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gue Diagnosis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4초

Schwannoma of the Tongue Base with Imaging Features and Differential Diagnosis: a Rare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Kim, Tae Kun;Kim, Ha Youn;Yu, In Kyu;Son, Hyun-jin;Chang, Dong-sik;Jang, Young D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4호
    • /
    • pp.385-389
    • /
    • 2019
  • Schwannoma or neurilemmoma is a benign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that arises from Schwann cells. Approximately 25-45% of all schwannomas occur in the head and neck regions, and the intraoral presentation of these is only 1%. We report a rare case of a patient presenting tongue base schwannoma with characteristic imaging features on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인터넷 기반 멀티 전자침 구현 (Implementation of Multi Electronic Acupuncture based on Internet)

  • 홍유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7-202
    • /
    • 2014
  • 한의학에서는, 한의사가 환자의 질병 상태를 판단하기위해서, 환자의 혀 상태를 관찰 하는 것을 중요하게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방 치료에서 가장 많이 사용 하고 있는 맥진 및 설진 방법을 이용하여서 스마트폰 기반 한방 전자 침을 개발 하였다. 기존의 주관적인 진단을 객관화 및 과학화 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한의원에서, 잘못된 진단 없는 객관적인 판단을 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에서, 퍼지 논리와 추론을 사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자동 판단 및 지능형 전자침 키트를 완성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지능을 이용한 전자침이 기존의 방법보다 효율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모설의 치료 ($CO_2$ Laser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the Hairy Tongue)

  • 정다운;조은애;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3
  • 모설(hairy tongue)은 혀의 사상유두(filiform papillae)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혀의 배면후방 1/3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혀의 측면과 첨부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섭취하는 음식물과 색소유발 박테리아 등에 따라 백색에서 갈색,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의 착색을 보인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환자들은 주로 심미적인 문제로 병원을 찾으며, 드물게 오심, 구취, 미각이상, 불쾌한 느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강위생 관리 소홀, 구강 내 세균총의 변화, 감염, 방사선치료, 항생제, 면역 억제제 등의 사용, 과도한 음주, 흡연, 타액분비 감소 등이 소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상 소견이 매우 전형적이므로 육안으로도 진단이 충분히 가능하며, 생검은 필요하지 않다. 모설의 치료는 기본적인 유발요인들을 찾아서 제거해 주며, tongue cleaner 등을 이용해 혀를 부드럽게 닦아주도록 교육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keratolytic agent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설 치료에 외과적 술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발 요인 제거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호전이 없는 모설 환자에서,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10년 관찰기간 중 다수의 국소 재발을 보인 설암 환자 (Locoregional Recurrence of a Tongue Cancer Patient with 10 Year Follow-up)

  • 송재민;이성탁;이주민;송원욱;김용덕;김욱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390-395
    • /
    • 2013
  • Locoregional recurrence of tongue cancer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sites of the oral cavity. Locoregional control has shown improvement over the past 20 years, however, a high rate of recurrence and second primary tumor occurrence is still frequently reported. Leukoplakia is a clinical term, which describes a whitish lesion of the oral cavity. Clinicopathologic features may range from hyperkeratosis to malignancy. Because of its diverse pathologic characteristics, management of this lesion for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establishment of a clear surgical margin, and periodic follow-up is difficult. We report on a case of successfully treated tongue cancer which developed from leukoplakia over 10 years. Periodic follow-up strategy and surgical planning are most important to management of locoregional recurrence.

혀 기저부에 발생한 신경초종 1례 (A Case of Schwannoma of the Base of Tongue)

  • 이성진;진성민;이창희;이선욱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8-150
    • /
    • 2009
  • Schwannoma are benign, solitary and encapsulated tumors originating from the Schwann cells of the nerve sheath. About 25% to 40% of all schwannomas are found in the head and neck and the acoustic nerve is most frequently involved, but schwannomas of the tongue is rare. When they do occur, treatment is simple. However, diagnosis is invariably delayed because of the vagueness of symptoms. Recently,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schwannoma occurred in the base of tongue and the tumor was successfully removed through intraoral approach. So we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

  • PDF

습관제거장치와 근기능요법을 이용한 혀내밀기 원인성 개방교합의 치료 (TREATMENT OF OPEN BITE BY TONGUE THRUSTING HABIT USING HABIT BREAKING APPLIANCE AND MYOFUNCTIONAL THERAPY)

  • 최지원;오유향;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9-235
    • /
    • 2005
  • 흡지벽, 수직적인 골격 발육부전 등 여러 원인을 갖는 개방교합은 치아와 치조돌기에 국한되어 있는 단순 개방교합, 수직골격 발육부전에 의한 골격성 개방교합인 복잡 개방교합으로 나눌 수 있다. 단순 개방교합은 흡지벽, 농설벽 등 국소적 원인에 의하며 치조돌기의 수직적 발육결여와 상하악 잔치의 맹출 장애 등의 특징을 보인다. 농설벽은 혀가 상하악 전치 사이에 위치하고 혀의 주변부위가 구치부 교합면 사이에 놓이지 못하게 됨으로써 구치부 과맹출에 의한 전치부의 개방교합과 상악전치의 전돌을 가속화하게 된다. 악습관에 의한 개방교합을 가진 어린이에서는 습관을 없애주는 것이 개방교합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그리고 Hawley type 장치에 crib을 첨가하거나 oral screen을 장착시켜 농설벽을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근기능요법은 동기유발과 혀의 기능을 조절하고 입술운동을 통해 새로운 연하운동을 발전시키도록 훈련하여 부정교합을 교정하거나 개방교합의 재발을 방지한다. 본 증례는 농설벽에 의한 개방교합을 가진 8세 여자 환자에서 탄성고무, 빨대를 이용한 연하연습과 발음연습을 포함한 근 기능요법과 습관제거장치를 이용해 습관의 중지 및 개방교합의 개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베체트 병의 구강궤양에 대한 국소인자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Factors on the Oral Ulcers Observed in Behcet s Disease)

