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al map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1초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한 국·공유지 무단점유 시설물 탐색 (Detection of Unauthorized Facilities Occupying on the National and Public Land Using Spatial Data)

  • 이재빈;김성용;장한메;허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7-74
    • /
    • 2018
  • 본 연구는 대표적인 공간정보 자료인 연속지적도와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국 공유지 무단점유 의심 시설물을 탐지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 공유지 대장 자료와 연속지적도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연계하여 국 공유지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PNU 코드를 활용하여 서로 다른 기관들에서 관리하는 자료들을 하나의 공간정보 DB로 통합하였으며, 연속지적도 상에서 각각의 필지에 대해 국 공유지의 공부상 사용/미사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구축된 국 공유지 공간정보 DB와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공부상 미사용 국 공유지 필지에 존재하는 무단점유 의심 시설물들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론을 실험 대상지역에 대해 적용하고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 구축된 공간정보 데이터들의 활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국 공유지의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창 운곡습지의 식물군락 다양성과 분포 특성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on the Ungok Wetland in Gochang)

  • 김종원;이승은;류태복
    • 생태와환경
    • /
    • 제50권3호
    • /
    • pp.295-304
    • /
    • 2017
  • 습지보호지역인 전북 고창 운곡습지의 현존식생에 대한 군락분류와 군락분포를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국제식생명명규약에 따라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서식처 기반의 식생 다양성은 침수식생으로부터 연목림식생에 이르기까지 7가지 상관식생형에서 총 88분류군으로 이루어진 12가지 단위식생이 분류되었다: 버드나무-골풀군락, 선버들-이삭사초군집, 달뿌리풀-갈퀴덩굴군락, 갈대군집, 매자기군집, 애기부들-나도겨풀군락, 골풀-별날개골풀군락, 나도겨풀군집, 마름-어리연꽃군집 (전형아군집과 네가래아군집(신칭), 가시연꽃변군집 포함), 연꽃군락, 참통발군락, 말즘군집. 축척 1 : 5,000의 지형도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 공간분포를 기재하였다. 산간 선상지 습지를 포함한 배후습지와 원수대식생역의 서식처-단위식생 대응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운곡습지 생태 관리의 바탕 정보를 제공한다.

DTED와 1:50,000 수치지형도에 의한 격자 DEM의 지형 매개변수 비교 (Comparison of Topographical Parameter for DTED and Grid DEM from 1:50,000 Digital Map)

  • 김연준;신계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32
    • /
    • 2002
  • 지형 정보는 표고 자료가 요구되는 응용에서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응용에는 배수 유역, 하천망의 추출, 가시권 분석, 지형학적 특징의 분석, 지형에 관련된 산사태 유형의 양적인 분석 및 산사태 발생지역에서 민감도 분석을 위한 지형 위치의 검증 등이 있다. 그러므로 DEM으로부터 추출된 지형 매개변수 자료의 정확도를 연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격자 DEM을 이용하여 자료원과 격자크기가 지형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형매개변수 분석은 수치지형도로 구축된 것과 DTED DEM을 이용하여 배수유역, 유역경사, 하천망을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격자 DEM으로부터 하천망을 추출하는 경우 DEM 격자크기에 관계없이 흐름누적 임계값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자료원에 동일한 흐름누적 임계값을 적용하여 하천망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1/1,000 수치지도 구축체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1/1,000 Digital Map Construction System)

  • 박찬혁;송영선;김원대;이상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38
    • /
    • 2016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현재 제작 관리중인 우리나라의 지도는 축척에 따라 1/1,000, 1/2,500, 1/5,000의 대축척 지도와 1/25,000, 1/50,000 및 이하 소축척 지도가 있다. 이 중에서 1/1,000 수치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대축척 수치지도로서 1995년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의 추진과 함께 구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1/1,000 수치지도는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계획에 근거한 기본측량에 의한 제작보다는 지방자치단체의 당해 연도 목적에 의한 공공측량으로 많은 부분이 제작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1/5,000 수치지도가 최신성의 확보를 위해 상시수정체계로 제작됨에 비해서 1/1,000 수치지도는 대축척 지도로써 정확도 확보와 정밀한 공간정보의 제공을 위해서 많은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로 인해 지금까지 원활한 지도의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구축된 1/1,000 수치지도를 측량 주체별, 자자체별, 대상지별로 구축현황을 조사하고, 구축을 위한 실행체계, 구축대상지 선정 등에 대한 문제점과 수치지의 수정주기 및 최신성 등을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제시하였다. 문제점의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으로서, 3년 이내 정비 및 3년 주기 상시수정을 위한 전국의 3권역화, 지형 지물을 이용한 핵심도심지 경계의 재설정, 예산집행 방식의 다양화 및 실행체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 이종수;이우균;윤정호;송철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63-671
    • /
    • 2006
  • 본 연구는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수치 임상도와 현존식생도를 활용하여 $100m{\times}100m$ 격자 단위로 전국 단위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100m{\times}100m$ 래스터 격자 단위의 지형, 기후, 토양 관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이상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도와 주제도간의 GIS 기반 공간 분석을 실시하여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공간분포 특성을 활용하여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출현빈도모델을 제시하였다. 소나무림의 경우 참나무류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표고가 낮고 경사도가 완만하며 기온이 높은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나무림은 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화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한 반면, 참나무류림은 사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변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지리형태학적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회귀식으로 도출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요소를 고려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임분의 합리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이용정보체계 용도지역지구 데이터 정비방안 (A Study on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Zoning Data Maintenance Plan)

