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F

검색결과 30,836건 처리시간 0.061초

Fissidens (Fissidentaceae, Bryophyta) species newly recorded in Korea

  • KWON, Woocha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8-32
    • /
    • 2021
  • Here, 15 taxa of genus Fissidens Hedw. are reported as new to the moss flora of Korea: F. bryoides var. esquirolii, F. closteri subsp. kiusiuensis, F. crispus, F. curvatus, F. enervis, F. flabellulus, F. ganguleei, F. gracilifolius, F. gymnandrus, F. incurvus, F. longisetus, F. pusillus, F. takayukii, F. viridulus, and F. wichurae. The list of Fissidens in Korea, consisting of 26 taxa previously, is updated to 38 taxa by adding 15 taxa and excluding three taxa. Descriptions, taxonomic notes with diagnoses, in situ and microscopic photographs of the unrecorded species, and taxonomic keys of four sections belonging to the subgen. Fissidens are provided.

G(f)-SEQUENCES AND FIBRATIONS

  • Woo, Moo-Ha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709-715
    • /
    • 1997
  • For a fibration (E,B,p) with fiber F and a fiber map f, we show that if the inclusion $i : F \to E$ has a left homotopy inverse, then $G^f_n(E,F)$ is isomorphic to $G^f_n(F,E) \oplus \pi_n(B)$. In particular, by taking f as the identity map on E we have $G_n(E,F)$ is isomorphic to $G_n(F) \oplus \pi_n(B)$.

  • PDF

생쥐난의 체외 배양에서 인간난포액과 표피 성장 인자가 난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G.F. and Human Follicular fluid on the Maturation of Mouse Oocytes in in vitro Culture)

  • 민부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0권2호
    • /
    • pp.157-160
    • /
    • 1993
  • The human follicular f1uids(F.F.) may be considered to contribute the maturation of the oocytes on the in vitro cul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which is present in mature and immature follicular fluids, we had experiments of mouse oocytes maturation in vitro. The endpoints assayed were rated as percentage of oocytes undergoing germinal vesicle breakdown(G.V.B.D.) and polar body(P.B.) formation at 12 hours after in vitro culture. The rates of G.B.B.D. were 87% in mature F.F. 68% in immature F.F. and 78% in Ham's F-10 medium respectively. And overall the mature F.F. seem to stimulate on in vitro oocyte maturation compared with either immature F.F. or Ham's F-10 medium. As the concentration of addition of E.G.F. in immature F.F., the rates of G.V.B.D. and P.B. formation were 82 %, 23% in addition with 2 ng/ml while 84%, 32% in addition with 4 ng/ml respectivly. And at the concentration of addition of E.G.F. in Ham's F-10 media as well, the rates of G.V.B.D. and P.B. formation were 84%, 40% and 82%, 44% in addition with each 2ng, 4ng. AccordinglY there was no influence on the oocytes maturation at the addition of E.G.F. to each immature F.F. and Ham's F-10 medium. In conclusion, the E.G.F. is not able to induce oocyte maturation independent of it's effects in immature F.F. and Ham's F-10 media.

  • PDF

PET/CT 감쇠보정시 다양한 CT Kernel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The evaluate the usefulness of various CT kernel applications by PET/CT attenuation correction)