  • Myoung-Chan Kim;Chong-Youl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7권2호
    • /
    • pp.75-86
    • /
    • 1992
  • Of the many first-occuring major manifestations of Behcet's disease, the oral ulcer is most frequently observed, shows the highest mean recurrence rate, and the longest mean duration period.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irritation buy local factors and the recurrence of oral ulcers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re is a correlation. The subjects chosen for the study were 81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Oral Diagnosis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the Behcet clinic of Severace Hospital after being diagnosed as Behcet's disease patients. 1. By Shimuzu's classification, possible type was the most numerous with 55.55% ; while suspected type was 19.76% ; incomplete type, 17,28% ; and complete type, 7.4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The male to female ration was 1 to 1.61, and the average age of onset was 17.63 years. 2. Oral ulcers developed most frequently on the tongue (48.28%), and lip(23.15%), buccal mucosa (20.69%), palate\pharynx(4.43%), and gingiva(3.45%) also showed ulceration. 3. 38.27% of the patients were HSV positive : 27.16% were CRP positive ; 12.34% were ASO positive ; 9.87% were RF positive ; and 3.7% were ANA positive. 4.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survey, fatigue(85.18%) was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Behcet's diseage. Trauma by tooth brushing (22.22%), un specified reasons (20.98%), hard food chewing (12.35%), and irritation by dentition and/or prosthesis (13.58%) were observed in association with Behcet's disease. 23.46% had a history of tonsilitis. 5. Oral ulcers on the anterior part of tongue and buccal mucosa were associated with local irritatants. 6. Oral ulcers on the lip and posterior portion of tongue were not associated with local irritants. Local irritation by dentition and oral ulcer on the anterior part of tongue and buccal mucosa was observed to coexit with one another : in other words, lo9cal factors can act to cause of recurrence of an oral ulcer and to delay the healing process in Behcet's disease. Therefore, elimination of local factors along with systemic therapy must be recommended when treating oral ulcers.

  • PDF

개의 혀 뿌리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종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Base of the Tongue in a Dog)

  • 김세은;김승현;심경미;배춘식;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33
    • /
    • 2016
  • 혀 뿌리 부위의 종양, 특히 종양이 정상으로 보이는 점막 아래에 위치해 있는 경우 발견하고 진단하기가 어렵다. 전산화단층촬영법, 특히 조영후 영상은 혀의 종양을 평가하고 경부 림프절을 포함한 인근 조직을 평가하기에 유용하다. 그러나 종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조직병리검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개에서 혀의 뿌리부터 몸통에 걸쳐 종양이 발생하였으며 환자는 유연과다 및 섭식장애 증상으로 전원되었다. 구강검사 결과 혀의 운동성 장애가 관찰되었으며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혀 종양이 확인되었다. 2달 뒤 사후에 개의 혀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병리검사를 실시한 결과 혀의 종양은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다.

악관절내장증을 동반한 Eagle's Syndrome (A CASE REPORT OF EAGLE'S SYNDROME WITH TMJ INTERNAL DERANGEMENT)

  • 박광호;김형곤;윤종호;정상훈;박정현;김기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458-463
    • /
    • 1994
  • A thirty two year-old male was referred with a chief complaint of mouth opening limitation, and maxillofacial pain including left TMJ area. The patient had been treated in a private clinic with medications and conservative treatments, without any improvements in symptoms. MRI findings showed a limitations in condylar head movements, and signs of disc adhesion without the Positional change. Panoramic views showed elongation of stylohyoid process. Brain C-T was taken due to the patient's complaint of headache, facial pain, and paresthesia of tongue, and the result showed no abnormalities. The first surgery included meniscoplasty and the removal of disc adhesion of left TMJ under the preliminary diagnosis of internal derangement with adhesion, and the patient displayed marked improvements in opening movements despite of persistent hemiparesthesia of left facial areas and tongue, and mild dysphasia. Therefore, the second surgery was carried out with the preliminary diagnosis of Eagle's Syndrome, and a resolution of neurologic symptoms was obtained. The final diagnosis of this case was Eagle's Syndrome with internal derangement, and the difficulti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might be due to the existence of two separate diseases with similar symptoms.

  • PDF

심장(心臟) 질환(疾患) 진단(診斷)을 위한 한의학적 청진(聽診) 기반의 설음(舌音) 분석 (A Lingual Sound Analysis based on Oriental Medicine Auscultation for Heart Diseases Diagnosis)

  • 김봉현;조동욱;허성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8B호
    • /
    • pp.830-838
    • /
    • 2009
  • 다양한 진단 기기들의 개발로 인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서양의학에 비해, 한의학은 임상의의 직관에 의존하여 환자들에게 시각적이며 객관적으로 질환 상태를 표현해줄 수 있는 정량화된 진단 데이터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적 진단 방법의 시각화를 통한 객관화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한의학에서 몸을 다스리는 중심기관이며 생명과 정신의 근원처로 간주하고 있는 심장과 음성 신호와의 관계를 한방에 기초하여 규명하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심장은 오관 중 혀와 관련이 되어 있어 음성과 연계하여 생각하면 심장 질환자는 설음(舌音), 즉 혓소리의 발음이 불명확하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심장 질환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심장 질환자와 정상인으로 피실험자 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의 음성에서 헛소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제2포먼트 주파수의 통계적 대역폭 분석과 형태적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여 상호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설계한 방법에 대해 실험 결과를 통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