  • 이세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51-72
    • /
    • 2021
  • 본 연구는 지형도면 고시 및 등재 절차에서 발생하는 용도지역지구 데이터의 오류 유형과 원인을 밝힘으로써 데이터 정비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같은 규정중심의 토지이용규제방식이 지배적이다. 즉 법령 내 토지이용규제방식에 따라 정부는 전국의 모든 필지에 용도지역지구 지정과 행위제한 사항을 두고 있으며, 토지소유자들은 국토이용정보체계를 통해 내 토지의 토지이용규제사항을 확인하게 된다. 더 나아가 토지이용계획확인서는 개인 간의 토지거래나 개발행위허가와 같은 행정처분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토지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형도면고시를 통해 토지이용규제정보가 생산되는 절차와 데이터의 구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오류들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여건을 고려해 유형별로 데이터 실증 가능한 4개 지자체를 선정하였고,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수급하고 오류 검정 방법을 수립하여 수행한 결과 어떤 유형의 데이터 오류가 많고, 발생 원인이 무엇인지를 진단하였다. 다수의 오류는 첫째, 분산된 시스템 환경에서 실제 지형도면 고시 결과와 시스템의 데이터가 다르게 표기되는 등 국토이용정보체계 내 데이터 구축 및 관리상의 오류이고, 둘째, 지형도면고시 작성 지침 내 검수 기준과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민간업체 위탁으로 데이터 정비를 하면서 발생하는 전문성 부족의 오류, 셋째, 베이스 맵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속지적도와 용도지역지구DB와의 관계성에서 오는 오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데이터 정비방안들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이 「제3차 국토이용정보체계 구축계획」 수립 이후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토이용정보플랫폼(KLIP)의 구축과 법제도 개편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고지도와 사진에 의한 월미도의 3차원 영상 복원 (3D Image Restitution of Weolmido by using Old Maps and Photos)

  • 박경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7-124
    • /
    • 2010
  • 월미도는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많은 변화를 겪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월미도의 옛모습을 3차원으로 영상복원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18년, 1928년, 1969년도 종이지도와 2008년도 수치지도 그리고 1954년도 항공사진을 활용하였다. 또한 당시의 사진을 통해 건축물의 모습과 지형지물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를 복원에 활용하였다. 영상복원은 지도제작과 사진측량학적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각 시대의 모습을 3차원으로 복원하고 그 변화를 비교할 수 있었다.

고려정궁 내부 배치의 복원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 우성훈;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3호
    • /
    • pp.59-79
    • /
    • 2006
  •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positioning which the historical architecture will be understood better through collecting results from researches which was done on various points of views and positions. Therefore, a study on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also becomes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positioning which it possess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as the results from the excavation and preceding researches were not integrated toge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layout of main palace is remaining on a partial and conceptual level.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review in overall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using historical documents, precedent researches, excavation maps, topographical map and cadastral maps. Consequent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ame of some of the ruins and restore the location and layout of other building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esented above, will becom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in more realistic and way. Furthermore, it could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for related researches.

  • PDF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 푸코의 고고학적 언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 Focusing on the Archaeological Statement of Foucault -)

  • 박경애;박영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10
  • This study is about Foucault'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relevance for structur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history. By Foucault's Theory, regionalism is product of the instrumentality of space, power, knowledge and provide the basis for making the operation of power both spatial and tempo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opographical map of historical progres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forming of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on the poststructural-archaeological aspect.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suggests Foucault's 'Theory of archaeology'. It mentions 'historical apriori' and archive, collateral space and general grammar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archaeological logic. Secondly, it clarifies 'stateme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that is 'episteme' in which they emerge and exist within a field of discourse. And it discuss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concept as a social product on the situated character of interaction in time-space. Finally, it studies genetic variation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based on the social progress in Korean society. And it analyses practical actions of 'Statements' in terms of general grammar and textuality.

물(水)의 풍수론적 시각에서 본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구성의 해석에 관한 연구 - 하회.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Spatial Composition and Location of Traditional Village from the Water of Feng-Shui Theory - in the case of villages of Hawei and Yangdong -)

  • 이응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13-222
    • /
    • 1999
  • This study, from conditions connected with water in Feng-Shui theory, is to find out their influence of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udied villages, Hawei and Yangdong, and then to offer the result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village in the future. The study method is to analyze topography by the map and present state of villages studied, to interprete them on the base of location, spatial composition, and chi, and then to analyze the relevancy of Feng-Shui theory of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are to be following: Houses of Hawei village are situated on the inside of a winding stream of waterway, while those of Yang dong village are located on the outside of a winding stream of waterway. In case of Hawei village, showed the close inte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present houses and running speed of waterway by positin. Judging from the location, orientation and surroundings of mountains and waterway, topographical composition of Hawei village is Duk su guk, but that of Yang dong village is Juang feng guk. Comparing with Yang dong and Hawei in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the conditions of waterway as being locational factor, for example, the geomancy of situation, orientation, and phisical phenomena(lenth, width, and depth of waterway in front of village) of waterway, are more importantly considered in Hawei village being situated on even land than in Yang dong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