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and Consultation on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for Integrated Science Lesson by Secondary Science Teachers - Focus on the Integrated Science Five-Step Instructional Design for Integrated Science Lesson -

중등과학교사의 통합과학 수업설계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 및 컨설팅 -통합과학 5단계 수업계획서 설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12.12
  • Accepted : 2013.02.06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lanning process for an integrated science lesson. For this study, relevant referenc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literatures, previous studies regarding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nd individual studies. Two teachers (one from middle school and the other from high school) participated and 'the five-step instructional design' was adopted from former studies in this subject. The teachers were asked to develop an instructional plan based on 'the design' provided. While the consultation provided a framework for an instructional plan, the teachers were asked to take a leading role in terms of selecting the chapter to be taught; analyzing the course structure; and making detailed teaching plans. In the course of consultations, discussions, records, and analysis were organized into a journal. Based on the journal, the aspects of the planning process, including difficulties and problems faced by teachers, were analyzed in-depth. From the study, it could be observed that both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teachers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integrated science lesson. Among other things, the teachers emphasized the difficulties in the stages of selecting the topic, collec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and restructuring and organizing the lecture contents.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의 통합과학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심층적으로 사례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문헌을 분석하여 이 연구에서 적용할 통합과학이론을 정립한 후, 이를 실제 수업을 설계할 교사(중학교 교사1인, 고등학교 교사 1인)와 공유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적용하였던 '통합과학 5단계 수업 계획서' 양식을 연구진과 교사가 공유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사가 통합과학수업 계획서를 설계하도록 하였다. 통합과학수업을 위한 단원 선정, 교육과정 분석, 구체적인 수업 계획서 설계(8차시분) 등의 모든 과정은 연구진의 컨설팅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가 주도적으로 개발하도록 하였다. 모든 컨설팅 과정은 연구진의 관찰일지로 정리하였으며 협의 과정에서 면담지를 작성하였고, 이를 통하여 수업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는 모두 통합과학수업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합과학수업을 위한 전체적인 통합의 방향과 수업주제를 설정하여, 이와 관련된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 내용을 재구성 및 조직화하는 단계에서 가장 어려움을 크게 느낀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김은진, 노석구, 박현주, 손정우, 이희순 (2007). 통합과학교육. 경기 파주: 한국학술정보.
  2. 강희정, 김희백 (2009). 경력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형활용 생물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1), 21-37.
  3.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 (2009). 신임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 (2000). 제 7차 교육과정의 개요. 교육부.
  6.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7. 권재술, 박범익 (1978). 통합과학과정의 접근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개념중심방법과 과정중심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1(1), 35-44.
  8. 김경호 (2006). 초등학교 과학과 중심 통합 학습지도안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23-431.
  9. 김대현 (1993). 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 20, 89-104.
  10. 박재근, 노석구 (2011). 초등 예비 교사들의 탐구 수업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컨설팅의 작용. 초등과학교육 30(2), 152-161.
  11.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430.
  12. 변귀자 (2006). 중학교에서의 컨설팅 장학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변정현 (2010). 초등학교 초임교사 사회과 수업컨설팅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지, 49(1), 97-113.
  14.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15. 손연아 (2003). 과학과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개발 및 수업모형 설계. 교원교육, 19(1), 159-198.
  16. 손연아 (2009). 제 55차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교원양성대학의 과학관련 교육과정과 과학교사 임용제도에 대한 토론). 한국과학교육학회.
  17. 손연아, 이학동 (1999). 통합과학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41-61.
  18. 이미혜, 손연아, Pottenger, F. M., 최돈형 (2001a). 지식내용, 사회문제, 개인흥미 중심의 통합 과학교육 접근법을 적용한'에너지'주제의 교수.학습 전략 모색(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342- 356.
  19. 이미혜, 손연아, Young, D. B., 최돈형 (2001b). 지식내용, 사회문제, 개인흥미 중심의 통합과학교육 접근법을 적용한'에너지'주제의 교수.학습 방안 개발(I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357-384.
  20. 이유미, 손연아 (2010). 초등학교 초임 교사와 경력 교사의 다학문적 통합과학수업 사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4), 552-566.
  21. 이학동 (1986). 통합과학교육의 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43-52.
  22. 이학동, 노경임, 송진웅, 손연아 (1996). 과학교사의 양성, 임용, 재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0.
  23. 이희원, 김영수 (2004). 과학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 관한 평가 준거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348-359.
  24. 장종택 (1992). 통합과학교육을 위한 교사의 재교육 방안, 수도 교육, 12월, 38-49.
  25. 정은영, 홍미영 (2004). 초등학교 과학과 실험 및 관찰수업사례에서 나타난 수업의 문제점: 도시지역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4), 287-297.
  26. 조헌국, 송진웅 (2010).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본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온라인 토론의 과학교육적 함의: 광우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33-952
  27. 최승언, 이학동, 김대식, 안태인, 노태희, 손연아 (1998).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과학'교과의 통합적 운영모형 개발연구, 1998년 교육부 위탁 연구과제 답신보고. 서울대학교 통합과학연구위원회.
  28. 토목관련 용어편찬위원회 (1997). 토목용어사전. 경기 광주: 탐구원.
  29. 한국교육개발원(1983).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2006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0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1. Drake, S. (2007). Creating standards-based integrated curriculum. CA: Corwin.
  32. Huberman, M. (1989).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 Teachers College Record, 91, 31-57.
  33. Raven, P. H., Berg, L. R., & Johnson, G. B. (1997). Environment. San Diego, California: Harcourt College Pub. [안동만 역(2001). 환경학. 서울: 보문사]
  34. Son, Y.-A., Pottenger, F. M., Lee, M.-N. & Chung, W.-H. (1999).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Less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acific-Asian Education, 11(2), 34-46.
  35. UNESCO (1974). New Trends in Integrated Science Teaching. Vol, III. New York: UNIPUB. Inc.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23
  2. A Suggestion of the new construction of science education stressed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education strategies to integra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to science education vol.22, pp.6, 2013, https://doi.org/10.24159/joec.2016.22.6.279
  3.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접목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 vol.13, pp.3, 2020,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