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고추, 토마토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바이러스들 중 한 종이다. TSWV의 넓은 기주범위, 매개충인 총채벌레 방제의 어려움 및 TSWV의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저항성 품종을 사용하는 것이 TSWV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에서 분리된 TSWV 분리주(SW-TO2)의 유전학적·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최근에 국내에서 분리된 구기자, 머위, 당귀 TSWV 분리주와 비교하였다. 순수분리된 SW-TO2는 28종의 지표식물 중 토마토를 포함한 17종에서 원형반점, 모자이크 증상 등 전신감염 증상을 보였다. SW-TO2의 유전자 계통분석 결과 국내에서 분리된 고추, 구기자 TSWV 분리주와 98~99%의 상동성을 보이며 같은 그룹에 속하였다. TSWV 저항성 평가를 위한 생물검정법을 확립하고, 시판되고 있는 고추와 토마토 품종을 대상으로 4종의 TSWV 분리주에 대한 저항성 평가를 검정하였다. TSWV 저항성 평가는 첫째, 접종엽에 괴사반점 증상이 나타나거나 병징이 없는 경우, 둘째, 상엽에 병징이 없는 경우, 셋째, 상엽을 RT-PCR 진단한 결과 음성이 나왔을 경우 등 3가지 조건이다 충족될 때 저항성으로 평가하였다.
전국 52개 지역에서 2002년, 2004년에서 2006년, 4년 간 고추 바이러스 이병물을 채집하여 바이러스 감염양상을 조사하였다.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는 Cucumber mosaic virus(CMV), Pepper mottle virus(PepMoV), Pepper mild mottle virus(PMMoV), Broad bean wilt virus 2(BBWV2), Tobacco mild green mosaic virus(TMGMV),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6종이었다. CMV, PepMoV PMMoV와 BBWV2의 발생률은 각각 29.4%, 13.6%, 14.3%, 25.6%이었다. TMGMV와 TSWV의 발생률은 1.0%로 매우 낮았다. 2002년과 2004년의 CMV 발생률은 53.3%와 34.2%로 가장 높았으나 2005년과 2006년에는 18.2%와 11.9%로 감소하였다. BBWV2의 발생률은 2002년에 1.3%, 2004년에 1.8%로 낮았으나, 2005년에 41.3%, 2006년에 58.2%로 크게 증가하였다. CMV+BBWV2의 발생률은 2002년에 0.0%, 2004년에 2.1%이었으나 2005년과 2006년에 각각 33.3%와 83.2% 증가하여 BBWV2의 단독감염과 함께 복합감염에서도 급격히 증가하였고 CMV+BBWV2+PepMoV의 삼중 복합감염률은 평균 6.4%이었다. CMV는 고추 잎에 심한 모자이크병징, BBWV2는 원형반점 병징을 일으키며, CMV와 BBWV2의 복합감염 경우에는 퇴록병징을 일으켰다. TSWV는 고추 잎과 과일에 전형적인 다중 원형반점을 일으켰다.
$Tomato$$spotted$$wilt$$virus$ (TSWV)-infected $Capsicum$$annuum$ plants were collected from open fields during June to July in 2010. The TSWV isolates were designated as Gneung, Ghang-Kjj, Gchang-Njc, Ghae, and Pap.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nucleocapsid protein (N) and movement protein (NSm) of the five isolates was determined. The pathogenicity of the five isolates was determined on 14 $C.$$annuum$ cultivars two times by using mechanical inoculation. The five isolates induced different response: Both Gneung and Gchang-Kjj did not infect any of the cultivars in the 2nd trial, while Gchang-Njc, Ghae and Pap infected 11, 6 and 13 of 14 cultivars, respectively. The five isolates also were tested on $Solanum$$lycopersicum$ breeding line TGC09-71 and three $Nicotiana$ species. $S.$$lycopersicum$ showed a similar response to the five isolates as did $C.$$annuum$. Both Gchang-Njc and Ghae infected systemically all three $Nicotiana$ species tested. While both Pap and Gneung did not infect any of the $Nicotiana$ species tested. In conclusion, five TSWV isolates induced different infection spectra in $C.$$annuum$ cultivars, $Nicotiana$ species and an $S.$$lycopersicum$ breeding line.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of the NSm gene could not support or explain the different infection spectra of the five isolates. This study indicated that various isolates must be used as virus inocula for evaluation of $C.$$annuum$ and $S.$$lycopersicum$ cultivars in breeding programs for TSWV resistance.
