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N recommend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on accuracy and pre-information 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 Kim, Sun-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4호
    • /
    • pp.803-811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ence ratings by dividing estimated value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fter obtaining preference estimated value to user's ratings by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It is known that the value of standard error of skewness and standard error of kurtosis lower in the group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explains that the preference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has lower extreme values and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rating values. In addition, top n recommendation lists are made after obtaining rank fitting by using the result ranks of prediction value and the ranks of real rated values, and this top n is applied to the four groups. The value of top n recommendation is calculated higher in the group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recommendation accuracy in the group of high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is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of lower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us, when using standard error of skewness and standard error of kurtosis in recommender system,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can be higher, and so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prediction can be increased.

상위 N개 항목의 추천 정확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선호도 표현방법 (An Effective Preference Model to Improve Top-N Recommendation)

  • 이재웅;이종욱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6호
    • /
    • pp.621-627
    • /
    • 2017
  • 협업필터링은 사용자들이 평가한 항목들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평가되지 않은 항목을 효과적으로 추천해주는 기법이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평가하지 않은 항목 중 상위 N개 항목의 추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항목의 대한 상대적 선호도를 반영하는 쌍 기반 선호도(pair-wise preference)와 목록 기반 선호도(list-wise preference)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가 평가한 항목 간의 상대적인 선호도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각각의 항목들의 중요도를 반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도 및 순위 값을 계산할 때 평점 선호도 표현 방법과 역 사용자 빈도수(inverse user frequency)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잠재된 선호도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을 메모리 기반 협업필터링에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기존 방법보다 최대 2배 이상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협력적 필터링 알고리즘의 예측 선호도 순위 일치와 ToP-N 추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of Top-N Recommendation and the Rank Fitting of Prediction Value through a Improv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 이석준;이희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5-73
    • /
    • 2007
  • 본 연구는 추천시스템에서 협력적 필터링 알고리즘인 이웃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알고리즘과 대응평균 알고리즘의 선호도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예측결과의 순위 일치성과 실제 고객에 상품 추천인 Top-N 추천의 정확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대응평균 알고리즘에 의한 선호도 예측 정확도의 순위 일치성과 예측치를 이용한 Top-N 추천의 정확도가 기존의 이웃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알고리즘의 결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협력적 필터링 추천시스템에서 대응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한 선호도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상품추천을 하는 것이 이웃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며 추천시스템에 대한 고객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FMAP: Learning to Maximize MAP with Matrix Factorization for Implicit Feedback in Recommender System

  • Zhao, Jianli;Fu, Zhengbin;Sun, Qiuxia;Fang, Sheng;Wu, Wenmin;Zhang, Yang;Wang, W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5호
    • /
    • pp.2381-2399
    • /
    • 2019
  • Traditional recommendation algorithms on Collaborative Filtering (CF) mainly focus on the rating prediction with explicit ratings, and cannot be applied to the top-N recommendation with implicit feedbacks. To tackle this problem, we propose a new collaborative filtering approach namely Maximize MAP with Matrix Factorization (MFMAP).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on-smoothing loss function in learning to rank (LTR) algorithm based on pairwise, we also propose a smooth MAP measure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standard optimization approaches. We perform experiments on three different dataset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MFMAP is significantly better than other recommendation approaches.

심층신경망 기반의 뷰티제품 추천시스템 (Deep Neural Network-Based Beauty Product Recommender)

  • 송희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6호
    • /
    • pp.89-101
    • /
    • 2019
  • Many researchers have been focused on designing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for a long time because of increased need of customers for personalized and customized recommendation in beauty product domain. In addition, as the application of the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 becomes active recently, various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s based on the deep neural network have been introduc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a deep neural network model suitable for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by applying 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 and Generalized Matrix Factorization (NCF + GMF) to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This study also provides an implementation of web API system to commercialize the proposed recommendation model.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NCF + GMF model was the best when the beauty product recommendation problem was defined as the estimation rating score problem and the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The NCF + GMF model showed also high performance in the top N recommendation.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음악 추천 기법 (Music Recommendation Technique Using Metadata)

