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darodes pacificu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Characteristics of Films Based on Chitosans Isolated from Todarodes pacificus

  • Chung, Dong-Hwa;Kim, Sang-Moo;Kim, Won-Tae;Shin, Il-Shik;Park, H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433-436
    • /
    • 2005
  • Chitosans were obtained with varying deacetylation times using the ${\beta}$-chitin isolated from Todarodes pacificus, and their deacetylation degrees and average molecular weights were determined. Films prepared with the squid chitosans were characterized by estimating their tensile strengths, percent elongations, water vapor permeabilities, degree of swelling, and temperatures of glass transition and thermal decompos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quid chitosan films were comparable to common crustacean chitosan films in regard of mechanical, moisture barrier, and thermal properties, although further, multilateral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make a more definitive conclusion.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 유래 한외여과 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의 특성과 쓴맛 개선효과 (Characteristics of 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Obtained by Ultrafiltration, and Its Lowering the Bitterness)

  • 김진수;이정석;윤인성;강상인;박선영;정우철;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12-122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some enzymatic properties and bitterness improvement of an 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 (ARF) from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extract (HPE), obtained by ultrafiltration with a 10 kDa molecular weight cut off membrane. Endoprotease and aminopeptidase (AP) activity, and the purity of the ARF (>10 kDa) increased by 6.69-18.11 U/mg and 1.5-2.6 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HPE (2.63-9.37 U/mg). The AP activity toward LeuPNA was stable at 20-55℃ and pH 5-9, but decreased sligh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NaCl in the reaction mixture. The ARF was the most active MetPNA and preferentially hydrolyzed Glu, Leu and AlaPNA. The bitterness tryptic casein hydrolysates (BTCHs) were treated with ARF, and the bitterness of ARF-BTCH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released amino acids Ala, Val, Met, Ile and Leu, which show strong correlations with bitterness. Therefore, the ARF of T. pacificus HPE obtained by ultrafiltration may have a considerable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protein hydrolysis and appears to be ideally suited to the purpose of lowing bitterness in protein hydrolysates.

Plerocercoids of Nybelinia surmenicola (Cestoda: Tentacularidae) in Squids, Todarodes pacificus, from East Sea, the Republic of Korea

  • Lee, Joon Yup;Kim, Ji Woon;Park, Gab M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2호
    • /
    • pp.221-224
    • /
    • 2016
  • A visceral helminth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is reported from the East Sea, the Republic of Korea. Total 39 squid samples were purchased from a fish market in Jumunjin-eup, Gangneung-si (City) from August 2014 to July 2015 and were examined for helminth parasites with naked eyes and under a stereomicroscope after opening the abdominal cavity with a pair of scissors. Whitish larval worms were mainly found in the stomach and abdominal cavity of the squid. They were detected in 25 (64.1%) out of 39 squids examined, and the infection density was 7 larvae per infected squid. Spatula-shaped larvae were $8.2{\times}2.0mm$ in average size, round to slightly flattened anteriorly, with round hatching posteriorly, and had characteristic 4 tentacles with numerous hooklets in the scolex. The larvae were identified as the plerocercoid stage of Nybelinia surmenicola by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This finding represents a new host record and the first report of N. surmenicola infection in T. pacificus squids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북서태평양에 서식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계군 분석에 대한 고찰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Northwest Pacific)