  • 이재영;성용준;윤석환;박찬록;이홍재;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1권2호
    • /
    • pp.37-43
    • /
    • 2017
  • PET/CT 영상 재구성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영상재구성에 적용한다. 감쇠보정 맵의 CT parameter을 변경하여 PET/CT 영상 재구성 할 때 적용하여 SUVmax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평가해보고자 한다. 장비는 Biograph mCT 64를 사용하였고 Phantom은 NEMA IEC Body Phantom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환자는 2017년 2월에서 3월까지 본원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Lung, Liver, Bone에 관심영역을 선택하여 기존 08f AC, 45f medium, 80f ultra sharp 방식의 CT kernel을 적용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PET/CT 영상 재구성에 도입 후 방사능 농도(kBq/mL), SUVmax, SD(standard deviation) 변화 유무를 평가하였다. Phantom 방사능 농도 측정 결과 B08f AC 대비 B45f 0.96%, B80f 6.58% 증가하였고 B08f AC 대비 B45f 0.86%, B80f 6.54%각각 증가하였고, SD의 경우 B08f AC 대비 B45f 1.27%, B80f 6.96% 증가하였다. 환자에서 부위별 SUV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1.6%, B80f 6.6%,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0.7%, B80f 4.7%,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1.3%, B80f 6.2% 증가를 보였다. 부위별 SD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6.2%, B80f 15.4%,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2.1%, B80f 11%,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를 사용할 때 2.3%, B80f 14.7% 증가를 보였다. CT Kernel변화에 따라 sharpness noise와 영상의 질은 변화를 보였으나 SUVmax와 SD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핵의학 영상은 정량적인 평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부위에 따라 CT kernel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noise level이 낮은 감쇠보정 맵을 사용하여 PET/CT 재구성시에 적용하여 정량적 평가에 오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므로 따라서 같은 부위라 할지라도 sharpness noise가 인위적으로 증가된 kernel을 사용하는 것보다 noise가 낮은 kernel을 사용하는 것이 SD편차를 줄이고 정량적인 평가에 오류를 적게 하여 정확한 진단과 SUV 측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x Fibrinolytic Serine-Proteases from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 Cho, Il-Hwan;Choi, Eui-Sung;Lim, Hun-Gil;Lee, Hyung-Hoan
    • BMB Reports
    • /
    • 제37권2호
    • /
    • pp.199-205
    • /
    • 2004
  • The six lumbrokinase fractions (F1 to F6) with fibrinolytic activities were purified from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lysates using the procedures of autolysis,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and column chromatography. The proteolytic activities on the casein substrate of the six iso-enzymes ranged from 11.3 to 167.5 unit/mg with the rank activity orders of F2 > F1 > F5 > F6 > F3 > F4. The fibrinolytic activities of the six fractions on the fibrin plates ranged from 20.8 to 207.2 unit/mg with rank orders of F6 > F2 > F5 > F3 > F1 > F4. The molecular weights of each iso-enzyme, as estimated by SDS-PAGE, were 24.6 (F1), 26.8 (F2), 28.2 (F3), 25.4 (F4), 33.1 (F5), and 33.0 kDa (F6), respectively. The plasminogen was activated into plasmin by the enzymes. The optimal temperature of the six iso-enzymes was $50^{\circ}C$, and the optimal pH ranged from pH 4-12. The four iso-enzymes (F1-F4)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PMSF. The two enzymes (F5 and F6)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aprotinin, TLCK, TPCK, SBTI, LBTI, and leupeptin. The N-terminal amino acid (aa) sequences of the first 20 to 22 residues of each fraction had high homology. All six isoenzymes had identical aa residues 2-3 and 13-15. The N-terminal 21-22 aa sequences of the F2, F3, and F4 isoenzymes were almost the same. The N-terminal aa sequences of F5 and F6 were identical.

시식 후 물관리 방법이 실소의 동태 및 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Management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on Fate and Efficiency of Applied Nitrogen)

