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hoku area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Reduction of Outdoor and Indoor Ambient Dose Equivalent after Decontamination in the Fukushima Evacuation Zones

  • Yoshida-Ohuchi, Hiroko;Kanagami, Takashi;Naitoh, Yutaka;Kameyama, Mizuki;Hosoda, Masahir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2권1호
    • /
    • pp.42-47
    • /
    • 2017
  • Background: One of the most urgent issues following the accident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FDNPP) was the remediation of the land, in particular, for residential area contaminated by the radioactive materials discharg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econtamination on reduction of ambient dose equivalent outdoors and indoors was evaluated. The latter is essential for residents as most individuals spend a large portion of their time indo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12 to November 2014, thirty-seven Japanese single-family detached wooden houses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decontamination in evacuation zones. Outdoor and indoor dose measurements (n = 84 and 114, respectively) were collected based on in situ measurements using the NaI (Tl) scintillation surveymeter. Results and Discussion: The outdoor ambient dose equivalents [$H^*(10)_{out}$] ranged from 0.61 to $3.71{\mu}Sv\;h^{-1}$ and from 0.23 to $1.32{\mu}Sv\;h^{-1}$ before and after decontamination, respectively. The indoor ambient dose equivalents [$H^*(10)_{in}$] ranged from 0.29 to $2.53{\mu}Sv\;h^{-1}$ and from 0.16 to $1.22{\mu}Sv\;h^{-1}$ before and after decontamination, respectively. The values of reduction efficiency (RE), defined as the ratio by which the radiation dose has been reduced via decontamination, were evaluated as $0.47{\pm}0.13$, $0.51{\pm}0.13$, and $0.58{\pm}0.08$ ($average{\pm}{\sigma}$) when $H^*(10)_{out}$ < $1.0{\mu}Sv\;h^{-1}$, $1.0{\mu}Sv\;h^{-1}$ < $H^*(10)_{out}$ < $2.0{\mu}Sv\;h^{-1}$, and $2.0{\mu}Sv\;h^{-1}$ < $H^*(10)_{out}$, respectively, indicating the values of RE increased as $H^*(10)_{out}$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values of RE were $0.53{\pm}0.12$ outdoors and $0.41{\pm}0.09$ indoors, respectively, indicating RE was larger outdoors than indoors. Conclusion: Indoor dose is essential as most individuals spend a large portion of their time indoors. The difference between outdoors and indoor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order to estimate residents' exposure dose before their returning home.

2011년 3월 일본 동북지방 태평양 연안 지진재해시의 쓰나미 재해와 지각변동 (Tsunami Disasters and Tectonic Movements along the Coastal Areas of Northeast Japan Derived from Mega-Earthquake in March, 2011)

  • 최성길;松本秀明;平野信一;박지훈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3-151
    • /
    • 2012
  • 2011년 3월 일본 동북지방의 태평양 연안 해저에서 발생한 거대 지진(M 9.0)에 의한 쓰나미 재해와 지각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센다이 해안 평야의 경우 쓰나미에 의한 침수 거리는 현 해안으로부터 4.0km에 달하였다. 쓰나미 사질 퇴적물은 쓰나미 침수범위 중의 바다쪽 60~75%의 구간, 니질 퇴적물은 육지쪽 25~40%의 구간에 분포한다. 이 분포 비율은 센다이 해안평야의 충적층 속에 묻혀있는 과거 거대 쓰나미 때의 퇴적물 분포로부터 당시의 내륙쪽 침수한계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센다이 해안평야 지역에서는 표고가 낮고 저평한 지형조건이, 그리고 리아스식 해안인 산리쿠 해안지역에서는 좁은 만입부에서의 쓰나미 증고 현상이 쓰나미 재해를 크게 증대시킨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시노마키, 오가와, 오가치, 오나가와 등 동북 일본 해안지역의 여러 곳에서 이번의 대지진으로 인한 지각변동으로 0.5~1.0m정도의 지반침강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일본 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도다리, Pleuronichthys cornutus, 2형간의 유전적 분기 (Genetic Divergence of Two Types of Finespot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Distributed in the Japan Sea Area)