  • 김정연;문창호;윤문근;강창근;김경렬;나태희;최은정;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4호
    • /
    • pp.292-302
    • /
    • 2012
  • 본 종설논문은 살오징어의 기존 및 최근에 새롭게 적용되고 있는 계군 분석방법들을 비교 분석하여 각 분석방법의 장단점과 분석방법간의 상호보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살오징어는 북서태평양의 넓은 지역을 회유하는 어종으로 생태계 및 상업적으로 중요한 자원이다. 살오징어는 해양환경변화의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 받고 있으며, 장단기적인 어획량 및 분포역의 변화가 환경 변화와 함께 나타난다. 예를 들어, 1987/1988 무렵에 발생한 기후체제전환 이후 한류성 어종으로 분류되는 명태의 어획량은 급감하여 현재까지 그 영향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살 오징어 어획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현재까지 명태 어획량의 감소에 대하여 남획과 기후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진 해석이 있으나, 뚜렷한 원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 중 한 가지는 계군 분석에 근거한 생태, 환경적 측면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이 된다. 계군은 유사한 생물학적 특징을 가진 개체들이 제한된 영역 내에서 유성생식과정을 통하여 동일한 유전자 풀(gene pool)을 공유하는 집단으로, 동일 계군을 형성하는 개체들은 산란에서 자원으로 가입 후 다시 재생산 과정에 이르기까지 시간 및 공간적으로 각기 다른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종에 대한 정확한 계군 분석은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 및 급격한 변화에 대한 중요한 대응 방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살오징어 계군 분석에 적용된 주요 방법은 크게 4가지로 형태학적 방법, 생태학적 방법, 표지방류법, 유전학적 방법이 있다. 형태학적인 방법은 분석방법이 가장 간단하고 다수의 개체를 비교적 쉽게 분석할 수 있지만 각 형질들은 성장기간 동안 환경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개체간의 차이가 생긴다. 생태학적 방법은 주로 개체의 생리적인 변화와 분포 및 회유상태, 기생충의 기생상태나 종류 및 기생률 등을 분석, 산란장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이며,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방법으로 유사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집단을 알 수 있지만 유전적으로 같은 집단인지는 알기 어렵다. 표지방류법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계군의 회유 및 분포, 산란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지만 수거가 어렵고 초기 단계에는 표식을 하기 어렵다. 수산생물의 계군 분석을 위한 유전학적 방법은 자원관리학적 연구에 관한 기본적 정보를 제공해 왔다. 계군 분석을 위한 유전학적 방법은 이에 사용하는 유전자 마커(marker)의 감도에 따라 결정되며, 유전자 마커의 다형성이 높은 것을 선택해야 한다. 계군 분석을 위한 유전자 마커로는 오랜 기간 동안 동위효소 다형이 사용되어졌으며, 최근에는 mitochondria, microsatellite와 같이 DNA 염기배열 중에서도 변이성이 높은 영역을 선택하여 마커로 이용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형태학적 방법, 표지방류법, 생태학적인 방법들은 살오징어의 생활사, 회유경로, 산란장의 변화 등을 밝혀내어 계군을 파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지만 여전히 각 해역에 분포하는 살오징어의 계군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계군 분석이 지닌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복합적인 방법의 계군 분석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유전학적 방법을 보완한다면 살오징어 자원의 변동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살오징어(Todaroes pacificus) 겨울발생군의 이동패턴 및 직접적 황해 유입 가능성 (Transport Process and Directly Entrainment Possibility into the Yellow Sea of Todarodes Pacificus Winter Cohort)

  • 송지영;이준수;김중진;이호진;박명희;한인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83-194
    • /
    • 2017
  • The catch of Todarodes pacificus in the Yellow Sea is commonly known as the winter cohort. So, to understand the transport process of winter cohort of T. pacificus, and to identify whether the simulated individuals which are transported directly into the Yellow Sea (YS) influence these resources immediately, we conducted a Lagrangian-particle-tracking numerical experiments of T. pacificus from 2005 to 2010 using LTRANS and ROMS. The results show that: (1) Most of the released individuals spread out to the open sea by the Kuroshio and the Tsushima Warm Current around 30 days after release. (2) Unlike the hypothesis proposed by Rosa et al. (2011), Around $30-33N^{\circ}$ near Jeju Island simulated the initial position (3) About 0.01% of individuals released in December were transported solely into the YS around 15 days after release. However there were no surviving individuals due to the low temperature less than $12^{\circ}C$. Also the variation of individuals entered into the Y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t in YS catch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refore, the most of resources in the YS is assumed to be more influenced by diverse factors of the Pacific Ocean and East Sea than the direct transport in the YS of winter cohort.

2015년 하계 및 추계 동해 남서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유생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Larva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Summer and Autumn, 2015)

  • 김윤하;신동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0-228
    • /
    • 2019
  •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살오징어 유생 출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8, 9, 11월 여수 근해부터 평해 연안까지 총 35개 정점에서 IKMT 네트(망목 : $500{\mu}m$)를 사용하였으며, 초기 생활단계의 주요 해양환경 인자인 수온은 CTD(SBE9plus)로 관측하였다. 유생의 월별 외투장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software(ver. 12.0)를 이용하였다. 채집된 살오징어 유생의 개체수는 총 228개체로 외투장 범위는 1.4 - 21.9 mm였다. 유생밀도 범위는 8월에 $0.2-5.2inds./1,000m^3$, 9월에 $0.1-3.2inds./1,000m^3$, 11월에 $0.3-7.9inds./1,000m^3$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생은 연안측 정점보다 조사해역의 동남부인 부산 근해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8, 9, 11월의 유생출현률은 각각 64.3 %, 62.9 %, 68.6 %였다. 평균외투장 범위는 5.24 - 5.68 mm였으며, 월별 평균외투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또한 외투장 분포에서 4 - 5 mm 구간의 유생이 최다 출현빈도를 보였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가 8월에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표층부터 약 20 m 부근까지 유생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온대가 존재하였던 반면, 9월과 11월에는 표층부터 유생이 서식하기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얕은 수심의 연안쪽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저층까지 적수온대가 형성되었으며, 100 m 이상의 깊은 수심의 외양쪽 정점에서는 표층부터 수온약층의 상층부까지 유생의 생존가능한 수온대가 형성되었다.