  • 이변우;명을재;최관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7-166
    • /
    • 1995
  • 이질 1개월전 시비 후 물관리방법에 따른 대소의 동태 및 이용효율을 비종별로 검토하고자 복비 노적인 13-10-11(F-1), 수도기 비용복합비료인 21-17-17(F-2), 벼 복합비료인 15-10-10(F-3)를 공시하여, 30일간 무항수(0dF), 10일 담수한 다음 20일 방치 (10dF), 20일 담수한 다음 10일 방치(20dF), 30일 담수(30dF)하는 처리를 하였으며 시비후 30일부터는 모든 처리에 계속 담수를 하는 방법으로 물관리를 하면서 침투수로 변탈된 질소량, 토양의 무기태질소량를 정량하였고, 대기중으로 손실된 질소량을 추정하였다. 담수기간 중 관개수의 침투율은 2.5mm/일로 하였다 벼의 대소 이용효율은 시비후 40일에 이질하고 관수상태에서 벼를 재배하여 이앙후 72일에 평가하였다 1. 침투수의 pH는 천수기간이 길수록 상승하였으며, F-2에서 가장 높았고, F-1과 F-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F-1의 토양중 전질소함량은 초기에는 완만히 감소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F와 F는 초기에 급속히 감소한 후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담수처리기간이 길수록 전질소 함양은 빨리 감소하였다. 3. 시비 63일 후에 토양에 남아 있는 무기태질소의 시용대소에 대 한 비 을은 F-1, F-2, F-3에서 각각 23, 29, 29.1%였고, 무담수처리는 45.0%, 10dF, 20dF, 30dF에서 는 각각 26.6, 24.8, 20.3%로 담수처리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4. 시비후 63일동안 침투수로 호탈된 질소의 시용질소에 대한 비을은 F-1, F-2, F-3에서 각각 51.3, 32.1, 48.1%였으며, 담수직후 급격히 유실되었고, 0dF, 10dF. 20dF, 30dF에서 각각 25.7, 29.8, 32.7, 35.8%로 담수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5. 시비한 다음 벼 이앙 72일후까지 시용질소의 손실량은 F-1>F-2>F-3의 순으로 많았는데, F-1은 침투수에 의한 손실이 가장 많았고 휘산에 의한 손실도 많았으며 F-2는 휘산에 의한 손실이 특히 많았기 때문이었다. 6. 시비한 다음 벼 이앙 72일후까지 물관리 방법에 따른 시용질소의 손실량은 20dF$\geq$30dF>10dF>0dF의 순으로 많았는데, 20dF는 휘산에 의한 손실이 가장 많았고 침투수에 의한 손실도 많았으며, 30dF는 침투수에 의한 질소의 손실이 가장 많았기 때문이었다. 7 이앙 후 72일간 벼 지상부에 의한 시용질소이용율은 F-1, F-2, F-3에서 각각 23.2, 24.7,27.4%였고, 0dF, 10dF, 20dF, 30dF에서 는 각각 34.1, 25.5, 21.1, 21.2%로 담수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 PDF

콩 시들음병에 관여하는 Fusarium균의 다양성 및 병원학적 특성 (Diversity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of Fusarium Species isolated from Wilted Soybeans in Korea)

  • 최효원;김승노;홍성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7-312
    • /
    • 2020
  •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콩 재배 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시료에서 진균을 분리한 결과, Fusarium spp., Colletotrichum spp., Rhizoctonia spp., Macrophomina sp., Phytophthora spp., Calonectria ilicicola가 분리되었고, Fusarium균이 79.1%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53개의 Fusarium균을 균학적 특성에 의해 동정한 결과, F. solani, F. oxysporum, F. graminearum, F. fujikuroi 등 4개의 종 복합체(species complex)로 동정되었다.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종 동정을 위해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 (TEF) 유전자 부위를 계통분석한 결과, F. solani, F. oxysporum, F. commune, F. asiaticum, F. fujikuroi 등 5종으로 확인되었다. 44개 Fusarium균주의 병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콩 3개 품종을 대상으로 유묘 침지 접종한 결과, F. asiaticum은 병원성이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성이 있는 10개 균주를 선발하여 기주범위를 조사한 결과, F. solani, F. oxysporum, F. commune은 콩에만 병원성이 있었고, F. fujikuroi는 콩, 강낭콩, 황동부콩, 흑동부콩 및 팥에 병원성을 보였다. 또한 13개 콩 품종을 대상으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F. commune과 F. fujikuroi는 모든 품종에 병을 일으켰다. 장기콩, 풍산나물콩, 소청자콩은 Fusarium에 의한 시들음병에 비교적 저항성이 것으로 나타났고, 황금올콩, 참올콩은 감수성 품종으로 확인되었다.

