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soil preserv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하천 고수부와 제방 비탈면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표토의 집토와 부설 (The Stockpiling and Spreading of Topsoil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Floodplains and the Levee Slope of a Stream)

  • 한승완;김형준;채병구;김정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99-104
    • /
    • 2015
  • 다수의 매토종자를 함유하고 있는 표토는 중요한 생태복원 재료로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이를 실제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하천복원 재료로서 표토의 가치에 대해 재평가하였다. 또한 실제로 황구지천 하천환경정비사업에서 완경사 호안, 고수부 복원, 식재 등에 표토를 활용한 결과 생태적, 치수적, 경제적 및 시공적 측면에서 자연친화적 하천 복원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표토가 하천복원의 유용한 재료인 것을 확인하였다.

하천복원현장에서 표토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at River Restoration Projects)

  • 조용현;이종문;김원태;윤용한;강희경;박봉주;윤택승;장광은;신경준;어양준;곽무영;송홍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4-4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표토보존을 위해 국내 개발분야 중 주요한 사례에 해당하는 하천개발분야에서 표토관리의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는 데 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하천개발과정에서 표토관리의 실태와 문제를 파악하였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국내 하천개선사업 중 환경부의 감독을 받는 생태하천복원사업으로서 최근 완료된 하천을 중심으로 개발 전과 개발 후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식물생장을 위해 최선의 토양관리 및 개선방법으로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을 선호하였다. 둘째, 경제적 문제와 시공의 불편 때문에 실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셋째, 개발 후 식물생장에 필요한 유기물, 총질소 등 토양조건 요인들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다.

Impact of Topsoil Stockpiling Methods on the Viability of Seed Banks

  • Yi, Myung-H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907-923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tockpiling methods for revegetation by comparing the germination status of seed banks before and after preservation for 2 years. Soil temperature in stockpiled topsoil was higher in open treatment and at 1.5 m, whereas soil water content was maintained at lower levels (14.06-19.08%),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seed banks in stockpiled topsoil had 48 species and 1,559 individuals, among which perennials showed the highest number in terms of life forms, whereas Compositae and Gramineae were dominant in terms of families. Based on seed bank type, persist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while transient seed banks had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By stockpiling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seed bank started to increase after 24 months,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began increasing after 12 months and exceeded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24 months. Regarding the treatment of stockpiling method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open treatment were close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en analyzed by height,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er at 0 m, but still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 showed that the optimal combination was obtained in open treatment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with the lengthening of the stockpiling period.

토지개발사업의 표토보존에 있어서의 과제 (The Issues of Topsoil Preservation in Land Development Projects)

  • 김선미;이인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21호
    • /
    • pp.91-96
    • /
    • 2007
  • 대규모 개발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우리는 종종 무의식적으로 토양층을 교란시키게 된다. 식물 성장에 있어 토양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토양 중 표토층은 식물 생장에 필요한 많은 영양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토양층의 파괴는 식재된 수목의 하자와 직접 연결된다. 살아있는 식물을 다루는 조경공사에서는 공사 후 높은 하자율을 걱정하기에 앞서 수목의 원활한 활착을 위해 토양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 및 토양의 기본적인 성질과 표토의 중요성, 표토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안 등에 대해 고찰하고 사례연구로 한국토지공사에서 시행한 용인 동백지구의 표토 활용사례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표토층 보존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목의 성장률, 건강도, 수형 등은 직접적으로 토양의 질과 연결되고 양질의 토양은 수목의 원활한 생장을 가져와 결국 수준 높은 경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를 파악하고 수목의 성장에 적정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량한 토양으로 인한 수목의 하자율을 사전에 방지하고 수목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방안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한국 골프장의 친환경적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f Pro-environmental Development for Golf Course in Korea)

  • 김광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9-78
    • /
    • 1998
  • Nowadays,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of golf courses and it is necessary to make more golf courses than the present. To do this, we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with the regional inhabitants, and it is said that the first thing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y golf course in Korea is to preserve the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forth several design factors to lessen the negative impacts which are accompanied with the development of golf courses. 1. The present conditions of golf courses in Korea Many new golf courses have come into being, particularly since the late 1980s, and now, in the year of 1997, over one hundred of golf courses are doing their business, yet the number of golf course is still less than required. So far, over a half of them have been made in the vicinity of Seoul on account of various reasons, and this has adversely affected on our natural environment. This unreasonable development of golf courses has caused serious water pollution, landslides and the other problems. Also, the topography of Korea is not good for golf courses. Although the demands of golf courses are increasing, the suitable sites for them are very limited, and therefore it is sometimes unavoidable to make golf courses on steep hills. Consequently, in designing golf courses in Korea,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balance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environment. 2.Eco-friendly golf course design factors 1) The concept of eco-friendly golf courses Ecologically sustainable and sound golf courses which are made by eco-friendly approaches 2)Basic conditions of eco-friendly golf courses (1)The most suitable sites (2) Conservation of existing ground as much as possible (3)Proper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which have great impacts on the environment (4) Reasonable use of fertilizers (5) Developing a specialized fertilizer only for grass (6) Adaptation of organic agriculture (7) Improvement of grass sorts (8) Establishing reservoirs for purifying the water from golf courses 3) Eco-friendly golf courses (1) Location-Enough area /Gentle slope/Winding ground/Including lakes or streams /Not crossing wind's main direction Facing south or southeast /Suitable soIl for grass /Good drainage /Low level of underground water (2)Course layout and design -Consideration about existing contours as much as possible -Adaptation of Scotish design trend -Various holes' configuration -Consideration toward surrounding landscapes -Reducing grass areas -Giving buffer zones -Adapting computer methods in the process of site analysis and design (3) Eco-friendly considerations in constructing and managing golf courses -Protection of wildlife -Reuse of existing forests and preservation of topsoil -Renovation of old-fashioned courses -Reducing grass areas -Purification of water -Standization of management -Strict regulations against chemicals -Recycling organic materials -Through separation of the water inside golf courses and out of bounds -Getting proper construction works done in a due time 4.Eco-friendly considerations from a viewpoint of cultural environment 1) Well-matched landscape design and events planning 2) Implement of identifications and awarding systerns 3)Acknowledgement of superintendents' qualitications in the maintenance of golf courses 4)Increasing public golf courses and keeping good relationships with the neighbors near golf courses Key words: Pro-environmental development, Golf course.

