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ic Information

검색결과 1,928건 처리시간 0.035초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지역 특성 기반 도시재생 유형 추천 시스템 제안 (Suggestion of Urban Regeneration Typ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Using Text Mining)

  • 김익준;이준호;김효민;강주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3호
    • /
    • pp.149-169
    • /
    • 2020
  • 현 정부의 주요 국책사업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매년 100 곳씩, 5년간 500곳을대상으로 50조를 투자하여 낙후된 지역을 개발하는 것으로 언론과 지자체의 높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 사업모델은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동네 살리기, 주거정비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시가지형, 경제기반형" 등 다섯 가지로 나뉘어 추진되어 그 지역 본래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도시재생 성공 키워드는 "주민 참여", "지역특화" "부처협업", "민관협력"이다. 성공 키워드에 따르면 지자체에서 정부에게 도시재생 사업을 제안할 때 지역주민, 민간기업의 도움과 함께 도시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도시의 특성에 어울리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재생 사업 후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인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고려하면 그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 유형을 선정하여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 방법론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 서울시가 지역 특성에 기반하여 추진하고 있는 "2025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의 도시재생 유형을 참고하여 도시재생 사업지에 맞는 도시재생 유형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시 도시재생 유형은 "저이용저개발, 쇠퇴낙후, 노후주거, 역사문화자원 특화" 네 가지로 분류된다 (Shon and Park, 2017). 지역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총 4가지 도시재생 유형에 대해 사업이 진행된 22개의 지역에 대한 뉴스 미디어 10만여건의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도시재생 유형에 따른 지역별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유형별 차이가 있는 지 탐색해 보았다. 다음 단계로 주어진 텍스트를 기반으로 도시재생 유형을 추천하는 추천시스템 구축을 위해 텍스트 데이터를 벡터로 변환하여 머신러닝 분류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검증한 결과 97%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추천 시스템은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규 사업지의 지역 특성에 기반한 도시재생 유형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맨틱 웹 자원의 랭킹을 위한 알고리즘: 클래스중심 접근방법 (A Ranking Algorithm for Semantic Web Resources: A Class-oriented Approach)

  • 노상규;박현정;박진수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7권4호
    • /
    • pp.31-59
    • /
    • 2007
  • We frequently use search engines to find relevant information in the Web but still end up with too much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information overload, ranking algorithms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domains. As more information will be available in the futu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ranking search results will become more critical. In this paper, we propose a ranking algorithm for the Semantic Web resources, specifically RDF resources. Traditionally, the importance of a particular Web page is estimated based on the number of key words found in the page, which is subject to manipulation. In contrast, link analysis methods such as Google's PageRank capitalize on the information which is inherent in the link structure of the Web graph. PageRank considers a certain page highly important if it is referred to by many other pages. The degree of the importance also increases if the importance of the referring pages is high. Kleinberg's algorithm is another link-structure based ranking algorithm for Web pages. Unlike PageRank, Kleinberg's algorithm utilizes two kinds of scores: the authority score and the hub score. If a page has a high authority score, it is an authority on a given topic and many pages refer to it. A page with a high hub score links to many authoritative pages. As mentioned above, the link-structure based ranking method has been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World Wide Web(WWW), and nowadays, many people recogniz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it. On the other hand, as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RDF) data model forms the foundation of the Semantic Web, any information in the Semantic Web can be expressed with RDF graph, making the ranking algorithm for RDF knowledge bases greatly important. The RDF graph consists of nodes and directional links similar to the Web graph. As a result, the link-structure based ranking method seems to be highly applicable to ranking the Semantic Web resources. However, the information space of the Semantic Web is more complex than that of WWW. For instance, WWW can be considered as one huge class, i.e., a collection of Web pages, which has only a recursive property, i.e., a 'refers to' property corresponding to the hyperlinks. However, the Semantic Web encompasses various kinds of classes and properties, and consequently, ranking methods used in WWW should be modified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space in the Semantic Web. Previous research addressed the ranking problem of query results retrieved from RDF knowledge bases. Mukherjea and Bamba modified Kleinberg's algorithm in order to apply their algorithm to rank the Semantic Web resources. They defined the objectivity score and the subjectivity score of a resource, which correspond to the authority score and the hub score of Kleinberg's, respectively. They concentrated on the diversity of properties and introduced property weights to control the influence of a resource on another resour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perty linking the two resources. A node with a high objectivity score becomes the object of many RDF triples, and a node with a high subjectivity score becomes the subject of many RDF triples. They developed several kinds of Semantic Web systems in order to validate their technique and showed some experimental results verifying the applicability of their method to the Semantic Web. Despite their efforts, however, there remained some limitations which they reported in their paper. First, their algorithm is useful only when a Semantic Web system represents most of the knowledge pertaining to a certain domain. In other words, the ratio of links to nodes should be high, or overall resources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to a certain degree for their algorithm to properly work. Second, a Tightly-Knit Community(TKC) effect, the phenomenon that pages which are less important but yet densely connected have higher scores than the ones that are more important but sparsely connected, remains as problematic. Third, a resource may have a high score, not because it is actually important, but simply because it is very common and as a consequence it has many links pointing to it. In this paper, we examine such ranking problems from a novel perspective and propose a new algorithm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under the previous studies. Our proposed method is based on a class-oriented approach. In contrast to the predicate-oriented approach entertained by the previous research, a user, under our approach, determines the weights of a property by comparing its relative significance to the other properties when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resources in a specific class. This approach stems from the idea that most queries are supposed to find resources belonging to the same class in the Semantic Web, which consists of many heterogeneous classes in RDF Schema. This approach closely reflects the way that people, in the real world, evaluate something, and will turn out to be superior to the predicate-oriented approach for the Semantic Web. Our proposed algorithm can resolve the TKC(Tightly Knit Community) effect, and further can shed lights on other limitations posed by the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we propose two ways to incorporate data-type properties which have not been employed even in the case when they have some significance on the resource importance. We designed an experiment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algorithm and the validity of ranking results, which was not tried ever in previous research. We also conducted a comprehensive mathematical analysis, which was overlooked in previous research. The mathematical analysis enabled us to simplify the calculation procedure. Finally, we summarize our experimental results and discuss further research issues.