철원지역의 주요 과채류인 토마토와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바이러스병에 대한 방제를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시설 하우스를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5년-2016년에는 7-9월에 채집을 진행하였고, 채집시료는 시설 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잎과 과실이었다. 파프리카와 토마토를 포함하는 가지과 작물에 주요 바이러스병을 일으키는 5종의 바이러스인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Cucumber mosaic virus (CMV), Pepper mottle virus (PepMoV), Broad bean wilt virus 2 (BBWV2),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에 대하여 유전자 진단법을 이용하여 채집시료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PMMoV, CMV, 그리고 TSWV가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CMV와 TSWV에 의한 바이러스병이 대부분(2015년에 파프리카에서 CMV 검정률 50.0%, TSWV 12.2%, 토마토에서 CMV 25.5%, TSWV 38.3% 이고, 2016년에 파프리카에서 CMV 45.9%, TSWV 45.5%, 토마토에서 CMV 23.8%, TSWV 47.6%)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두 바이러스의 조기예방을 위한 발생 경로를 추적하기 위하여 2017년에는 작기별(육묘, 정식중기, 정식후기)로 채칩 시기를 나누어 바이러스 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TSWV는 육묘에 감염되어 외부에서 철원군내에 유입되어 초기 병발생율이 높았고, CMV는 철원군내 농가에 토착화되어 작기가 중반으로 넘어갈수록 병발생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7년도 작기별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조사 결과, TSWV에 의한 바이러스병 발생율이 육묘에서 검출 이후 점점 감소하는 현상은 본 연구를 통해 육묘때 조기진단으로 인한 바이러스 검출 농가의 조기 대응 및 지속적인 관찰이 바이러스병의 확산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결과로 보인다.
VC/RT-PCR은 바이러스의 단백질과 PCR 튜브의 재질적 특성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이병주의 즙액으로부터 핵산을 지니고 있는 바이러스를 polypropylene에 부착시키고 그 외 PCR 활성을 저해하는 식물 즙액은 PBST로 제거해 주므로써 정확하고 깨끗한 바이러스 진단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바이러스에 대한 항혈청이 전혀 필요 없으며 포장 시료를 직접 이용해 30 분 이내에 바이러스 핵산을 획득할 수 있어 바이러스 진단이 빠르고 간편하며 경제적이고 감도 높은 실용적인 방법이다. TSWV 에 대한 VC/RT-PCR을 위해 다양한 마쇄 완충액을 시험한 결과 0.5%의 Sodium sulphite를 포함한 0.01M Potassium phosphate (pH 7.0)가 가장 안정적이었으며 VC/RT-PCR을 이용하여 TSWV에 대한 최적의 처리 과정을 확립하였다. TSWV에 최적인 완충액에 마쇄한 바이러스 감염 잎의 조즙액을 이용한 한계 희석 농도는 $10^{-5}$으로 높은 감도를 보여 낮은 농도의 바이러스를 보유한 기주로부터 정확하 게 바이러스를 감지해 낼 수 있게 되었다. 두가지 이상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기주로부터 두 가지 이상의 프라이머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감지해 내는 다중 진단을 위한 실험 중 식물체의 종류와 바이러스의 Primer의 종류가 진단결과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결과는 식물체 즙액을 바로 이용하는 VC/RT-PCR 방법은 물론 식물체로부터 Total RNA를 따로 분리하여 RT-PCR을 이용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편리하고 실용 적인 VC/RT-PCR법의 정확성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중 진단을 저해하는 식물체적 원인과 Primer 사이의 간섭 현상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될 것이며 이러한 원인을 충분히 제거해 줄 수 있는 마쇄 완충액을 개발하고 프라이머 제작을 더욱 신중히 해야 할 것이다.
Among the plant specimens requested from agricultural actual places of farmers, Agency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nd so forth for the diagnosis of plant virus diseases in 2009, the rate of crop types was 87.5% for vegetables, 4.0% for upland crops and 3.5% for orchids. In vegetables, the crops damaged severely by viral diseases were red pepper and tomato by the infection rate of 51.6% and 26.5%, orderly. Virus species occurring vegetables were 19 and the economically important viruses were Cucumber mosaic virus (CMV),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with the infection rate of 33.2%, 16.9%, 16.1% and 7.4%, respectively. Rice stripe virus (RSV) occurred at the whole areas of west coast in Korea in 2009, and its incidence was 14.2% mainly on the susceptible cultivars and yield loss was estimated up to 50%. TYLCV was spread at 34 areas of Si and/or Gun, 22 areas in 2009 and 12 in 2008. Distribution of TSWV was expanded newly in 6 areas of Si and/or Gun including Gangryung, Gangwondo in 2009, and its occurrence areas were 23 Si and/or Gun after first incidence at Anyang area in 2004. Tomato bushy stunt virus (TBSV) was incited newly at Gimcheon area in 2009 with the infection rate of 65.2%, and its soil transmission rate was 55.0% in average.
