, which are laid after implementation of a road system, for public works such as waterworks, sewer, electrical power, and gas and communication networks. Therefore, if the planned course has a curved section, it is difficult to survey the course with the abovementioned simple composition. This difficulty could be solved by using the multiple total stations (MTS), which attaches the cross type linear LED target to oneself. The MTS are disposed to where each TS can detect the LED target at the other TS or the base point or the machine. And the accurate relative positions between each MTS and target are calculated from measured data. This research proposes the relative and absolute coordinate calculation algorithm by using three MTS to measure a curved course with 20m curvature at 30m maximum distance, and verifies the algorithm experimentally.

  • PDF

국내 측량장비 성능검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esting System of Domestic Surveying Equipment)

  • 민관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63
    • /
    • 2016
  • 본 논문은 측량 산업 현장에서 다양하고 고도화된 측량장비에 대한 법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따라 측량장비 성능검사 규정, 기준, 방법 및 절차 등에 대하여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은 우선 측량장비 성능검사와 관련하여 기존 법제도(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국가표준기본법, ISO 17123, JIS B 7912)를 조사 분석하고 국제표준화기구 및 한국인정기구 표준조사를 통해 측량장비 성능검사 적용을 위한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측량장비 성능검사 주기와 관련하여 기기의 정밀정확도, 안정성, 사용목적 및 사용빈도 등을 감안하여 2년을 제시하였다. 둘째, 측량장비 성능기준 개선과 관련하여서는 광파거리측정기 및 토털스테이션에 대해 등급별 측정거리 폐지와 단일프리즘 기준의 정밀도 상향 또는 등급 간 조정을 제시하였다. 셋째, 측량장비 성능검사 방법 개선으로 토털스테이션의 경우 그 주된 기능이 3차원 좌표측정에 있으므로 좌표측정의 정밀도(반복성)을 평가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궤도틀림의 검측값과 측량결과 비교 (Comparison of Track Recording with Surveying in Track irregularity Measurement)

  • 이지하;최일윤;김박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0-1095
    • /
    • 2008
  • Track geometry changes by traffic loads. The bigger the changes are, the worse the riding comfort and running stability of train. This is so-called track irregularity and is the most important quality parameters of ballasted track. To objectively assess track irregularity, track geometry should be able to be measured. Practically, railway companies use moving chord method, which determine versine values via a chord. The versine is the vertical distance to curve measured in the middle of the chord. This type of method measures only versine of track irregularity curve by transfer functio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measuring device. In this report,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measuring tools by comparing the measurements. The one is GRP-1000 system, optical surveying system with Total station and lazar prism trolley. This calculates track geometry by surveying absolute coordinates of two points each on both rail heads. The other is EM-120, measures versine with 10m of symmetrical chord length.

  • PDF

건설현장에서의 VRS-RTK측량 적용성 검토 (An Application of VRS-RTK Surveying in Construction Site)

  • 김인섭;주현승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25-631
    • /
    • 2008
  • 대규모의 토목공사에서 토공량의 확인은 공사비 산정의 적정성 여부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 중 하나이다. 이러한 토공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측량이 요구되고 있으나, 대규모 토공공사가 수행되는 시공현장에서는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광학식 장비를 사용하여 토공량 확인측량을 실시하므로 관측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일수가 부족해져 정밀한 측량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사안은 후일 토공사 시공시 토사 반출입량의 정산문제로 발주자와 시공자간의 분쟁을 야기하는 등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털스테이션 등의 기존의 측량방법에 의해 토공량 확인측량을 실시하는 것과는 달리 VRS-RTK 측량기법에 의한 새로운 기법을 채택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VRS-RTK 시스템은 소수의 인원으로 원지반의 3차원 좌표를 높은 밀도로 신속하게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기법은 제한된 시간 내에 정확한 토공량을 산출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측량기법 중 하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지측량에서의 현장 Calibration에 의한 RTK-GPS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RTK-GPS by Field Calibration in Plane Surveying)

  • 박운용;신동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7-95
    • /
    • 2002
  • 실시간 동적(Real Time Kinematic) GPS는 실시간으로 높은 정밀도의 위치결정을 가능케 해준다. 만약 미지정수를 구하기 위하여 정수해를 사용한다면 수 mm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고, 실 수해를 얻는다면 수십 cm 의 정확도를 얻을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일 측점에 대해 기존의 재래식 측량기법(Total Station), 정적(Static) 상대측위 GPS기법과 현장 Calibration에 의한 실시간 동적(Real Time Kinematic) GPS기법에 의해 측량을 수행하여 각 기법별 측정의 정확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현장 Calibration에 의한 실시간 동적 (Real Time Kinematic) GPS기법의 정확도를 분석고자 한다. 국소지역에서 기존의 실시간 동적(Real Time Kinematic) GPS방식을 보완한 현장 Calibration에 의한 실시간 동적(Real Time Kinematic) GPS 측량을 수행한 결과, 미지정수해의 고정해를 얻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6cm 이하의 오차가 나타났고, Control Point의 측점수를 3개와 4개로 변화시켜 실시간 동적(Real Time Kinematic) GPS 측량을 수행한 결과 두 측정치의 차이는 최대 3cm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국소지역에서도 현장 Calibration에 의한 실시간 동적(Real Time Kinematic) GPS기법이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지적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Data of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 주정준;김성삼;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31
    • /
    • 2004
  • 지적측량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등록된 경계를 지표에 복원할 목적으로 각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으로 크게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되며, 세부측량은 다시 도해지적측량과 수치지적측량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사업으로 구축된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자료에 의한 도해적인 평판측량과 경계점좌표에 의한 수치지적측량을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평판에 의한 도해지적측량 위치오차가 0.766m,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치지적측량 위치오차는 0.638m로 관측되어 도해지적측량에 의한 성과보다 수치지적측량에 의한 성과가 더 정확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적경계측량을 할 경우 PBLIS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