소아치과 진정법에 사용되는 약제 (Agents Used for Pediatric Dental Sedation)

  • 김지연;정태성;양연미;유승훈;최성철;신터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9-116
    • /
    • 2016
  • 오늘날 소아치과 진료에 있어서 진정법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한소아치과학회는 학회원들의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진정법 시행을 돕기 위해 진정법 위원회를 결성하고 2014년 소아치과 개원의들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 한 바 있다. 이 설문조사 결과, 진정법을 시행하는 교육 코스가 만들어 진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6%가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진정법 교육과정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으로 안전한 약물용량과 가이드라인이 2위를 차지하여 1위인 응급상황 시 대처법 다음으로 교육받고 싶은 내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물을 선택하고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용량을 일률적으로 정하여 지침을 제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고 실제적으로도 그 어떤 진정법 지침에도 약물의 용량을 제시해 놓지는 않았다. 성공적인 진정법을 위해 소아치과의사는 각 과정마다 개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각 진정제의 고유의 약효뿐 만 아니라 다른 약제들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종설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진정제들에 대한 정보를 되새기고 의사용 처방편람(Physicians' Desk Reference: PDR) 및 소아치과 분야의 다양한 교과서의 추천용량을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한약물을 이용한 혈관신생 촉진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 (Recent Studies of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Angiogenesis)

  • 이송실;강중원;백용현;최도영;박동석;김덕윤;김강일;박상도;양하루;지미영;이제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83-302
    • /
    • 2004
  • Background : Angiogenesis is the proliferation of a network of blood vessels emanating from pre-existing vessels, supplying nutrients and oxygen and removing waste products. Angiogenesis occurs in a variety of normal physiologic and pathologic conditions and is regulated by a balance of stimulatory and inhibitory angiogenic factors. Excessive angiogenesis should be suppressed. However, if blood supply is insufficient, it should be encouraged. Hyul-Mek(血脈) or Hyul-Rark(血絡), known as blood vessels in western medicine, is deeply related to Chung-Ki-Hyul(精 氣 血).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angiogenesis that is involved in wound healing and enhancement of blood supply. Methods : We conducte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for the identification, retrieval, and bibliographic management of independent studies to locate information on the topic. A computerized search of the published literature of Korea(KISS, RISS), China(CNKI), Japan(Kampo medicine, etc), and western countries(MEDLINE) was performed, and further supplemented with manual searches of print sources(1999 to 2003). Results : The herbal medicines with angiogenic activity were mainly found among herbs that carry replenish Shin-Cheng(補腎益精), foster Eum and improve the circulation of blood(養陰活血), or warm and circulate Kyung-Rark(溫經通絡). In particular, herbs with improve the circulation of blood and clear blood(活血化瘀) activity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tannin, saponin, and pyrazine. Conclusion : Replenish Ki-Hyul(補氣血) and circulate Kyung-Rark(通經絡) could contribute to the induction of angiogenesis because various growth factors and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are involved in angiogenic activity.

