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mato yield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초

Attention 기반 Encoder-Decoder 모델을 활용한작물의 생산량 예측 (Forecasting Crop Yield Using Encoder-Decoder Model with Attention)

  • 강수람;조경철;나명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69-579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time series analysis for predicting the yield of crops applicable to each farm using environmental variables measured by smart farms cultivating tomato.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hat can be explained to some extent. Methods: A time series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dict production using environmental variables measured at 75 smart farms cultivating tomato in two periods. An LSTM-based encoder-decoder model was used for cases of several farms with similar length. In particular, Dual Attention Mechanism was applied to use environmental variables as exogenous variables and to confirm their influenc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ual Attention LSTM with a window size of 12 weeks showed the best predictive power. It was verified that the environmental variables has a similar effect on prediction through wieghtss extracted from the prediction model, and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previous time point has a greater effect than the time point close to the prediction point.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ttempt various crops as a model that can be explained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general deep learning model.

인공광 처리가 토마토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Lights on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

  • 박양호;정효진;이채운;김찬우;서범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0-297
    • /
    • 2010
  • 토마토 생육에 있어 보조광원으로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형광등을 하루 5시간을 처리 하여 토마토 생육 및 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 해 본 결과 생육은 인공광 처리가 무처리 구 에 비하여 6~10%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수량 및 생산성 증가에 있어서 인공광 처리가 무처리구보다 1.5~2배 증가 하였으며 수익성 증가는 10a당 1작기에 최소 9,400,000원에서 최대 28,200,000원 증가되었다.

Note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lt in Tomato by Plant Growth-Promoting Yeasts and Rhizobacteria

  • Abo-Elyousr, Kamal A.M.;Mohamed, Hashem M.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99-204
    • /
    • 2009
  • Three plant growth-promoting yeasts and two rhizobacteria were tested for controlling tomato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al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 severity of tomato wilt relative to the infected control. The highest disease reductions in pots (75.0, 67.4%) and field (52.5, 42.4%) were achieved by Azospirillum brasilense and Bacillus subtilis compared to infected control. Under field condition all treatments produced the highest tomato yield compared to the control plants inoculated with the pathogen.

플라스틱하우스의 보온피복 재료 및 방법이 보온력과 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ing Materials and Methods on Heat Insulation of a Plastic Greenhouse and Growth and Yield of Tomato)

  • 권준국;이재한;강남준;강경희;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1-257
    • /
    • 2004
  • 본 연구는 몇가지 보온피복 재료 및 방법이 플라스틱하우스의 보온력과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다겹보온덮개(카시미론 8온스 1겹+폴리폼(1 mm) 4겹 +부직포 2겹+폴리프로필렌 1겹+흑색네트차광망 1겹)를 이중하우스 구조의 외면에 피복한 것이 이중하우스 구조의 내부에 피복한 것에 비해 하우스내 야간의 기온과 지온은 약 $ 낮았으나 광투과율이 높아서 토마토 상품수량이 약 $2\%$ 증가하였다. 그리고 다곁보온덮개를 피복하지 않고 이중하우스 구조의 내부에 EVA커튼을 설치한 것에 비해서는 하우스내 야간기온이 $3^{\circ}C$ 높게 유지되어 수확기가 약 1일 빨라지고 토마토 과실도$ 19\%$ 증수하였다. 한편 이중하우스 외면에 다겹보온덮개를 피복하고 내부에 보온커튼(알미늄+직물)을 설치한 것은 다겹보온 덮개를 피복하고 보온커튼을 설치하지 않은 것과 이중하우스에 다겹보온덮개를 피복하지 않고 EVA커튼만 설치한 것에 비해 하우스내 기온이 각각 $2.2^{\circ}C$$4.5^{\circ}C$ 높게 유지되었으며 이러한 보온효과에 의해 토마토 과실수량도 각각 $18\%$$37\%$ 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남부지역에서 저온기에 다겹보온덮개를 이중 플라스틱하우스 구조의 외면에 피복하고 내부에 보온성이 높은 커튼자재를 사용하면 가온을 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난방비로 토마토를 재배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방울 토마토 재배 시 퇴비단 여과 액비의 이용가능성 (Availability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for Cultivation of Cherry Tomato)