  • 박중연;목도명박;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13
    • /
    • 1994
  • 일본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 중의 하나인 도다리 2형간 유전적 분기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분 gel 전기영동법에 의한 isozyme분석을 행하였다. 도다리 2형간에 있어서 14종의 효소를 지배하는 22유전자좌가 검출되었으며 2형간에 있어서 공통의 대림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완전분기는 3유전자좌(Acp, Idh-2 및 Mdh-2)에서 관찰되었다. 2형간에 있어서 측정된 Nei의 유전적거리는 0.46592이었으며 2형간에 있어서 유전적 변이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평균 이형 접합체율의 기대치는 A type에서 0.120, B type에서는 0.095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2형간에 있어서 유전적으로 상호 분기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분기 년도는 대략 $2.3{\times}10^6$년 전으로 추정된다.

  • PDF

농산촌의 지역 활성화 활동의 실태분석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모리를 사례로 - (Analysis of Localization in Rural area: A Case of Mori village)

  • 정석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67-780
    • /
    • 2008
  •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농산촌 지역의 '내발적 발전'에 의한 지역 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지역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학산면 모리를 사례로 이러한 활동을 내발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후의 과제를 지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리마을은 특산물인 포도의 유통 구조 복잡성과 수입 포도의 증가로 농외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도농교류를 도입하였으며, 이로 인해 농외소득이 증가하고 있다. 도농교류 도입에 의한 운영 위원회가 조직되고 이장을 포함한 지역 리더가 여러 업무를 겸임하면서 마을업무가 일부 리더에게 집중되어 있다. 일부 리더 중심의 업무형태와 주민의 역할이 없는 마을 활성화사업은 지속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모리마을의 주민과 리더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을지도자, 참가 주민, 미참가 주민, 민박 등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을 통해 최대한 많은 주민에게 적합한 역할분담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PDF

Genetic Parameters for Traits in Performance and Progeny Tests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s in Japanese Black Cattle

  • Oikawa, T.;Hoque, M.A.;Hitomi, T.;Suzuki, K.;Uchida,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611-616
    • /
    • 2006
  • Genetic parameters for performance traits on 409 bulls and growth and carcass traits on 591 of their steer progeny were estimated in Japanese Black cattle with Gibbs sampling. Traits of bulls included body weight at the start (BWS) and finish (BWF) of test, daily gain (DG), concentrate, roughage and TDN intake, and TDN conversion ratio. Progeny traits were BWS, BWF, DG, rib eye area, marbling score (MSR), dressing percentage and subcutaneous fat thickness (SFT). In bulls, heritabilities were high for BWS (0.50) and BWF (0.63) and moderate for concentrate (0.48) and TDN intake (0.45), while in progeny, the heritability for all the studied traits was moderate to high (ranging from 0.30 to 0.73),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genetic improvement of these traits.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TDN intake and growth traits (BWS, BWF and DG) in bulls were highly positive (ranging from 0.77 to 0.94). The weak but negative genetic correlation (-0.20) between MSR and SFT in progeny indicated that improvement of beef marbling without increasing subcutaneous fat deposition could be possible. The estimated genetic correlations of roughage intake of bulls with body weights (BWS and BWF) and MSR of their progeny were moderate (ranging from 0.35 to 0.52). On the basis of the selection for bulls, growth traits and TDN intake correlated positively with SFT (ranging from 0.43 to 0.53) of their progen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controlling the increase of SFT in selection programs.

