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mato yield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초

방울 토마토와 감자의 접목재배 (Studies on the Grafting Cultivation of Mini-Tomato and Potato)

  • 라상욱;양진수;이은모;노태홍;정해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5-48
    • /
    • 1992
  • 토감 재배에 의한 토마토 및 감자의 동시 생산성을 검토하고자 감자 '대지' 품종을 대목으로, 방울 토마토 '페페' 품종을 접수로 하여 1991년 10월 3일 부터 1992년 3월 16일 까지 FRP하우스 재배를 하였다. 토감의 접목 활착율은 100%였고, 혼경 수량성은 2, 178kg/10a로서 무접목 감자재배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방울토마토 수량성은 4, 512kg/10a으로 무접목 방울토마토 재배에 비하여 7%로 다소 감소되었으나, 당도는 2.2도 높아, 토마토와 감자의 접목 재배에 의한 신소득 작물의 창출과 감자의 토마토의 동시 생산이 가능하였다.

  • PDF

퇴비단 여과액비와 농축액비를 이용한 양액재배가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Mill.)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 Leachate and Concentrated Slurry on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Lycopersicum esculentum Mill.) in Hydroponic Culture)

  • 류종원;서운갑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7-370
    • /
    • 2009
  • 본 연구는 돈분뇨 여과 및 농축액비를 이용한 양액재배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여과액비와 농축액비와 부산물, 양액 혼합처리가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퇴비화 과정 중 과수분 상태에서 배출되는 퇴비단 여과액비와 막분리 처리과정에서 한외 여과막을 통과하고 역삼투막 처리에서 역류되어 나오는 돈슬러리 농축액비를 공시재료로 하였다. 본 연구는 질소함량을 기준으로 액비와 부산물, 양액의 혼합하는 처리구를 두어 전기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토마토의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과액비와 농축액비는 다량 및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부유물질(SS)이 낮아 양액재배시 관배수의 막힘문제 없이 활용이 가능하였다. 여과, 농축액비는 인산,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낮고 칼륨이 높은 양분불균형를 나타내었다. 2. 여과액비는 원예연 표준양액 대비 총수량 91%, 상품수량 70%를 나타내어 여과액비 단독급액으로 토마토의 유기 수경재배 생산이 가능하였다. 3. 막처리 농축액비 100% 처리구는 토마토의 지상부의 생육이 지연되고 과중이 감소되어 화학양액 대비 40%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4. 퇴비단 여과액비+부산물, 농축액비+부산물 혼합처리구의 토마토 수량은 대조구 대비 각각 87, 76%를 나타내어 여과액비 단독시용구의 수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5. 질소기준으로 여과액비와 농축액비에 양액을 50% : 50% 비율로 혼합하여 균형처방 처리한 경우 표준양액 처리와 대등한 수량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토마토 양액재배에서 생육과 수량을 고려할 때 액비와 양액의 50 : 50 혼합 재배시 수량이 유지되어 가축분뇨 유래 유기액비에 의하여 화학양액를 50%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경기도 광주 여름재배 시설토마토의 가루이 매개 바이러스 TYLCV, ToCV 발생현황 (Patterns of the Occurrence of TYLCV and ToCV with Whitefly on Summer-Cultivated Tomato in Greenhouse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 권용남;차병진;김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8권1호
    • /
    • pp.39-45
    • /
    • 2022
  • 경기 광주시 완숙토마토 시설재배단지에서 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 2종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와 tomato chlorosis virus (ToCV)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2020년 여름재배 작형에서 TYLCV와 ToCV의 감염률은 수확기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단독 감염률은 각각 30.9%, 5.0%였고, 복합감염률은 52.2%로 TYLCV 단독감염과 2종 바이러스 복합감염이 83.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종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가루이의 발생분포 및 보독률을 조사한 결과, 작물 재배기간 내내 담배가루이가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고, 조사한 담배가루이는 모두 Mediterranean (MED)으로 확인되었다. 담배가루이 MED는 TYLCV를 단독으로 보독하거나 ToCV와 복합 보독하는 경우가 48.5%로 많았으며, ToCV의 보독률은 29.1%로 온실가루이(7.2%)에 비해 높았다. 담배가루이 MED의 2종 바이러스 보독률이 토마토 정식 전부터 47.2%로 높았고, 이후 계속 증가하여 수확기에는 73.8%로 가장 높았다. 수확기 토마토 재배포장별 2종 바이러스의 감염률에 따라 수확량을 비교 분석해본 결과, TYLCV와 ToCV의 복합감염률 증가가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복합감염률이 10% 증가함에 따라 405.4 kg/10a 수량감소를 보였다.

