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al map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7초

본류와 폐천의 식물상과 식생분포의 비교 (Comparisons of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Main and Abandoned Channels)

  • 조형진;홍일;여홍구;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73
    • /
    • 2009
  • 황구지천과 청미천의 본류와 폐천에서 하도형태, 식물상 및 식생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항공사진과 옛 지형도를 분석한 결과, 폐천은 제방축조에 의해 사행하도가 단절되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식물종수와 귀화식물 백분율은 본류가 폐천에 비해 높았다. 두 폐천에서 수생, 습생식물 종수의 백분율은 각각의 본류에서 보다 높았다. 주성분분석결과 폐천과 본류 사이의 식물상 구조는 황구지천이 청미천에 비해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두 폐천에서 수생, 습생 식물 분포 면적비율은 각각의 본류에 비해 높았다. 두 폐천에서 우점식물은 정수식물인 줄이었다. 따라서 폐천의 식물상과 식생분포는 습생, 정수 생태계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경관수준에서 다양성을 제공하였다.

  • PDF

RUSLE 기법을 이용한 경주지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Soil Erosion in Gyeongju Using RUSLE Method)

  • 오정학;유주한;김경태;이우성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313-32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plan of top soil conservation in soil environment and preventing the soil loss by establishing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using RUS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apply the RUSLE model, we calculated the potential amount of soil loss by using 5 factors; rainfall erosion factor(R), topographical factor(LS), soil erosion factor(K), land cover factor(C) and erosion control factor(P). The assessment map of soil loss was drawn up by classifying 5 grades. According to the soil loss estimation by the RUSLE, it showed that approximately 83.9% of the study area had relatively lower possibility of soil loss which was the 1 ton/ha in annual soil loss. Whereas, the 7.0% of the study area was defined as high risk area which was the 10 ton/ha in annual. Therefore, this area was needed that there was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of farm land, improvement of cultivation environment and so forth. In future, if we will analyze the amount of soil loss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Hyeongsan river watershed,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soil environment in Gyeongsangbuk-do.

유도틀 설치에 따른 평창강 수변의 지형변화 연구 (Study on Topographical Changes by Frame of Wooden Groyne at the Riparian of the Pyungchang River)

  • 김병문;김현호;황길순;김동억;박정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970-970
    • /
    • 2012
  • 최근 치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원래 자연하천의 모습을 보전 혹은 복원하는 "생태하천 복원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공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시설물의 조성 시 유황에 따른 자연 하안 유도와 습지형태의 생물 서식공간 조성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창강 일원에 목재 유도틀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지형변화, 저서무척추동물을 포함한 수생생물들의 서식특성을 분석하였다. 평창강 금당계곡 일원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통해 수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산에 있는 수리모형 실험장에서 기본 수리특성 실험 후 수리적 안정성이 확보된 지점에 목재 유도틀을 2009년 9월에 설치하여 유도틀 설치 전과 설치 후 2010년 10월까지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였다. 지형의 측량은 광파측정기(니콘 DTM-520)로 하였으며 측량된 자료를 이용하여 Contour Map을 작성하여 지형변화를 분석하였고, 유도틀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2010년에 3차에 걸쳐 지형 및 생물상 변화에 대한 정량 및 정성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유도틀 설치 후 2010년 하절기에 집중호우에 의한 유도틀의 파손 및 형태변형 등 문제가 없어 수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형 변화의 측면에서는 유도틀 조성 전 사질로 되어있던 단순한 선형의 하안이 유도틀 설치 후 다양한 하상재질 및 형태가 변화했으며 유도틀의 배치에 따라서 굼치 및 둠벙형 습지가 형성되었다. 유도틀 설치지역의 3개지점(상부, 중간배후습지, 하부)에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설치된 유도틀의 중간지점에서 가장 높게 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지점과 하부지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으나 상부지점 보다는 하부지점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개체수의 변화에서는 종수변화와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깔다구와 꼬마줄날도래등 특정종의 증식이 많았다. 또한, 굼치 및 둠벙형 습지 내에 어류의 치어 및 유어, 양서류, 파충류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도틀에 의해 생성 및 유도된 지형변화가 하천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생물들에게 다양한 피난처 및 은신처 역할을 잘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독나지(秃裸地)와 지질인자(地質因子)와의 관계(關係) (Relation Between Barelands and Geological Factors)