18F-THK5351 PET Imaging in Nonfluent-Agrammatic Variant Primary Progressive Aphasia

  • Yoon, Cindy W;Jeong, Hye Jin;Seo, Seongho;Lee, Sang-Yoon;Suh, Mee Kyung;Heo, Jae-Hyeok;Lee, Yeong-Bae;Park, Kee Hyung;Okamura, Nobuyuki;Lee, Kyoung-Min;Noh, Young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0-119
    • /
    • 2018
  • Background and Purpose: To analyze $^{18}F-THK5351$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scans of patients with clinically diagnosed nonfluent/agrammatic variant primary progressive aphasia (navPPA). Methods: Thirty-one participants, including those with Alzheimer's disease (AD, n=13), navPPA (n=3), and those with normal control (NC, n=15) who completed 3 Tesla magnetic resonance imaging, $^{18}F-THK5351$ PET scans, and detailed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included. Voxel-based and region of interest (ROI)-based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retention of $^{18}F-THK5351$ in navPPA patients. Results: In ROI-based analysis, patients with navPPA had higher levels of THK retention in the Broca's area, bilateral inferior frontal lobes, bilateral precentral gyri, and bilateral basal ganglia. Patients with navPPA showed higher levels of THK retention in bilateral frontal lobes (mainly left side) compared than NC in voxel-wise analysis. Conclusions: In our study, THK retention in navPPA patients was mainly distributed at the frontal region which was well correlated with functional-radiological distribution of navPPA. Our results suggest that tau PET imaging could be a supportive tool for diagnosis of navPPA in combination with a clinical history.

매개변수에 따른 산사태 위험도의 변화 (Variation of Landslide Risk with Parameters)

  • 이준대;권영철;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5-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하는 지반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GIS의 기반의 확장프로그램인 SINMAP을 이용하여 매개변수에 따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험도평가는 매개변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변수인 내부마찰각과 T/R 값의 범위를 각각 3가지와 4가지 패턴으로 결정하였으며, 해석결과를 기존 산사태 결과와 비교하여 산사태 거동을 규명하고 매개변수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지형학적 습윤대를 분석한 결과, 한계습윤대와 포화대가 토석류 영역과 거의 일치하고 있으며 지하수 수렴부가 붕괴시점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형학적 습윤대가 경사분포나 붕적토층의 존재여부, 산사태 유발구조물 등과 복합적으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부마찰각의 하한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한계불안정영역이 50~70%까지 감소되어 안정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경향을 보였으나 낮은 습윤지수 범위에서는 그 영향력이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습윤지수의 범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도평균값을 적용한 경우를 제외하면 모든 Group에서 유사한 안정지수 분포를 보이고 있어 습윤지수보다는 내부마찰각에 민감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쓰나미에 의한 유목의 생성과 퇴적패턴의 수치모의실험 (Numerical Experiment of Driftwood Generation and Deposition Patterns by Tsunami)

  • 강태운;장창래;이남주;이원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165-178
    • /
    • 2021
  • 본 연구는 유목의 생성 및 퇴적과 쓰나미 흐름을 수치모형을 활용하여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2차원 수심적분흐름모형과 유목동역학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지역은 일본 센다이(Sendai)해안가로서 관측자료(Inagaki et al. 2012)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목의 퇴적패턴을 비교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흐름의 항력으로 인해 유목이 발생하는 단순화된 모형이 개발되었다. 또한 유목 발생량을 고려하기 위해 Google Earth를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퇴적된 유목 수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해안숲의 30만 그루의 나무으로부터 13000개 이상의 유목이 발생하여 내륙으로 이송되는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이 수치실험 결과는 Inagaki et al. (2012)의 관측데이터와 유사하였다. 또한, 유목의 발생과 퇴적 패턴의 재현성은 종방향 퇴적패턴에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추후에는 목재의 크기, 경계 조건, 격자 크기와 같은 유목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구축하여 유목의 이동패턴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모델링은 물의 흐름과 유목에 따른 재해예측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강하구 연약지반의 압밀 특성 평가 (Estimation of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Soft Ground in Major River Mouth)

  • 이준대;권영철;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69-79
    • /
    • 2019
  • 해안지역은 강의 지형과 지질, 해류 및 강하구 등 환경조건에 따라 다양한 퇴적층을 구성하므로 해안지역에 충적된 해성점토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연약지반의 형성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충적지반은 지형과 자연환경변화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형성되므로 퇴적된 지역이나 퇴적상황에 따라 매우 다른 성질을 가지게 된다. 더구나 해안지역을 따라 다양한 대형사업이 강하구에 집중됨으로써 해류의 흐름이나 퇴적특성이 바뀌어 퇴적상태가 변하여 불확실성이 더욱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설계 상수를 제시할 목적으로 서해안과 남해안을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대상연안에 해당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성을 가진 실내 및 현장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선형 및 비선형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설계 매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상 검증, 이상치제거와 같은 통계 분석을 통해 각 지역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설계 매개 변수의 분포 특성을 제안했다.