한국 해역에 분포하는 오징어 (Todarodes pacificus)의 생식생태학적 방법에 의한 계군분석 (Population Analysis by the Reproductive Ecological Method for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 김영혜;강용주;최수하;박차수;백철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3-527
    • /
    • 1997
  • 본 연구는 분리된 세 개의 군이 서로 다른 독특한 생식생태를 가지는 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군의 산란기, 난경 조성, 포란수 및 성숙 외투장을 조사하였다. 하계군의 산란기는 7월$\~$8월 (주산란기, 7월), 난경 분포는 $0.4\~2.4mm$ (최빈값, 0.8 mm)이었고, 포란수는 $F=0.1\times10^{-6}{\times}ML^{0.5036}$이었다. 추계군의 산란기는 9월$\~$이듬해 1월 (주산란기, 9월), 난경 분포는 $0.2\~1.4mm$ (최빈값, 0.8mm)이었고, 포란수는 $F=1.0017{\times}ML^{3.2864}$ 이었다. 동계군은 3월$\~$4월 (주산란기, 3월)이었으며, 난경 분포는 $0.4\~2.0mm$ (최빈값, 1.0 mm)이었다. 포란수는 $F=1.0499{\times}ML^{1.2953}$ 이었다. 성숙외투장은 하계군, 추계군 및 동계군 모두 $20\~22cm$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산란기, 포란수 및 난경의 분포는 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성숙외투장은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2013년 8월, 9월 동해 남부연안 살오징어 유생 분포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Paralava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the East Sea in August and September 2013)

  • 김윤하;문창호;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215-222
    • /
    • 2014
  • 동해연안에서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유생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8월과 9월 해양조사선 탐구 12호로 21정점에 대해 CTD 관측 및 지름 60 cm, 망목 $333{\mu}m$의 봉고네트를 이용한 복경사 채집을 하였다. 유생은 8월에 3개 정점에서 16 개체/$10m^3$, 9월에 1개 정점에서 7 개체/$10m^3$가 출현하였으며, 유생이 채집된 정점의 수심은 약 70 m-500 m 사이였다. 유생의 외투장은 1.7-6.0 mm였으며, 8월에는 주로 외양측 정점, 9월에는 장기갑 부근 정점에서 채집되었다. 배아발달과 유생이 생존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온인 배아생존최적수온($18-24^{\circ}C$)은 35 m보다 깊지 않았고, 배아와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15-24^{\circ}C$)은 75 m보다 얕은 수심에 분포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산란장 환경 변화 (Changes in the Spawning Ground Environment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due to Climate Change)

  • 김윤하;정해근;이충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27-143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spawning ground area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To estimate long term changes in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of the common squid, water temperature at 50 m deep that can be inferred from sea surface temperature (SST) based on both NOAA/AVHRR (1981.07-2002.12) and MODIS/AQUA (2003.01-2009.12) ocean color data was analyzed. In addition, five climate indices, Arctic Oscillation Index (AO), Siberian High Index (SH), Aleutian Low Pressure Index (ALP), East Asia Winter Monsoon Index (EAWM) and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which are the main indicators of climate change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were us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and climate indices. The area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catch of common squid throughout four decades. The area of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 and EAWM. Especially, PD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in the northwestern Pacific (r = -0.39) a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r = -0.38).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O and the area of the spawning ground in the northwestern Pacific (r = 0.46) as well a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r = 0.32). Temporally, the area of the winter spawning gr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in the 1980s was smaller than those areas in the 1990s and 2000s, because the area was disconnected with the western coastal spawning ground of Japan in the 1980s, while the area had been made wider and more continuous from the Korea strait to the western coastal water of Honshu in the 1990s and 2000s.

동해 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껍질 유래 콜라겐의 UV 보호능 및 미백효과 (UV Protection and Whitening Effects of Collagen Isolated from Outer Layer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 권민철;;김효성;안주희;조남현;이현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12
    • /
    • 2008
  • To develop a whitening agent, cytotoxicity of the soluble collagen isolated from Todarodes pacificus (CIT) was evaluated. CIT tested for cytotoxicity on human dermal fibroblast (CCD-986sk) was exhibited very low cytotoxicity. Because tyrosinase is the key enzyme for melanin biosynthesis, the use of various tyrosinase inhibitors is a common practice for whitening purpose in cosmetics.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assay were measured to confirm the whitening effect. The inhibitory effect of MMP-1 in UV-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 was also performed. CIT showed strong inhibition potency on tyrosinase by 51.5% at 0.2 mg/mL which increased the inhibition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IT, and showed 69.1% inhibition at 1.0 mg/mL. CIT showed strong inhibition effect on melanin production with 82% at 1.0 mg/mL. The CIT also reduced about 76% expression of MMP-1 in UV-irradiated CCD-986sk cell at 1.0 mg/mL. From the preliminary observations, we suggest that the collagen isolated from CIT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skin-whitening and anti-aging agents for the photo-damage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