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제거장치와 근기능요법을 이용한 혀내밀기 원인성 개방교합의 치료

TREATMENT OF OPEN BITE BY TONGUE THRUSTING HABIT USING HABIT BREAKING APPLIANCE AND MYOFUNCTIONAL THERAPY

  • 최지원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오유향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Choi, Ji-W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Oh, You-Hya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발행 : 2005.05.31

초록

흡지벽, 수직적인 골격 발육부전 등 여러 원인을 갖는 개방교합은 치아와 치조돌기에 국한되어 있는 단순 개방교합, 수직골격 발육부전에 의한 골격성 개방교합인 복잡 개방교합으로 나눌 수 있다. 단순 개방교합은 흡지벽, 농설벽 등 국소적 원인에 의하며 치조돌기의 수직적 발육결여와 상하악 잔치의 맹출 장애 등의 특징을 보인다. 농설벽은 혀가 상하악 전치 사이에 위치하고 혀의 주변부위가 구치부 교합면 사이에 놓이지 못하게 됨으로써 구치부 과맹출에 의한 전치부의 개방교합과 상악전치의 전돌을 가속화하게 된다. 악습관에 의한 개방교합을 가진 어린이에서는 습관을 없애주는 것이 개방교합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그리고 Hawley type 장치에 crib을 첨가하거나 oral screen을 장착시켜 농설벽을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근기능요법은 동기유발과 혀의 기능을 조절하고 입술운동을 통해 새로운 연하운동을 발전시키도록 훈련하여 부정교합을 교정하거나 개방교합의 재발을 방지한다. 본 증례는 농설벽에 의한 개방교합을 가진 8세 여자 환자에서 탄성고무, 빨대를 이용한 연하연습과 발음연습을 포함한 근 기능요법과 습관제거장치를 이용해 습관의 중지 및 개방교합의 개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 problem that affects children's dentitions is the harmful habit which is difficult to treat. Harmful habits for children are such as abnormal swallowing patterns, low/forward tongue rest posture problem, habitual open-lips resting posture, habitual mouth-breathing, excessive digital sucking habit and tongue thrusting. Tongue thrusting habits cause a bit of cranio-facial skeletal changes and a great deal of dental malocclusion such as anterior open bite. Anterior open bite causes masticatory, speech, and esthetic problems in the growing children and difficulties in diagnosis, treatment, and the prediction of its prognosis. The treatments of such abnormal behaviors involve orofacial myofunctional therapy and using of habit breaking appliance. The prognosis is not determined by the presence of severity of oral habit but the skeletal tendency of the patient. Usage of tongue crib resulted in not only the discontinuance of the habit but also improvement in overbite and overbite. This study showed that relatively successful results could be generated by using removable tongue crib and myofunctional therapy in the case of openbite related to tongue thrusting habi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