Potential of River Bottom and Bank Erosion for River Restoration after Dam Slit in the Mountain Stream

  • Kang, Ji-Hyun;So, Kazama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46
    • /
    • 2011
  • Severe sediment erosion during floods occur disaster and economic losses, but general sediment erosion is basic mechanism to move sediment from upstream to downstream river. In addition, it is important process to change river form. Check dam, which is constructed in mountain stream, play a vital role such as control of sudden debris flow, but it has negative aspects to river ecosystem. Now a day, check dam of open type is an alternative plan to recover river biological diversity and ecosystem through sediment transport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disaster contro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sediment erosion progress of river bottom and bank as first step for river restoration after dam slit by cross-sectional shear stress and critical shear stress. Study area is upstream reach of slit check dam in mountain stream, named Wasada, in Japan. The check dam was slit with two passages in August, 2010. The transects were surveyed for four upstream cross-sections, 7.4 m, 34 m, 86 m, and 150 m distance from dam in October 2010. Sediment size was surveyed at river bottom and bank. Sediment of cobble size was found at the wetted bottom, and small size particles of sand to medium gravel composed river bank. Discharge was $2.5\;m^3/s$ and bottom slope was 0.027 m/m. Excess shear stress (${\tau}_{ex}$) was calculated for hydraulic erosion by subtracting the values of critical shear stress (${\tau}_{c}$) from the value of shear stress (${\tau}$) at river bottom and bank (${\tau}_{ex}=\tau-{\tau}_c$). Shear stress of river bottom (${\tau}_{bottom}$) was calculated using the cross-sectional shear stress, and bank shear stress (${\tau}_{bank}$) was calculated from the method of Flintham and Carling (1988). $${\tau}_{bank}={\tau}^*SF_{bank}((B+P_{bed})/(2^*P_{bank}))$$ where $SF_{bank}=1.77(P_{bed}/p_{bank}+1.5)^{-1.4}$, B is the water surface width, $P_{bed}$ and $P_{bank}$ are wetted parameter of the bed and bank. Estimated values for ${\tau}_{bottom}$ for a flow of $2.5\;m^3/s$ were lower as 25.0 (7.5 m cross-section), 25.7 (34 m), 21.3 (86 m) and 19.8 (150 m), in N/$m^2$, than critical shear stress (${\tau}_c=62.1\;N/m^2$) with cobble of 64 mm. The values were insufficient to erode cobble sediment. In contrast, even if the values of ${\tau}_{bank}$ were lower than the values for ${\tau}_{bottom}$ as 18.7 (7.5 m), 19.3 (34 m), 16.1 (86 m) and 14.7 (150 m), in N/$m^2$, excess shear stresses were calculated at the three cross-sections of 7.5 m, 34 m, and 86 m distances compare with ${\tau}_c$ is 15.5 N/$m^2$ of 16mm gravel. Bank shear stresses were sufficient for erosion of the medium gravel to sand. Therefore there is potential to erode lateral bank than downward erosion in a flow of $2.5\;m^3/s$. Undercutting of the wetted bank can causes bank scour or collapse, therefore this channel has potential to become wider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is about a potential of sediment erosion, and the result could not verify with real data. Therefore it need next step for verification. In addition an erosion mechanism for river restoration is not simple because discharge distribution is variable by snow-melting or rainy season, and a function for disaster control will recover by big precipitation event. Therefore it need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ous discharge change and sediment ero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