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Electron Content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4초

단삼, 도인, 당귀미 및 솔잎의 열수추출물이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 김수민;조영석;김은주;배만종;한준표;이신호;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9-40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rb extracts on lipid oxidation and free radical reaction in iron sources reacted with active oxygen species. The catalytic effects of active oxygen on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tended to show more active in the order of OH, H2O2 and KO2. Herb extracts tended to show a little catalytic effect and 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of herb extracts didn't show. But herb extracts played role as a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if Fe2+ ion exist in oil emulsion. The contents of Fe2+ ion and total iron in Salvia miltiorrhiza Bge. and Angelica gigas Nakai were higher than those of Prunus persica Stockes and pinus strobus. The content of asocrbic acid in Pinus strobus showed the highest (26.97ppm) among several herb extract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Pinus strobus and Salvia miltiorrhiza Bge. were 79.54% and 77.11%,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contents than those of Prunus persical Stokes and Angelica gigas Nakai. The SOD-like activity of Prunus persca Stokes showed 0.16 optical density (O.D), which means the most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mong other herb extracts. The nitrite scavening effects tend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pH. Pinus strobus and Angelica gigas Nakai showed 99.8% and 98.6% nitrite scavening effects at pH 1.2. And the effects were decreased as pH was increased. Especially, they didn't show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in pH 6.0. In conculsin, the Prinus strobus extract among herb extracts were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by evaluating several functional tests.

  • PDF

GPS 전파엄폐 탐측자료의 우주기상 활용방안 (Space Weather Research using GPS Radio Occultation Soundings)

  • 신대윤;디네시마난다르;이정덕;이종혁;김해연;이양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4-22
    • /
    • 2013
  • GPS 전파엄폐는 GPS 전파가 대기에 의해 굴절 및 지연되는 현상에 기초하여 대기의 물리적 특성을 관측하기 위한 원격탐사 기법이다. 2006년 미국과 대만이 공동 개발한 FORMOSAT-3/COSMIC 위성은 하루 2500여건의 전파엄폐 자료를 준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다목적실용위성 5호의 AOPOD(Atmosphere Occultation and Precision Orbit Determination) 시스템은 이중주파수 GPS 수신기 및 전파엄폐 자료수신용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전파엄폐 자료의 획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대류권과 전리층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 전파엄폐의 신호처리와 지오메트리 분석기법을 검토하고, 대류권 온습도와 전리층 전자밀도 및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산출기법을 분석하며, 이러한 전자엄폐 탐측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리층 총전자수 변화를 통한 지진감시와 효율적인 자료서비스를 위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구축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Ground-based Observations of the Polar Region Space Environment at the Jang Bogo Station, Antarctica

  • Kwon, Hyuck-Jin;Lee, Changsup;Jee, Geonhwa;Ham, Young-Bae;Kim, Jeong-Han;Kim, Yong Ha;Kim, Khan-Hyuk;Wu, Qian;Bullett, Terence;Oh, Suyeon;Kwak, Young-Sil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5권3호
    • /
    • pp.185-193
    • /
    • 2018
  • Jang Bogo Station (JBS), the second Korean Antarctic research station, was established in Terra Nova Bay, Antarctica ($74.62^{\circ}S$ $164.22^{\circ}E$) in February 2014 in order to expand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KOPRI) research capabilities. One of the main research areas at JBS is space environmental research.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better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 region ionosphere and thermosphere and their responses to solar wind and the magnetosphere. Ground-based observations at JBS for upper atmospheric wind and temperature measurements using the Fabry-Perot Interferometer (FPI) began in March 2014. Ionospheric radar (VIPIR) measurements have been collected since 2015 to monitor the state of the polar ionosphere for electron density height profiles, horizontal density gradients, and ion drifts. To investigate the magnetosphere and geomagnetic field variations, a search-coil magnetometer and vector magnetometer were installed in 2017 and 2018, respectively. Since JBS is positioned in an ideal location for auroral observations, we installed an auroral all-sky imager with a color sensor in January 2018 to study substorms as well as auroras. In addition to these observations, we are also operating a proton auroral imager, airglow imager, global positioning system total electron content (GPS TEC)/scintillation monitor, and neutron monitor in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es. In this article, we briefly introduce the observational activities performed at JBS and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se observations.