유유아(乳幼兒) 및 성장기아동을 위한 영양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 -(4) F-P-5, F-P-6 및 F-P-7의 영양학적, 생화학적 검토 및 그 저장성- (Development of Protein-rich Food Mixtures for Infants and Growing Children in Korea -(4) Nutritional and Biochemical Evaluation of Formulas F-P-5, F-P-6, F-P-7 and storage stability of F-P-4-)

  • 권태완;최홍식;김숙희;이현금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권3호
    • /
    • pp.129-135
    • /
    • 1970
  • 우리나라 유유아 및 성장기아동을 위한 영양식품 개발을 목표로 시작한 일련의 연구 중 시제품 F-P-4가 단일 완전식품 및 다목적 식품으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F-P-4 보다 영양가를 향상시키면서도 제품의 가격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를 기준으로 새로이 F-P-5, F-P-6 및 F-P-7을 조제하고, 재차 화학적 성분분석, 동물사육시험, 유유아 급식시험을 실시하므로서 시제품에 대한 영양학적 생화학적 검토와 함께 그 저장성을 검토하였다. 1. F-P-5, F-P-6 및 F-P-7의 단백질 함량은 구성 원료의 배합비에 다소 변동이 있으나 F-P-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약21%이였다. 2. 흰쥐에 급식, 7주간 사육한 결과 F-P-4, F-P-5 및 F-P-6군은 그 성장도가 서로 비슷하고 FER이 다같이 0.20이었으나, F-P-7군은 FER이 0.16으로 가장 낮고 타군에 비하여 성장도 떨어졌다. 3. F-P-4, F-P-5 및 F-P-6를 $3{\sim}12$개월 되는 유유아에게 30일간 급식한 결과 잘 먹었고 전반적으로 체온, 대변의 성상, 체중증가 등이 정상이었고 발육도 좋았다. 그리고 Hemoglobin 함량은 급식 전에는 정상치보다 다소 낮았으나, 30일 급식 후에는 0.6{\sim}2.2g%$가 증가하여 정상범위에 이르렀고, 혈청 albumin 및 총단백질량도 급식 후에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BUN도 대체로 소아표준치의 정상범위내에 있었다. 4. F-P-4를 8개월간 $25^{\circ}C,\;65{\sim}80%$의 상대습도에서 polyethlene film (0.04mm)으로 포장 저장한 결과 비타민 C와 생균수가 감소, POV, TBA value가 증가하였으며, spectral reflectance intensity, organoleptic quality에도 역시 변화가 있어서 식용할 수 있는 범위는 2개월 이내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저장성을 높이기 위한 제품 및 포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5. F-P-5와 F-P-6 제품은 F-P-4에 비하여 그 영양가는 비등하되, 약 10%의 원료비의 절약이 예상된다. 원료배합 공정까지를 고려할 때 F-P-5가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밝혀졌다. 6. 식물성 혼합물인 F-P-7은 유아를 위한 단일 완전식품으로서는 불충분하나, F-P-4보다 20%나 원료비가 낮으므로 성장기 어린이를 위하여 값싼 보충식품으로 활용할만하다고 생각된다.

  • PDF

Evaluation of Reciprocal Cross Design on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n-Mendelian QTL in $F_2$ Outbred Populations: I. Parent-of-origin Effect