  • 강위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65
    • /
    • 1974
  • 산지(山地)에 있어서 독나지발생(秃裸地發生)과 지질인자(地質因子)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산림자원조사연구소(山林資源調査硏究所)에서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하여 제작한 오만분지일산지리용구분도(五萬分之一山地利用區分圖)와 오만분지일(五萬分之一) 한국지질도(圖) 및 백만분지일(百萬分之一) 대한지질도(大韓地質圖)를 사용(使用)하여 양자(兩者)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 고찰(考察)한 결과(結果) 1. 화강암(花崗巖),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 경상층(慶尙層)(사암(砂巖), 역암(礫岩), 혈암(頁岩)) 기타지질지대(其他地質地帶)의 순(順)으로 독나지발생개수(秃裸地發生個數) 및 면적(面積)의 율(率)이 많고 특(特)히 화강암지대(花崗巖地帶)의 독나지발생면적(秃裸地發生面積)은 전체(全體)의 57%를 점(占)하는 많은 면적(面積)을 차지하고 있다. 2. 화강암지대(花崗巖地帶)는 개소당(個所當) 독나지(秃裸地) 평균면적(平均面積)이 크고(32ha)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은 중간(中間)(l5ha), 경상층(慶尙層)은 작았다(l3ha).

  • PDF

위성자료의 한국 금강 하구부근 조간대 지형 연구에 대한 응용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on Geomorphological Study of the Tidal Flats near Kum River Estuary)

  • 안충현;이용국;유흥룡;오재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2
    • /
    • 1989
  • LANDSAT 위성의 Thematic Mapper 자료는 해안지형 등의 연구에 그 효율성이 매우 높아 본 연구에서는 위성자료의 기하학적 보정, 영상중첩 기법 등을 통하여 금강하구 부근의 조 간대 지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9개의 TM및 MSS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자 료처리에는 VAX 11/780 컴퓨터시스템이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금강하구 일대 조간대의 조위에 따른 기본분포도와 지형단면도가 작성되어 금강하구에서 부터 멀어질수록 조간대 경사단면의 형 태가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위가 비슷한 자료의 중첩에 의한 비교 분석결과 단기 적인 조간대 지형의 변화가 파악되었다. 아울러 금강으로부터의 부유물질의 이동 확산형탱와 표 충수온의 분포가 연구되어 조시에 따른 부유퇴적물의 이동 형태와 표층수온의 분포양상이 파악되 었다.

원격탐사와 공간정보를 활용한 미계측 유역 홍수범람 해석에 관한 연구(II) - 침수 피해면적 산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Flood in an Ungauged Watershed using Remotely Sensed and Geospatial Datasets (II) - Focus on Estimation of Flood Inundation -)

  • 손아롱;김종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2호
    • /
    • pp.797-808
    • /
    • 2019
  • 본 연구는 유량 실측자료를 활용할 수 없는 미계측유역을 대상으로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탐사자료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최근 태풍 라이언록으로 인하여 홍수피해가 발생했던 북한 두만강유역을 선정하였다. 홍수해석에 필요한 지형학적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ASTER GDEM을 활용하였다. 일반적으로 DEM은 하천구역(제외지)에서는 수표면 표고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해서 하천단면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하천단면을 적용하여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천단면이 홍수범람면적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천단면을 보간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침수면적과 침수심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지만 주의 깊게 사용한다면 홍수위험지도 작성 및 대응 대비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ssessment of Rainfall Runoff and Flood Inundation in the Mekong River Basin by Using RRI Model