  • 김은영;박봉주;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5-391
    • /
    • 2013
  • 본 실험은 SCB(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액비의 방울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Unicon') 수경재배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 되었다. 배양액처리 대조구로는 방울 토마토 전용 배양액(Control 1N)을 사용하였고, 이 배양액의 질소량($218.32mg{\cdot}L^{-1}$)을 기준으로 시판양액 1N(CNS 1N), SCB 1/2N, SCB 1N, SCB 2N을 타이머 제어에 의해 하루에 440~520mL을 공급하였다. 31일 동안 재배한 후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엽면적, 초장, 줄기직경, SPAD값, 마디수를 조사하였으며, 그 후 주 1회 총 7번의 과실을 수확하여 총 생산량과 상품성 과실 비율, 과실중, 당도와 산도, 과실의 총 페놀 농도 및 항산화도, 배꼽썩음병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CB처리 중에는 SCB 1/2N은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줄기직경, 마디수 및 SPAD값에서 Control 1N 및 CNS 1N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우수한 생육을 유도하였다. SCB는 질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점차로 생육의 저해현상을 보였다. 과실의 총 생산량은 Control 1N에서 가장 높았으며, SCB 처리중 생장이 가장 좋았던 SCB 1/2N 처리구는 Control 1N 총 생산량의 47%를 기록하였다. 상품성 과실 비율도 SCB 1N과 SCB 1/2N 처리구는 약 57~58%로 낮게 나타났다. 당도와 산도, 총 페놀 농도와 항산화도에서는 SCB 2N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나머지 처리구와 대조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꼽썩음병은 Control 1N, CNS 1N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SCB 2N, 1N, 1/2N 처리구는 각각 약 7, 13, 19%의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CB 1/2N 처리는 Control 1N와 CNS 1N과 비교해서 방울 토마토의 영양생장에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과실의 수량과 품질을 유지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SCB 액비는 방울토마토 시설 수경 재배에서 배양액으로의 가능성은 확인하였지만, 과실의 생산량과 상품성을 고려한다면 개화기 및 과실 비대기에 추가적인 무기 양분의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순환식 수경재배에 적합한 방울토마토 '꼬꼬' 배양액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Nutrient Solution of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KoKo') in a Closed Soilless Culture System)

  • 유성오;최기영;전경수;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7
    • /
    • 2006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bsorption pattern in the growth stage and develope the optimal nutrient solution hydroponically grown the cherry tomato 'Koko' in closed substrate culture system with the nutrient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Station in Japan into 1/2S, 1S, and 2S. When plant was grown in 1/2S, the growth and yield were high and the pH and EC in the root zone were stable. Suitable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for cherry tomato was $NO_3-N\;6.8,\;PO_4-P\;2.7,\;K 3.2,\;Ca\;3.6\;and\;Mg\;1.1\;me\;L^{-1}$ in the early growth stage, $NO_3-N\;7.3,\;PO_4-P\;2.2,\;K\;3.7,\;Ca\;3.6;and\;Mg\;1.1\;me\;L^{-1}$ in the late growth stage by calculating a rate of nutrient and water uptake. To estimate the suitability for the nutrient solution in a development of cherry tomato developed by Wongkwang university in Korea (WU), plant was grown in perlite substrate supplied with different solution and strengths(S) by research station for greenhouse vegetable and floriculture in the Netherlands (Proefstation voor tuinbouw onder glas th Mssldwijk; PTG) of 1/2S, 1S, and 2S, respectively. The growth was good at the PTG and WU 2S in the early stage and the PTG of 1S and WU of 1S and 2S in the late stage. The highest yield of cherry tomato obtained in the WU of 2S. pH and EC in root zone of WU of 2S were stable during the early and late growth stage. Therefore when cherry tomato plant was grown in WU of 2S of EC $1.6{\sim}2.0\;dS\;m^{-1}$in the nutrient solution, not only stable growth and yield but also fertilizer reduction can be obtained than that of PTG.