  • PDF

가상 시점 영상 합성을 위한 깊이 기반 가려짐 영역 메움법 (A Depth-based Disocclusion Filling Method for Virtual Viewpoint Image Synthesis)

  • 안일구;김창익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6호
    • /
    • pp.48-60
    • /
    • 2011
  • 최근 3차원 영상과 자유 시점 영상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다시점 영상 사이를 가상적으로 이동하며 시청할 수 있는 자유 시점 렌더링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어 주목받는 연구주제이다. 하지만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은 경제적인 비용 및 전송의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한 장의 텍스처 영상과 상응하는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을 생성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가상 시점 생성 시 발생하는 문제점은 원래 시점에서는 객체에 의해 가려져 있던 영역이 가상시점에서는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 가려짐 영역을 자연스럽게 채우는 것은 가상 시점 렌더링의 질을 결정한다. 본 논문은 가상 시점 렌더링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가려짐 영역을 깊이 기반 인페인팅을 이용하여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텍스처 합성 기술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 패치 기반 비모수적 텍스처 합성 방법에서 중요한 요소는 어느 부분을 먼저 채울 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과 어느 배경 영역으로 채울 지 예제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헤시안(Hessian) 행렬 구조 텐서(structure tensor)를 이용해 잡음에 강건한 우선순위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홀 영역을 채울 적절한 배경 패치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깊이 영상을 이용해 배경영역을 알아내고 에피폴라 라인을 고려한 패치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들과 객관적인 비교와 주관적인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보이고자 한다.

New techniques for wound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of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wounds

  • Bekara, Farid;Vitse, Julian;Fluieraru, Sergiu;Masson, Raphael;De Runz, Antoine;Georgescu, Vera;Bressy, Guillaume;Labbe, Jean Louis;Chaput, Benoit;Herlin, Christia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2호
    • /
    • pp.102-110
    • /
    • 2018
  • Debridement is a crucial component of wound management. Recent technologies such as hydrosurgery (Versajet), ultrasound therapy (the MIST therapy device), or plasma-mediated bipolar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Coblation) seem to represent interesting alternatives for wound debridement.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describe, evaluate, and compare these three recently developed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wounds. In January 2016, an electronic database search was conducted of MEDLINE, PubMed Central, and Embase for articles concerning these three innovative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wounds. A total of 389 references were identified by our search strategy, and 15 articles were included. We extracted data regarding the number and age of patients, indications, operating time, number of procedures, costs, wound healing time, decrease in exudation, perioperative blood loss, bacterial load, and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The 15 articles included studies that involved 563 patients who underwent hydrosurgery (7 studies), ultrasound therapy (6 studies), or Coblation (2 studies). Six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that compared the use of a scalpel or curette to hydrosurgery (2 studies) or ultrasound therapy (6 studies). Hydrosurgery, in addition to being a very precise and selective tool, allows significantly faster debridement. Ultrasound therapy provides a significant reduction of exudation, and improves the wound healing time. No comparative study dedicated to Coblation was identified. Despite the obvious clinical interest of the topic, our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revealed a lack of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comparing these devices with each other or with standard techniques, particularly for Coblation and hydrosurgery.

학교보건교사를 위한 치과 응급처치 교육의 효과 (Effectiveness of Dental Emergency Education for School Nurses)

  • 양선미;김재환;최남기;임회순;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8-46
    • /
    • 2017
  • 교내에서 학생들의 치과적 외상은 흔하며 일반교사들보다 보건교사들이 외상의 일차적인 처치를 담당한다. 본 연구는 광주, 전남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어린이들의 치아외상시의 대처 방법에 대한 지식수준을 조사하고, 치과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을 시행한 후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보건교사는 194명으로 치아외상교육 전후에 설문지를 배분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인 사항, 치아외상이 일어난 상황에서의 태도 및 지식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고 있다. 치과 응급처치 교육을 시행한 후 적절한 응급처치, 치아의 완전 탈구 시에 치과 내원시간, 재식여부, 치아 운반방법, 파상풍백신 접종여부와 치아 아탈구 및 파절시의 파절편의 재접착 가능 여부 및 처리법에 관한 항목에서 보건교사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지식수준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보건교사의 치과적 응급처치에 관한 지식수준향상을 위한 주기적인 교육의 시행이 요구된다.

