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ocalization in Rural area: A Case of Mori village

농산촌의 지역 활성화 활동의 실태분석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모리를 사례로 -

  • Jeong, Sock-Ho (Institute of Geography Graduate school of Science Tohoku University)
  • 정석호 (동북대학 대학원 이학연구과 지학)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social group with each town, leadership with self-action and network with external organizations will be the main topic. Especially, the condition which make a communic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for localization is examined as an example of Mori village. As rice productivity has more serious problems than 1990s, many farming systems changed from rice productions to different kinds, like grapes. Particularly, this market and field started with the exchange system between local farms and cities because of the complex structure of grape circulation and increasing import for extra income. Extra income of farming is started to increase because of exchange program between local towns and cities. But, those works are concentrated on one or two leaders. It could be a burden for them. So. we need to change this into new system which the work is not concentrated to few leaders but distribute to everyone.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농산촌 지역의 '내발적 발전'에 의한 지역 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지역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학산면 모리를 사례로 이러한 활동을 내발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후의 과제를 지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리마을은 특산물인 포도의 유통 구조 복잡성과 수입 포도의 증가로 농외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도농교류를 도입하였으며, 이로 인해 농외소득이 증가하고 있다. 도농교류 도입에 의한 운영 위원회가 조직되고 이장을 포함한 지역 리더가 여러 업무를 겸임하면서 마을업무가 일부 리더에게 집중되어 있다. 일부 리더 중심의 업무형태와 주민의 역할이 없는 마을 활성화사업은 지속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모리마을의 주민과 리더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을지도자, 참가 주민, 미참가 주민, 민박 등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을 통해 최대한 많은 주민에게 적합한 역할분담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