Relationships between Methane Production and Sulfate Reduction in Reclaimed Rice Field Soils

  • Lee, Ju-Hwan;Cho, Kang-Hy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4호
    • /
    • pp.281-288
    • /
    • 2004
  • The change in relationships between methane production and sulfate reduction was investigated in reclaimed rice field soils at different time points after reclamation of tidal flat in Korea. Sulfate concentrations of soils in the ca. 60-year-old and 26-year-old reclaimed rice fields were much lower than that in a natural tidal flat. During 60 d of anaerobic incubation, total methane production and sulfate consumption of the soil slurries were 7.0 ${\mu}$mol $CH_4$/g and 8.2 ${\mu}$mol $SO_4^{2-}$/g in the 60-year-old rice field, 5.6 ${\mu}$mol $CH_4$/g and 12.7 mmol $SO_4^{2-}$/g in the 26-year-old rice field, and ca. 0 mmol $CH_4$/g and 22.4 ${\mu}$mol $SO_4^{2-}$/g in a natural tidal flat. Relative percent electron flow through sulfate reduction in the 60-year-old rice field was much lower (50.8%) compared with the 26-year-old rice field (69.3%) and the tidal flat (99.9%). The addition of an inhibitor of methanogenesis (2-bromoethanesulfonate) had no effect on sulfate reduction in the soil slurries of the reclaimed rice fields. However, instant stimulation of methane production was achieved with addition of an inhibitor of sulfate reduction (molybdate) in the soil slurries from the 26-year-old reclaimed rice field. The specific inhibitor experimen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of methanogenesis and sulfate reduction might become mutually exclusive or syntrophic depending on sulfate content in the soil after reclamation. Sulfate, thus sulfate reduction activity of sulfate-reducing bacteria, would be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that inhibits methane production and determines the major pathway of electron and carbon flow in anaerobic carbon mineralization of reclaimed rice field soils.

Ionospheric Responses to the Earthquake in the Gulf of Alaska and the Kusatsu-Shiranesan Volcanic Eruption on 23 January 2018

  • Shahbazi, Anahita;Park, Jihye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1권4호
    • /
    • pp.305-316
    • /
    • 2022
  • Numerous research reveale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the ionospheric perturbations and various natural hazards. The ionospheric measurements from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observations provide the state of electron contents in the ionosphere that contributes to investigate the source events. In this study, two geophysical events occurred on 23 January 2018, the 7.9 Mw earthquake in Alaska and Kusatsu-Shiranesan volcanic eruption in Japan, are examined to characterize the fingerprint of each event in the ionosphere. Firstly, we extracted the Total Electron Content (TEC) from GNSS measurements, then isolated disturbed wave signatures from the TEC measurements that is referred to as a traveling ionospheric disturbance (TID). As TIDs are short-term ionospheric variations, the major trend of GNSS TEC measurements should be properly removed. We applied a natural neighbor interpolation method together with a leave-one-out cross validation technique for detrending. After detrending the TEC, the remaining signals are further enhanced by applying a band-pass filter and TIDs are detected from them. Finally, the detected TIDs are verified as the response of the ionosphere to Kusatsu-Shiranesan volcanic eruption and Gulf of Alaska earthquake which propagated through the ionosphere with an average velocity of 530 m/s and 724 m/s, respectively. In addition, a coherence analysis is conducted to discriminate between the signatures from a volcanic explosion and an earthquake. The analysis reveals the TID waveforms from each single event are highly correlated, while a low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TIDs from the earthquake and explosion. This study supports the claim that different geophysical events induc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IDs that are detectable by the ionospheric measurements of GNSS.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aehak Waxy Corns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 이상훈;황인국;김현영;이하규;이성희;우선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19-724
    • /
    • 2010
  •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확시기를 적기, 전기(-4일) 및 후기(+4일)로 달리하여 종실특성, 일반성분, 유리당, 무기성분, 지방산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낟알의 백립중, 높이와 넓이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분을 제외한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무기성분 중 구리, 나트륨, 칼슘 및 칼륨은 수확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철과 아연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이 약75%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palmitole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수확적기 이후에 수확된 대학찰옥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4.45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저선량 전자선 조사된 국내산 참다래의 이화학적 품질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Electron Beam-Irradiated Korean Kiwifruits at Low Dose Levels)