지베렐린과 2,4-D 처리를 이용한 토마토 착과율 및 수확량 증가 (Fruit Set and Yield Enhancement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Using Gibberellic Acid and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Spray)

  • 루이텔 비노드;이택종;강원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2015
  • 토마토의 착과와 수확량은 여름철 비닐하우스내 고온스트레스로 인하여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여름철 화천지역에 위치한 비닐하우스에서 지베렐린($GA_3$)과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2,4-D) 처리가 토마토의 수확량, 착과율, 착과 후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oration' 품종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GA_3$ 0-, 5-, 10-, $15mg{\cdot}L^{-1}$와 2,4-D 0-, 5-, $10mg{\cdot}L^{-1}$를 개화 초기에 처리한 후 착과율, 수확량, 과실품질과 관련된 형질을 관찰한 결과, $GA_3$ $10mg{\cdot}L^{-1}$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14.2%의 착과율 증가를 보였다. $GA_3$처리구에서는 수확량, 과중, 상품과실 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4-D를 개화기에 처리했을 경우 착과율, 수확량, 상품과의 과중에 영향을 미쳤으며 $GA_3$과 2,4-D를 각각 $5mg{\cdot}L^{-1}$ 농도로 혼합처리 하였을 때 가장 높은(62.5%) 착과율을 나타내었다. 과실크기와 고형물함량은 $GA_3$처리구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름철 비닐하우스의 고온조건에서 $GA_3$ $0mg{\cdot}L^{-1}$처리구와 2,4-D $5mg{\cdot}L^{-1}$를 처리했을 때 착과율이 가장 높아 많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ltering Conidial Dispersal of Alternaria solani by Modifying Microclimate in Tomato Crop Canopy

  • Jambhulkar, Prashant Prakash;Jambhulkar, Nitiprasad;Meghwal, Madanlal;Ameta, Gauri Shank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08-518
    • /
    • 2016
  • Early blight of tomato caused by Alternaria solani, is responsible for severe yield losses in tomato. The conidia survive on soil surface and old dry lower leaves of the plant and spread when suitable climatic conditions are available. Macroclimatic study reveals that highest inoculum concentration of Alternaria spores appeared in May 2012 to 2013 and lowest concentration during January 2012 to 2013. High night temperature positively correlated and significantly (P < 0.01) involved in conidial spore dispersal and low relative humidity (RH) displayed significant (P < 0.05)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idial dispersal.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modify microclimatic conditions of tomato crop canopy which may hamper conidial dispersal and reduce disease severity. We evaluated effect of marigold intercropping and plastic mulching singly and in consortia on A. solani conidial density, tomato leaf damage and microclimatic parameters as compar to tomato alone (T). Tomato-marigold intercropping-plastic mulching treatment (T + M + P) showed 35-39% reduction in disease intensity as compared to tomato alone. When intercropped with tomato, marigold served as barrier to conidial movement and plastic mulching prevented evapotranspiration and reduced the canopy RH that resulted in less germination of A. solani spores. Marigold intercropping and plastic mulching served successfully as physical barrier against conidial dissemination to diminish significantly the tomato foliar damage produced by A. solani.

배지(培地) 및 양액(養液)의 차이(差異)가 오이와 토마토의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ulture Media and Nutrient Solutions on the Yield and Quality of Cucumber(Cucumis sativus L.) and Tomato (Lyocpersicon esculentum MILL.))

  • 박권우;이용범;최남훈;정진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3-151
    • /
    • 1990
  • 배양액(培養液) 및 배지(培地)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수행(遂行)한 양액재배(養液栽培) 실험(實驗)에 있어서 오이(Cucumis sativus L.)와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의 생육(生育)과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바 그에 대한 실험(實驗)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이와 토마토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은 Cooper액(液)을 이용(利用)한 암선재배(岩線栽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복합비료(複合肥料) 양액(養液)을 이용(利用)한 암선재배(岩線栽培) 시(時) 생육(生育) 및 수(收量)은 sand-sack culture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3. 복합비료(複合肥料) 양액(養液)을 사용(利用)한 암선재배(岩線栽培) 시(時) 초기생육(初期生育)에는 토양재배(土壤栽培)보다는 좋았으나 후기생육(後期生育)은 점차 낮아지는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4. 오이와 토마토의 과실내(果實內) vitamin C함량(含量)은 토양재배(土壤栽培)와 비교(比較) 시(時) 복합비료양액(複合肥料養液)을 사용(利用)한 암선재배구(岩線栽培區)를 제외하고 나머지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오이 및 토마토 건물중(乾物重), total-N 및 무기성분(無機成分)의 함량(含量)에서 각 처리구별(處理區別)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토마토 육묘 시 Triazole계 생장조절제 처리가 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azole Growth Regulator Treatment on the Growth of Plug Seedling and Yield of Tomato)