  • Try, Sophal;Lee, Giha;Yu, Wansik;Oeurng, Chantha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191
    • /
    • 2017
  • Floods have become more widespread and frequent among natural disasters and consisted significant losses of lives and properties worldwide. Flood's impacts are threatening socio-economic and people's lives in the Mekong River Basin every ye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d hazard areas and inundation depth in the Mekong River Basin. A rainfall-runoff and flood inundation model is necessar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 of flooding. Rainfall-Runoff-Inundation (RRI) model, a two-dimensional model capable of simulating rainfall-runoff and flood inundation simultaneously, was applied in this study. HydoSHEDS Topographical data, APPRODITE precipitation, MODIS land use, and river cross section were used as input data for the simulation. The Shuffled Complex Evolution (SCE-UA) global optimization method was integrated with RRI model to calibrate the sensitive parameters. In the present study, we selected flood event in 2000 which was considered as 50-year return period flood in term of discharge volume of 500 km3. The simula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observed discharge at the stations along the mainstream and inundation map produced by Dartmouth Flood Observatory and Landsat 7. The results indicated good agreement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discharge with NSE = 0.86 at Stung Treng Station. The model predicted inundation extent with success rate SR = 67.50% and modified success rate MSR = 74.53%. In conclusion, the RRI model was successfully used to simulate rainfall runoff and inundation processes in the large scale Mekong River Basin with a good performance.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put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result.

  • PDF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 정위 레이어 자동추출 (Automated Extraction of Orthorectified Building Layer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 김승희;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9-353
    • /
    • 2023
  •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제공이 증가함에 따라 위성영상의 위치정확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복변위를 제거하고 인공지물의 정위가 수립된 정사영상 생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구축된 건물 높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원본 위성영상에서의 건물 옥상면과 건물포함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된 건물 옥상면을 정위치 편집하여 건물 정위 레이어(layer)를 생성하였다. 추출된 건물포함영역을 이용하여 위성영상에서 건물영역을 공백 처리하여 비건물 정위 레이어를 생성하였다. 이후, 실감정사 건물레이어와 실감정사 비건물레이어를 중첩하여 최종 정사영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KOMPSAT-3 및 KOMPSAT-3A 위성영상을 이용해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수치지형도와 중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건물 정위 레이어는 0.4 m의 위치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 방법을 통해 도심지역에 대한 자동 실감정사영상 생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강원 지역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 지역의 사면특성 분석 (Analysis of Slope Characteristics Around the Location of Solar Power Plants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 김범준;김지호;박용철;윤찬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33-4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강원 지역의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 지역의 사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GIS 기법과 위성지도를 활용하여 강릉과 원주 지역의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현황을 조사하였다. 강릉과 원주 지역의 태양광 발전시설은 각각 36, 48개소의 발전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릉과 원주 지역의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지역에 대한 지형자료를 수집하여 면적, 사면경사, 해발고도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후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강릉과 원주 지역의 산지 태양광 발전 시설이 설치된 지역의 사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주 지역의 사면은 강릉 지역 보다 더 높은 사면경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릉과 원주 지역의 태양광 시설 내에서 15°와 34° 이상의 최대경사를 갖는 지역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이용한 우면산 산사태 취약성도 제작 및 현장조사를 통한 사후검증 (Susceptibility Mapping of Umyeonsan Using Logistic Regression (LR) Model and Post-validation through Field Investigation)

  • 이선민;이명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2호
    • /
    • pp.1047-1060
    • /
    • 2017
  • 현대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 현상은 비정상적인 기상 현상을 빈번히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21세기에는 폭우와 같이 수문학적 측면에서 물의 특성이 전과 다르고, 수문학적 재해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도시 지역에서는 재해로 인한 피해가 극대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재해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시 자연 재해인 산사태를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LR)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산사태 이후의 관리 현황을 조사 및 검증하였다. 현장조사 대상 지역은 기존에 산사태 발생지역 및 본 연구의 연구결과로부터 산사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난 지역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기존 산사태 발생지 데이터는 2011년 우면산 산사태 당시의 현장조사 자료 및 항공사진 비교분석을 통해 추출하였다. 산사태 관련 요인은 항공사진으로부터 제작된 지형도와 임상도에서 추출하였다. 산사태 취약성 지도는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총 13개 요인을 통해 구성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LR 모델을 적용하여 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해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검증한 결과 77.79%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연구결과에 나타난 산사태 취약지역에 대해 2011년 산사태 이후 산사태가 어떻게 관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도시 산사태 관리에 관한 정책 수립에 있어 과학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