  • 김경희;권종숙;이정옥;이병철;박성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03-608
    • /
    • 2007
  • 참다래에 0.3 및 0.6 kGy의 저선량 전자선 조사를 실시한 후 $20^{\circ}C$, 4주간 저장하면서 0, 1, 2, 3 및 4주차에 항산화 활성과 이화학적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소공여능, pH는 조사에 의한 변화는 없었으며, 비타민 C 함량은 조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당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후숙이 진행되면서 증가하였으나 조사에 의한 유의차는 나타내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조사구에서 저장초기에 높았으나 저장기간에 따른 증가폭은 적었다. 유기산의 경우 저장 초기에 조사에 의한 변화가 적으면서 조사한 참다래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유기산 함량의 감소폭이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참다래에 대한 0.6 kGy까지의 전자선 조사는 약간의 후숙 지연 효과를 가지면서 항산화 활성 및 이화학적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꾸지뽕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42-948
    • /
    • 2011
  • 꾸지뽕나무를 잎, 줄기, 열매로 부위별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활성, tyrosinase 저해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추출용매에 따라 70% 에탄올>70% 메탄올>물 추출물순으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줄기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90.20%로 가장 높았다(p<0.05).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ate의 활성보다 높은 수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모든 추출조건에서 잎 추출물이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p<0.05).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70% 메탄올 추출물들이 폴리페놀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OD 유사활성은 잎의 물 추출물이 64.5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p<0.05). Tyrosinase 저해효과에서는 열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이 산성조건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고, 추출조건과 상관없이 잎 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CE 저해 활성은 열매 물 추출물에서 85.14%의 활성을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꾸지뽕 나무의 부위 및 용매에 따라 각각 활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다소 뛰어난 잎의 경우, 일상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식용으로 이용하기 용이하므로 차와 음료 등의 건강 음료개발을 통해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 외 줄기, 열매 등도 잎과 함께 이를 이용한 환, 캡슐 등의 다양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새송이버섯의 항산화성 추출물 제조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설정 (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Antioxidative Extracts from Pleurotus eryngii)

  • 오현인;임태수;이기동;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
    • /
    • 2006
  • 새송이버섯의 부가가치 이용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이용하여 새송이버섯의 추출수율, 전자공여 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효율적인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에너지 용량(60, 90, 120 W), 시료 대 용매비(2, 5, 10 g/100 mL) 및 추출시간(1, 5, 10, 15 min)에 따라 물, $50\%$ 에탄올과 $99\%$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에너지 용량을 $60\~120$ W로 증가시킴에 따라 각 추출물의 항산화성 성분들은 60 W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90 W에서 평형에 이르러 변화하지 않았다. 시료 대 용매비를 1:50에서 1:10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추출수율을 제외한 각 추출물의 유용성분들은 1:10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시간의 영향에서 전자공여작용을 제외하고는 1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5분 이상의 추출시간에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전자공여작용은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값을 보였다 추출용매의 영향에서는 물$>50\%$ 에탄올$>99\%$ 에탄을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에너지 용량, 시료 대 용매비, 추출시간을 각각 60 W, 1:10(g/mL), 1 min으로 설정하여 물을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새송이버섯의 항산화 성분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는 적당한 추출조건이었다.

프로바이오틱 균주에 의한 인삼 잎 추출물 발효공정 확립 및 생성물의 품질 특성분석 (Development of Fermentation Process of Ginseng Leaf Extraction Probiotic Strain and Characterization of Product Quality)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13-1223
    • /
    • 2018
  • 본 연구는 인삼 잎의 이용증대를 위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인삼 잎의 잔류농약 추출효과와 발효 인삼 잎의 ginsenoside 유용 유도체의 전환 검토 및 품질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인삼 잎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을 microwave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는 hexane이 가장 효율적 이었다.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이 잔류되어 있는 인삼 잎에서의 microwave를 이용한 추출 최적 조건은 power 50~95 watts, 추출용매는 hexane, 추출시간은 3분으로 나타났다. 인삼 잎 추출물의 발효에서 발효전과 비교하여 $Rg_1$$Rb_1$은 감소한 반면 $Rh_1$, $Rg_3$, $Rk_1$$Rh_2$는 발효 후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홍삼에서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Rg_3$의 경우 발효전 $2.77{\mu}g/g$에서 발효 후 균주의 종류에 따라 $70.62{\sim}77.61{\mu}g/g$으로 증가하였다. 7일간 발효 후 인삼 잎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전자공여능은 일부 균주에서는 발효전과 비교하여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