  • 윤형권;서태철;이지원;양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5-209
    • /
    • 2007
  • 공정육묘의 양질묘 생산을 목적으로 여름철 고온기 및 장마기, 겨울철 약광 등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묘의 도장을 억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생육 및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triazole계 생장조절제의 약제 선발, 처리량 및 처리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토마토 플러그묘에 트리아졸계 생장조절제 처리시 관행구에 비하여 초장 및 엽면적이 억제되었으며, 처리시기가 빠르고 처리량이 많을수록 억제효과가 컸다. 생육의 회복정도는 Hexaconazole 처리에서 정식 4주후 안정적으로 회복되었다. Diniconazole과 hexaconazole처리시 1화방의 착과높이가 낮아졌으며, 화방별 착과수는 관행구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양액과 SCB액비 처리에 미량요소 첨가가 방울토마토의 미네랄 함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ed Treatment of Electrolyzed Micronutrients with Nutrient Solution and SCB Slurry on Mineral Content and Growth of Cherry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5-397
    • /
    • 2012
  • 식물미네랄(phyto-minerals) 함량을 높인 미네랄강화 농작물(biofortification foods)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10종(Co, Fe, Mg, Mn, Sr, Zn, Li, Sn, V, Ti, Se, S)의 미량요소를 함유하는 복합미네랄액을 조제하였다. 양액과 SCB 액비에 복합미량요소액을 방울토마토 처리한 결과 양액+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r, Se, Ti이 증가되었고, 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e, Co, Sr, Ti 함량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양액+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SCB액비, NS액비 처리구보다 Li, Zn, Se, Co, Ti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은 양액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복합 미량요소액 처리로 감소하였다. 토마토의 수량은 표준양액처리구와 비교할때 NS+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와 SCB+양액+복합 미량요소액 혼합시용구는 각각 97%와 94%의 토마토 과실 수량를 나타내었으나 미량요소 강화효과가 있었으므로 혼합용액을 조제하면 토마토 재배용 양액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화본과 및 두과 녹비작물 토양환원에 따른 토마토 생육 및 토양 양분수지량 변화 (Effect of Soil Incorporation of Graminaceous and Leguminous Manures on Tomato (Lycoperiscon esculentum Mill.) Growth and Soil Nutrient Balances)

  • 이인복;강석범;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3-348
    • /
    • 2008
  • 시설재배 토마토(To) 생산에 미치는 녹비 토양투입 효과와 양분 수지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겨울과 여름 휴한기 동안 헤어리베치(Hv), 호밀(Ry), 콩(Sb), 수단그라스(Sd)를 녹비로 재배하였으며, 녹비와 토마토를 조합한 작부체계로서 두과 녹비작물을 활용한 Hv-To-Sb-To, 화본과 녹비작물로 구성된 Ry-To-Sb-To, 그리고 두과와 화본과 녹비를 교호 재배하는 Ry-To-Sd-To로 구분하여, 화학비료(Cf)를 처리하는 Cf-To-Cf-To 작부체계와 비교하였다. 녹비 수량은 겨울 휴한기에 비해 여름 휴한기 동안 높았던 반면, 녹비의 질소 고정량은 화본과에 비해 두과 녹비작물에서 현저히 높아 두과 녹비작물의 경우 토마토 재배를 위한 질소량의 62%를 고정하였다. 두과 녹비작물로 구성된 작부체계(Hv-To-Sb-To)의 토마토 수량은 관행(Cf-To-Cf-To)과 유사하였으나, 화본과 녹비로 구성된 처리구(Ry-To-Sd-To)의 수량은 두과 녹비작물 처리구 수량의 40% 수준으로서 현저한 수량 감소가 나타났다. 한편 두과 녹비작물 활용에 따른 질소공급 효과로 인해 토마토 생육 및 과실 생산량은 증가한 반면, 후작물에 의한 양분흡수량이 많아 Ry-To-Sb-To 작부체계의 N:P:K 수지량은 -80:-59:$-480\;kg\;ha^{-1}\;yr^{-1}$로서 양분의 불균형이 심각하였다. 역으로 화본과 녹비로 구성된 Ry-To-Sb-To 작부체계의 N:P:K 수지량은 43:1:$130\;kg\;ha^{-1}\;yr^{-1}$로서 양분수지상 3요소 모두 양의 값을 보였으나, 이는 화본과 녹비작물의 낮은 질소 고정량과 높은 C/N율로 인해 후작물 토마토의 생육이 부진하였던 결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두과 녹비작물 토양 환원시 양분 수지량에서 큰 음의 값을 보였을지라도 관행수준의 토마토 수량을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두과녹비는 화학비료 없이 유기농 재배를 위한 양분공급 및 토양지력 증진 방안으로서 활용 가능하고, 일반 토마토 재배 시에도 다소의 부족한 양분 수지량만 조정한다면 균형된 작부체계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초기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Early Yield and Fruit Quality of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Substrate Culture)

  • 노미영;배종향;이용범;박권우;권영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8-73
    • /
    • 1995
  • 고형배지경에서 육묘기와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의 차이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농도는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로 각기 다르게 처리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로 처리되었다. 모든 배지에서 총과수, 총수량, 상품과수 및 상품수량은 1.0mS/cm보다 2.0-3.0mS/cm에서 훨씬 더 높았다. 기형과율은 피트모스>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 순이었으며 비타민C 함량은 버미큘라이트>펄라이트>피트모스 순이었다. 모든 배지에서 육묘기에는 2.0-5.0mS/cm, 정식 후에는 2.0-3.0mS/cm로 관리했을 때, 상품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육묘기 뿐만 아니라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는 총수량, 상품수량 및 당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총과수와 상품과수는 정식 후의 배양액농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