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lication of VRS-RTK Surveying in Construction Site

건설현장에서의 VRS-RTK측량 적용성 검토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Correct evaluation of cut and fill volume of soi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controls construction cost in enormous construction sites. To achieve accurate computation of soil volume in construction site precise surveying is required, however most of construction sites adopt existing optical surveying instruments such as Total Station. The problem when using these optical instruments in construction sites is that these instruments take longer time in data acquisition. Due to insufficiency of computation time accurate and precise observation cannot be accomplished with these equipments. As a result roughly calculated earthwork volume may cause arguments between contractors and supervisors in the matter of reduction or increasement of total construction cost. In this study VRS-RTK Surveying is adopted to perform fast and accurate in-situ surveying for rapid computation of soil volume. This VRS-RTK Surveying system is proved to have more accurate three dimensional coordinates with high density and better economical solution with less manpower.

대규모의 토목공사에서 토공량의 확인은 공사비 산정의 적정성 여부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 중 하나이다. 이러한 토공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측량이 요구되고 있으나, 대규모 토공공사가 수행되는 시공현장에서는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광학식 장비를 사용하여 토공량 확인측량을 실시하므로 관측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일수가 부족해져 정밀한 측량을 수행하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사안은 후일 토공사 시공시 토사 반출입량의 정산문제로 발주자와 시공자간의 분쟁을 야기하는 등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털스테이션 등의 기존의 측량방법에 의해 토공량 확인측량을 실시하는 것과는 달리 VRS-RTK 측량기법에 의한 새로운 기법을 채택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VRS-RTK 시스템은 소수의 인원으로 원지반의 3차원 좌표를 높은 밀도로 신속하게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기법은 제한된 시간 내에 정확한 토공량을 산출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측량기법 중 하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인, 유기석, 박관동, 하지현 (2008), 국토지리정보원 VRS RTK 기준망 내부측점측량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6권제 2호, pp. 139-147
  2. 배경호, 박은용, 이기부, 이동락 (2004), 통계학적 모델링을 통한 Network-GPS 구축 이론적 고찰, 한국측량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61-64
  3. 서두천, 이동한, 박수영, 송정헌, 임효숙 (2006), 모뎀통신을 이용한 RTK-GPS 측량정확도분석,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89-92
  4. 윤홍식, 황진상, 황학, 송동섭 (2007), GPS상시관측점의 실용 표고좌표 결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5권 제4호, pp. 299-307
  5. 이석배, 최보용 (2007), RTK GPS에 의한 하천현황측량,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25권 제 3호, pp. 267-275
  6. 이용창, 강준묵 (2003), GPS기준망의 가상기준점에 의한 후처리 측위분석, 한국측량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5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