  • 이혜인;윤성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78
    • /
    • 2018
  • 최근 디지털 음반시장의 성장으로, 들을 수 있는 음악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온라인 음원 서비스 이용자들은 마음에 드는 음악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음원 서비스 이용자들이 겪는 선택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추천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개인정보의 이용 없이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는 아이템 기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더 정확한 추천을 위해 음원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고 선호도가 높은 Top-N개의 음악을 최종적으로 추천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지 않을 때보다 추천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협동적 여과에서의 희소성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타 블러링 기법 (Data BILuring Method for Solving Sparseness Problem in Collaborative Filtering)

  • 김형일;김준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6호
    • /
    • pp.542-553
    • /
    • 2005
  •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여 아이템을 추천하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추천 기법 중에 협동적 여과(collaborative filtering)는 상용화된 시스템에성공적인 적용이 이루어진 기법이다. 그러나 협동적 여과는 데이타의 희소성 문제(sparseness problem)와초기 추천 문제(cold-start problem)에 대해 취약점을 가 고 있다. 만약 매우 적은 양외 선호도 데이타가존재하면 많은 유사 사용자를 찾기 어려우며, 이것은 추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선호도 정보가 없는 새로운 사용자에게는 아이템을 전혀 추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 아이템에 대한 추가 속성 정보를 통합하여 협동적 여과의 희소성 문제와 초기 추천 문제를 해결하 고 추천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추가 속성 정보의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선호도 값을 예측함으로써 선호도 데이타를 변경 고, 변경된 선호도 데이타에 협동적 여과를 적용하여 top-N 추천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호도 데이타 변경 기법을 데이타 블러링(data blurring)이라 한다. 몇 가지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기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Deep Learning Framework with Convolutional Sequential Semantic Embedding for Mining High-Utility Itemsets and Top-N Recommendations

  • Siva S;Shilpa Chaudhari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44-55
    • /
    • 2024
  • High-utility itemset mining (HUIM) is a dominant technology that enables enterprises to make real-time decisions, including supply chain management, customer segmentation, and business analytics. However, classical support value-driven Apriori solutions are confined and unable to meet real-time enterprise demands, especially for large amounts of input data. This study introduces a groundbreaking model for top-N high utility itemset mining in real-time enterprise applications. Unlike traditional Apriori-based solutions, the proposed convolutional sequential embedding metrics-driven cosine-similarity-based multilayer perception learning model leverages global and contextual features, including semantic attributes, for enhanced top-N recommendations over sequential transactions. The MATLAB-based simulations of the model on diverse datasets, demonstrated an impressive precision (0.5632), mean absolute error (MAE) (0.7610), hit rate (HR)@K (0.5720), and normalized discounted cumulative gain (NDCG)@K (0.4268). The average MAE across different datasets and latent dimensions was 0.608. Additionally, the model achieved remarkable cumulative accuracy and precision of 97.94% and 97.04% in performance, respectively, surpassing existing state-of-the-art models. This affirms the robust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in real-time enterprise scenarios.

A Study 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Web 3.0

  • Kim, Sung Rim;Kwon, Joon Hee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3-51
    • /
    • 2012
  • Web 3.0 is the next-generation of the World Wide Web and is included two main platforms, semantic technologies and social computing environment. The basic idea of web 3.0 is to define structure data and link them in order to more effective discovery, automation, integration, and reuse across various applications. The semantic technologies represent open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on the top of the web. The social computing environment allows human-machine co-operations and organizing a large number of the social web communities. In the recent years, recommender systems have been combined with ontologies to further improve the recommendation by adding semantics to the context on the web 3.0. In this paper, we study previous researches about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pose a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web 3.0. Our method scores documents based on context tag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Our social scoring model is computed by both a tagging score of a document and a tagging score of a document that was tagged by a user's friends.

체류시간을 고려한 여행 일정 추천 시스템 (Personalized Itinerary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Stay Time)

  • 박세화;박석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8-43
    • /
    • 2016
  • 최근 교통 기술의 발전과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여행이 주요 여가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이 GPS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 보급으로 인해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런 환경을 바탕으로 번거로운 여행 일정 계획을 대신 수립해주는 여행 일정 추천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사용자들의 비용이나 시간에 대한 제약사항을 고려해 짧은 경로를 포함하는 여행 일정을 추천하거나 여행 목적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지역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일정을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개인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인화된 여행 일정 추천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인화 서비스 연구의 일환으로 그 동안 다른 연구에서는 간과되었던 사용자들의 체류시간을 고려한 여행 일정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