  • PDF

전통 사적공간의 경관관리를 위한 생태환경 분석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for the Landscape Management of the Heritage Site: -A Case of Dongguneung, Kyunggi Province-)

  • 이선;진상철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66-377
    • /
    • 2002
  • 전통 사적공간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방안을 위하여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조선 왕릉의 대표적인 능인 동구릉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식생을 군락으로 구분해보면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 (Quercus serrata-Quercus mon-golica commnunity), 오리나무군락 (Alnus japonica community), 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의 하위군락으로는 아까시나무아군락(Robinia pseudo-acacia subcommunity), 리기다소나무아군락 (Pinus rigida subcommunity), 잣나무아군락(Pinus koraiensis subcommunity), 전형아군락(typical subcommunity), 서어나무아군락(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y), 상수리나무아군락 (Quer-cus acutissima subcommunity)등이 분포한다. 그 중 아까시나무아군락, 리기다소나무아군락, 잣나무아군락, 오리나무군락 등은 조림식생 이다. 토양분석 결과 동구릉의 토양은 사양토가 대부분이며 토양 평균 pH는 4.67 (4.36~5.68)이다. 토양속의 구리, 납, 아연 등과 같은 중금속은 산림토양내 자연함유량에 비해 약 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과 전질소의 함량은 표토층인 경우 4.87%, 0.21%, 심토층인 경우 2.29%, 0,15%로서 화강암 모재 산림토양의 표토층 유기물 및 전질소의 평균치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토양 보비력의 지표인 CEC(양이온치 환용량), 치환성 K, Ca, Mg는 표토층인 경우 15.0cmol $kg^{-1}$, 0.25 cmol $kg^{-1}$, 2.07 cmol $kg^{-1}$, 0.40 cmol $kg^{-1}$로 화강암 모재 산림토양의 표토층 평균치인 CEC 13.2cmol $kg^{-1}$, Ca 2.64 cmol $kg^{-1}$, Mg 1.52 cmol $kg^{-1}$에 비해 CEC는 높으나 치환성 양이온은 다소 낮아 임지비배관리나 토양개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길도 윤선도원림(명승 제34호) 낙서재지역 원형복원과 귀암(龜巖) 발굴의 성과 (Achievement of Excavation of Gwiam(Turtle Rock) and Nakseojae Restoration in Bogil-do Yun,Seondo Wonlim)

  • 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1-120
    • /
    • 2012
  • 본 논문은 조경학분야의 주도로 수행된 원림유적의 문화재발굴 사업에 대한 일련의 성과를 다룬 것으로, 보길도 윤선도 원림(명승 제34호)의 낙서재 복원에서 귀암(龜巖) 발굴이 시사하는 역사적 가치와 발굴의 성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발굴결과, 귀암은 낙서재 정북쪽으로 14.6m 지역에 매몰되어 있었고, 매몰면의 깊이는 10~50cm 정도의 표토층이 낙서재 쪽으로 오르막 경사를 두고 피복되어 있었다. 귀암 실측결과, 길이 360cm, 너비 270cm, 높이 95cm의 화강암으로 암석의 형태는 거북의 머리에 해당하는 북서편 모서리부분이 삼각형을 띄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45^{\circ}$ 경사를 이루고 있었다. 머리 뒤쪽에는 귀갑 형태로 양쪽 홈이 파여 넓은 등판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남동방향으로 꼬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돌출되어 있었다. 이 화강암은 거북의 머리와 꼬리부분이 인위적으로 조각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확연한 거북의 형상을 지니며 규모상으로 위치 변동 등의 교란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낙서재 복원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거북 형상의 바위인 귀암은 윤위의 보길도지(甫吉島識)와 고산유고(孤山遺稿)에 기록된 사령(四靈)의 하나이며, 달 구경(玩月)의 장소로 기록되어 있으나, 그동안 실체를 확인할 길이 없었다. 이 귀암은 낙서재(樂書齋) 일원의 중요 지형지물로써 보길도지에 소은병(小隱屛)-낙서재(樂書齋)-귀암(龜巖)이 축선(軸線) 상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고산의 손자인 이관(爾寬)의 건물 개축 시에도 앞 기둥을 이곳에 지지한 기록이 남아있어, 그동안 난항을 겪었던 낙서재 지역의 원형복원에 중요한 지표물로 그 가치가 있다. 또한, 원지반 확인결과, 표토층 135cm 아래 암반하단부에 단단한 원토양이 발견되어 현, 낙서재 지역의 원지반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확인되었다. 귀암은 이관의 건물 개축 당시 묻혔다는 기록을 끝으로 그동안 3차례 낙서재 지역 발굴조사에서도 확인되지 않았으나, 금번 연구의 결과로 최소한으로 보더라도 260여년 만에 그 실체가 드러나게 된 것이다. 이는 낙서재 지역의 원형복원과 조경학분야의 중요성을 제고할 수 있는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다. 향후 귀암의 보존처리와 고산의 시문에 나오는 사령의 의미해석 등에 대한 공간추정 등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