폐양액 관비량과 퇴비 시용량이 토마토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mount of Waste Nutrient Solution and Compost on Growth and Quality of Tomato Grown by Fertigation)

  • 장성호;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3
    • /
    • 2009
  • 토마토의 펄라이트 배지경에서 공급했던 일본원시배양액의 폐양액은 EC는 $1.9{\sim}2.4dS/m$, pH는$5.5{\sim}7.1$의 범위였으며 다량 원소의 농도는 $NH_{4}^+$가 감소하였을 뿐 대부분 공급양액과 큰 차이가 없었다. 토마토 폐양액의 1L 관비시 퇴비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토마토의 초장, 경경, 엽장, 엽폭 등 일반생육과 잎의 엽록소 함량이 현저히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2L 관비처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토마토 잎의 엽록소 함량은 주당 1L, 퇴비량이 4,000kg/10a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마토 식물체의 생체중과 건물중도 폐양액의 1L 관비시 퇴비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L에서는 일정하지 않았다. 토마토의 수량도 일반생육과 비슷한 경향으로 관비량과 퇴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관비량 1L, 퇴비량 4,000kg/10a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당도는 퇴비량과 관비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관비량 2L, 퇴비량 2,000kg/10a 처리구에서 fructose. glucose 및 총 당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폐양액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관비재배가 가능하며, 또한 관비재배에서 품질도 보장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토마토 육묘 시 물리적 자극 및 약제 처리가 묘의 소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chanical Stimulation and Chemical Treatments on Growth of Seedlings and Yield of Tomato)

  • 최영하;이한철;박동금;권준국;이재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20-324
    • /
    • 2001
  • 고온기 토마토(cv. House-momotaro)육묘 시에 묘의 도장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적 자극방법으로 Impedance와 Brushing 처리를, 화학약제로는 Diniconazole과 Hexaconazole을 이용하여 묘의 생육조절 효과 및 정식 후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iniconazole 처리에 의해 육묘 시의 묘의 초장, 엽면적, 생체중 등이 감소되었다. Diniconazole I 처리구에서는 정식 후 생육이 억제되고 수량이 감소되었으나 Diniconazole II 처리구에서는 Control과 비슷한 생육과 수량성을 보였다. Hexaconazole 처리는 묘의 초장을 감소시키나 Diniconazole 처리에 비해 그 정도가 약하였다. 정식 후의 생육은 Control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착과수가 적고 기형주 발생이 많아 수량이 적었다. Impedance 처리 또한 묘의 초장을 감소시켰으나 정식 후 수확개시기가 늦고 기형주 발생이 많아 수량이 적었다. Brushing 처리는 묘의 초장만 감소시킬 뿐 정식 후 생육 및 수량은 Control과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Diniconazole의 적절한 사용(Diniconazole II)과 Brushing 처리는 토마토의 수량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고 묘의 도장을 억제시킬 수 있어 실용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NaCl 스트레스가 토마토, 고추, 가지의 생육, 광합성 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Mineral Uptake of Tomato, Red Pepper and Egg Plant in Pot Culture)

  • 강경희;권기범;최영하;김회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38
    • /
    • 2002
  • 본 실험은 가지과 작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라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장, 생체중 등 생육은 유묘기 및 영양 생장기 모두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모든 작물에서 억제되었다 특히 토마토 및 가지에서는 NaCl 40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20mM 이상에서 작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수량은 토마토 및 가지에 서는 NaCl 20 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10 mM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량감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착과수의 감소에,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착과수의 감소와 더불어 평균과중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광합성 속도는 NaCl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추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 가지 순으로 낮았다. 잎의 수분포텐셜과 기공 전도도도 광합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경엽의 무기 양분 함량에서는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은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a 및 Cl 함량은 증가하였다.

자루재배용 배지종류가 토마토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logically Sound Substrates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Bag Culture)

  • 이용범;박권우;노미영;채의석;박소홍;김수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5
    • /
    • 1993
  • 국내 원예시설이 고정화되면서 각종 연작 장해가 나타남에 따라 객토와 토양소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객토와 토양소독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른 간이한 양액재배 시스템으로서 농가에서도 투자비용과 운용비용이 저렴하면서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거나 적은 각종 인공배지를 활용한 토마토 자루재배(bag culture)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용배지를 이용한 토마토 자루배재에서 질석, 훈탄, 모래, 페놀수지 (PRE), 입상면, perlite 등에서 생육, 수량 및 품질면에서 이용가능성이 높고 이들 배지의 단점을 보완한다면 암면 대체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 혼합배지를 이용한 토마토 자루재배에서 perlite와 입상면 혼합처리에서는 perlite 20-40%수준과 입상면 80-60%수준에서, peatmoss와 질석 혼합처리에서는 peatmoss 40-60%와, 질석 60-40% 혼합비율에서, peatmoss+질석 +입 상면 혼합처리에서는 peatmoss를 50-60%로 하고 질석과 입상면을 각각 25-20%로 혼합한 경우에서 각각 높은 수량과 품질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