The severe damage induced by the important viruses of Rice stripe virus (RSV),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Melon necrotic spot virus (MNSV),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and Tomato bushy stunt virus (TBSV) was described on major crops in Korea. In 2007, the plot incidence rate of RSV was 100% on the precocious rice cultivars at the Western coastal provinces of Gyeonggido, Chungcheongnamdo, Jellabugdo and Jellanamdo, and Jejudo. RSV occurred in 2,441 ha with incidence rate of 70% over at 5 areas of Seocheon, Seosan, Boryung, Hongsung and Buyou in Chungcheongnamdo. At 4 areas of Buan, Gimje, Gunsan and Gochang in Jellabukdo, RSV occurred in 2.016 ha. CGMMV occurred on watermelon in 4.6 ha at Cheongyang area, and its outbreak was also 890 ha on oriental melon for 120 farmers with the incidence area of 23% against total cultivation areas of Seongju. MNSV was recorded firstly on watermelon in 2006 at Andong and it spread to 3 areas of Hapcheon, Gochang and Yanggu. TSWV occurred firstly at Danggin in Chungcheongnamdo in 2005. TSWV in 2006 spread to 6 areas; Taian, Hongsung and Seosan in Chungcheongnando, Namwon in Jellabukdo, and Sunchon and Kwangju in Jellanamdo. In 2007, TSWV covered 17 areas of western and southern parts; the 5 area including Taian in Chungcheongnamdo, Kwangju in Jellanamdo, Bucheon in Gyunggido, and so forth. TBSV was described firstly on table tomato at Sacheon in Kyungsangnamdo in 2004. TBSV occurred on cherry tomato at Chungju in 2006 and on table tomato at Busan area.
To follow up on a 2017 survey of tomato virus diseases, samples with virus-like symptoms were collected from the same areas (Buyeo-gun, Chungchungnam-Do and Daejeon, Korea) in 2018. While in 2017 mixed infections of Tomato mosaic virus with either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or Tomato chlorosis virus were detected, only TYLCV was detected in symptomatic samples in 2018. TYLCV amplicons of c.777 bp representing the coat protein (CP) coding region were cloned from the TYLCV positive samples, and the sequence data showed a 97.17% to 98.84% nucleotide and 98.45% to 99.22% amino acid identity with the 2017 Buyeo-gun isolate (MG787542), which had the highest amino acid (aa) sequence identity of up to 99.2% with four 2018 Buyeo-gun sequences (MK521830, MK521833, MK521834, and MK521835). The lowest aa sequence identity of 98.45% was found in a 2018 Daejeon isolate (MK521836); the distance between Buyeo-gun and Daejeon is about 45 km.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urrently reported CP sequences are most closely related to Korean sequences from Masan (HM130912), Goseong (JN680149), Busan (GQ141873), Boseong (GU325634), and the 2017 isolate TYLCV-N (MG787543) in the 'Japan' cluster of TYLCV isolates and distinct from the 'China' cluster isolates from Nonsan (GU325632), Jeonju (HM130913) and Jeju (GU325633, HM130914). Our survey data from 2017 and 2018 suggest that TYLCV has become established in Korea and may be spread by whitefly vectors from weed reservoirs within the farm environment.
We conducted a survey on pepper virus diseases in 31 regions in Korea from November 2001 to December 2004. Using electron microscopy, test plant reaction, rapid immuno-filter paper assay (RIP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or analysis of viral nucleotide sequences, we found a number of viruses from 1,056 samples that we collected. These included Cucumber mosaic virus (CMV), Pepper mottle virus (PepMoV),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Broad bean wilt virus 2 (BBWV2), Tobacco mild green mosaic virus (TMGMV), and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Of the samples analyzed, $343(32.5\%)$ were infected with CMV, $209(19.8\%)$ with PepMoV, $141(13.4\%)$ with PMMoV, $12(1.1\%)$ with BBWV2, $40(3.8\%)$ with TMGMV, $5(0.5\%)$ with TSWV, $153(14.5\%)$ with CMV and PepMoV, $54 (5.1\%)$ with CMV and PMMoV, $31(2.9\%)$ with PepMoV and PMMoV, $3(0.3\%)$ with CMV and BBWV2, $1(0.1\%)$ with CMV, PepMoV and BBWV2, $8(0.8\%)$ with CMV, PepMoV and PMMoV, and $30 (2.8\%)$ samples were infected with viruses which were not identified. CMV was the most predominant virus in all inspected fields and the number of the samples infected with PMMoV was relatively low as compared PepMoV infection level in pepper. TMGMV was only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hile TSWV was isolated in Anyang and Yesan. However, we did not encounter in this survey the Alfalfa mosaic virus (AMV), Potato virus Y (PVY), Tobacco mosaic virus (TMV), and Pepper vein chlorosis virus (PVCV).
토마토와 박과류채소의 유기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무농약으로 재배하는 시설하우스에서 최근 문제되는 병해를 조사한 결과 토마토 잎곰팡이병과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토마토퇴록바이러스병, 박과류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병, 박과류 흰가루병 등의 피해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약을 사용하여 일반재배를 하는 시설하우스에 비해 무농약재배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작물에서 병 발생 시기가 더 빠르고 병 발생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채벌레와 진딧물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바이러스병 피해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우수한 유기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병해충방제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병 발생 피해를 최소화기 위해서는 포장위생과 물리적 차단, 유기농업자재나 미생물제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