  • Lee, Yun-Mi;Lee, Ji-Hong;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2호
    • /
    • pp.1805-1811
    • /
    • 2007
  • A simulation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ciprocal cross on the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ent-of-origin (POE) QTL in $F_2$ QTL populations. Data were simulated under two different mating designs. In the one-way cross design, six $F_0$ grand sires of one breed and 30 $F_0$ grand dams of another breed generated 10 $F_1$ offspring per dam. Sixteen $F_1$ sires and 64 $F_1$ dams were randomly chosen to produce a total of 640 $F_2$ offspring. In the reciprocal design, three $F_0$ grand sires of A breed and 15 $F_0$ grand dams of B breed were mated to generate 10 $F_1$ offspring per dam. Eight $F_1$ sires and 32 $F_1$ dams were randomly chosen to produce 10 $F_2$ offspring per $F_1$ dam, totaling 320 $F_2$ offspring. Another mating set comprised three $F_0$ grand sires of B breed and 15 $F_0$ grand dams of A breed to produce the same number of $F_1$ and $F_2$ offspring. A chromosome of 100 cM was simulated with large, medium or small QTL with fixed or different allele frequencies in parental breeds. A series of tests between Mendelian and POE models were applied to characterize QTL as Mendelian, paternal, maternal or partial expression QTL. The overall detection power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mating designs. However, the proportions of paternally expressed QTL that were declared as paternal QTL type were greater in the reciprocal cross design than in the one-way cross, and vice versa for Mendelian QTL. When QTL alleles were segregating in parental breed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Mendelian QTL were spuriously declared POE QTL, suggesting that care must be taken to characterize imprinting QTL in a QTL mapping population with a small number of $F_1$ parents.

6배체 트리티케일과 4배체호밀 교잡에서의 교잡율, 염색체수 변이 및 작물학적 특성 (Crossability, Variation in Chromosome Number, and Agronomic Characters in Hybrid of Hexaploid Triticale with Tetraploid Rye)

  • 황종진;하용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5-312
    • /
    • 1992
  • 6배체 트리티케일 신기호밀과 4배체 호밀 품종 두루호밀을 교잡하여 이들의 임실율, 잡종 후대들의 염색체수의 변이, 작물학적 특성등을 검토하므로써 트리티케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제공코져 실시한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기호밀(P$_1$)과 두루호밀(P$_2$)의 교잡에서 교잡율은 30.5%, 역교배에서는 3.26%였다. F$_1$/P$_1$(=BC$_1$)에서는 8.75%, F$_1$/P$_2$(=BC$_2$)에서 7.20%, 그리고 F$_1$/F$_1$(=F$_2$)은 1.53%의 교잡율을 보였다. 2. 교잡된 교배종자의 발아율은 F$_1$ 종자 37%, F$_2$ 43.0%, BC$_1$, 39.0%, BC$_2$, 50.0%로 나타났으며, 천립중은 각각 20.7g, 24.5g, 25.4g, 23.6g 이었다. 3. F$_1$(=P$_1$/P$_2$) 식물체의 화분임성은 30.2%였고, 69.8%는 비정상 화분이었다. 4. F$_1$식물체의 화분 모세포 감수분열에서 1가 염색체 13.5%개, 2가 염색체 8.89%, 3가 염색체 1.24개로 2개 염색체는 50.8%였다. 5. 체세포 염색체수는 F$_1$ 35개 였고, F$_2$는 32-33개, 35-36개를 갖는 개체가, BC$_1$은 35-39개를 갖는 개체가 많았다. 그리고 BC$_2$는 28-36개의 분포를 보였다. 이는 F$_1$ 식물체에서 14-18개의 염색체를 갖는 배우자와의 결합이 많음을 보여준다. 6. 임성 개체의 비율은 F$_1$, 100%, F$_2$, 4.5%, BC$_1$, 42.9%, BC$_1$, 50.0%였으며 임성개체의 평균수당 임실립수는 F$_1$, 1.17개, F$_2$, 13.3개, BC$_1$, 2.36개, BC$_2$, 3.75개 였다. 7. 출수기는 F$_1$이 양친의 중간을 보였고, BC$_1$과 BC$_2$는 양친의 영향을 보였으며, F$_2$는 만숙친 보다도 늦었다. 간장은 F$_1$이 장간친과 비슷 하였으나 F$_2$, BC$_1$, BC$_2$는 단간친보다 작았고 특히 BC$_1$은 단간친보다 35cm나 짧았다. 수장과 수당 소수수는 F$_1$이 양친보다 길거나 많았다. 소수당 영화수는 양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