중등과학교사의 통합과학 수업설계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 및 컨설팅 -통합과학 5단계 수업계획서 설계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and Consultation on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for Integrated Science Lesson by Secondary Science Teachers - Focus on the Integrated Science Five-Step Instructional Design for Integrated Science Lesson -)

  • 이은주;손연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8-2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의 통합과학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심층적으로 사례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문헌을 분석하여 이 연구에서 적용할 통합과학이론을 정립한 후, 이를 실제 수업을 설계할 교사(중학교 교사1인, 고등학교 교사 1인)와 공유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적용하였던 '통합과학 5단계 수업 계획서' 양식을 연구진과 교사가 공유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사가 통합과학수업 계획서를 설계하도록 하였다. 통합과학수업을 위한 단원 선정, 교육과정 분석, 구체적인 수업 계획서 설계(8차시분) 등의 모든 과정은 연구진의 컨설팅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가 주도적으로 개발하도록 하였다. 모든 컨설팅 과정은 연구진의 관찰일지로 정리하였으며 협의 과정에서 면담지를 작성하였고, 이를 통하여 수업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는 모두 통합과학수업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합과학수업을 위한 전체적인 통합의 방향과 수업주제를 설정하여, 이와 관련된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 내용을 재구성 및 조직화하는 단계에서 가장 어려움을 크게 느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과 질 관리 방안에 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Application and Quality Management Plan of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354-368
    • /
    • 2012
  •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 관련 실태 및 요구,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별 적용상의 예상 쟁점과 해결 방안 등을 탐색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 중학교 교사들은 과학과에서 학년군제 운영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교과군에 속하는 과학과 실과(기술 가정)를 연계 적용하는 방식으로 유사한 주제와 내용을 통합 또는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시 과학 수업은 기준 수업 시수대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준별 수업에 대해서는 과학과 수업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지만, 실제로 수준별 수업을 하는 경우는 적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적용을 위해서 적절한 수업 방법과 평가 방법의 안내가 필요하고 창의성 인성 교육 내용이 포함된 과학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을 위해서 과학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정 취지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인식하도록 실제적인 연수를 실시하고, 단위 학교의 교사 협의회가 활성화되도록 지원하며, 실현 가능성 높은 융합인재교육(STEAM) 방안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 PDF

성인의 초경경험분석에 따른 국민학생을 위한 초경교육의 필요성 제기 (Analysis of Menarche Experience and Raising of Need of Menarche Education)

  • 김정은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22-24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crete and in-depth knowledge about menarche and to raise the need of menstrual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urposively sample 34 women from twenties to forties from April 27 to October 10, 1994. Semi-structured intensive interviews were done and these qualitative data were analysed with "Ethnograph"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xperience of menarche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main groups, which were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 to menarche. The negative experiences were to be shameful, tearful, scared of the phenomena and thought as a kind of punishment for guilt or confused menarche with other symptoms of diseases. On the contrary, the positive experiences were to be proud of physical maturity and to think that is was wonderful, miraculous and to perceive it as a warm experience. 2. The experience of menarche wa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They were the knowledge about menstruation, the quality and amount of informations, the time of menarch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ponse of significant others toward menarche. The experience of menarche could be positive or negative according to these factors. 3. The previous information sources about menstruation could be significant others, school education and mass-media. The significant others were mothers, sisters, friend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school sex education such as school nurses, home economics, military drill and athletics of teachers. And mass-media included sex education booklets, nursery tales, TV programs, and publicity activities of sanitary napkin companies. 4. The opinions of the subjects about the proper time of menarcheal education could be gross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 was active approach toward children when they were in elementary school. The second was passive approach which postponed the time until the child ask about it, because it would be awkward for them to discuss about the topic. 5.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ideal methods of menarche education would be systematic school education programs, open discussion with daughters, audio-visual teachings, or practical education in everyday life. 6. The contents of the menarche education based on the participants' opinions, would be positive details about meanings and functions of menstruation. And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attitudes of the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 could be positive, open-hearted, and favorable toward menstr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