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s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5초

사료용 다얼·다수성 옥수수의 생육특성·생체 및 건물 수량 (Growth Characteristics·Fresh and Dry Weight of the Corn Inbred Lines with Multi-Tiller and Ear using Forage Crop)

  • 나승연;이문섭;양재현;이경은;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91-195
    • /
    • 2016
  • 국내 옥수수 유전자원 중에서 분얼이 많고 생육이 우수한 계통을 이용하여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성된 계통의 평균 간장은 174.7 cm, 개화소요일수는 61일, 주당분얼수는 2.3개, 착수고는 64.1 cm로 나타났다. 2. 평균 도복율은 2정도로 모든 계통에서 내도복성을 가졌다. 3. 주당 평균 이삭중은 135.9 g으로 CNUB14T-01에서 249.0 g으로 가장 높았다. 4. 공시계통의 주당 평균 생체중과 건물중은 각각 694.4 g과 183.7 g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건조 비율은 30%로 나타났다. 5. 공시계통 중에서 CNUA14T-07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2367.8 g과 532.8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맥의 파종밀도가 분얼발생 및 각얼자의 특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Occurrence of Tiller and Its Effects on Grain Yield of Barley under Different Plant Densities.)

  • 신만균;맹돈재;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4-301
    • /
    • 1987
  • 본 시험은 1983년 10월부터 익년 6월까지 대맥부농 품종을 공시하여 재식밀도 5수준 하에서 각 양자의 유효수화와 이들의 수량에 기여도를 분석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삼고져 공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주당유효경은 소식재배에서 많고 밀식재배일수록 적은데, 이를 $m^2$당으로 보면 재식밀도 400주 정도에서 가장 많아 단위면적당 수수확보를 위해서는 재식거리 5cm에서 가장 유리하였다. 2. 각 양자들은 주간, 이차분얼경에서 유효수화 하였는데 이들 얼자는 최소 6엽 확보하였고 유효화정도는 001, 주간 및 002분얼이 가장 높았다. 3. 주간의 엽수는 12~13엽으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분얼질서에 의해 1, c 및 002분얼의 순이었으며 주당엽수는 소식재배에서 $m^2$당 엽수는 재식밀도 500 주구에서 가장 많았다. 4. 일수입수 및 천립중은 주간, 1, 2 및 c 호 분얼경의 순위로 높았다. 5. 주당수량은 재식밀도 200 수구에서 가장 많았고 밀식할수록 적었으나 $m^2$당 수량은 재식밀도 400 수구에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밀식 및 소식시는 감소하였다. 6. 얼자별 수량기여도는 주간은 밀식재배 일수록 높았고 일차분얼경은 중식재배시 이차분얼경은 소식재배일수록 높았다.

  • PDF

Tall fescue 품종의 환경적응성 VI. 계절생산성의 품종간 차이 (Environmental Adaptation of Tall Fescue varieties in Mauntainous pastures VI. Varietal Differences in seasonal produntion)

  • 이주삼;한성윤;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5-200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weight of plant(DW) and yield components. varietal differences in seasonal production at each of three cutting. and to classiQ them into some patterns of seasonal production in tall fescue varieties. The varieties examined were Barvetia. Fuego, Demeter. Safe, Barcel. Forager, Johnstone. Enforcer and Stef.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Fuego and Barcel with high number of tiller per plant(NT) which had more dry wieght of plant(DW) than those of varieties with low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at each cutting. 2. The dry weight of plant(DW) in 1st cutting indicated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and dry weight of a tiller(WT). But there was on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and dry weight of plant(DW) in 2nd and 3rd cutting. 3. Mean relative yield of each cutting were 3 1 %. 29.7% and 39.3% in 1st. 2nd and 3rd cutting, respectively. 4. Tall fescue varieties could b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seasonal growth patterns according to their mode of relative yield at each cutting. Barvetia, Fuego, Johnstone. Enforcer and Stef belong to the group of ABA with high relative yield in 1st and 3rd cutting. Demeter, Safe and Forager belong to the group of CBA with relative yield increased linearly up to 3rd cutting. And, Barcel belong to the group of BAB with high relative yield in 2nd cutting.

  • PDF

Orchargrass의 식생 구조 I. 건물생산성의 경년적 변화와 형태적 , 구조적 형질과의 관계 (Vegetational Structure of Orchargrass Sward I. Changes of dry matter production by the times of year and its relation both morphoiogical and structual chracteristics)

  • 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7-84
    • /
    • 198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structual characters and the dry weight of plant (DW/pl.) concerned vegetational structure of orchardgrass pastures by the times of year, from 1 year to 7 year previous, 1986 through 1980, alternately.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fields of Yonsei Universi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opulation density (PD) was extremely decreased by the times of year. 2. Pasture productivity was highest at 3 year old pasture, was lowest at 5 year old pasture and was recovered at 7 year old pasture. 3. Recovery of pasture productivity was followed the increase of dry weight of plant (DW/pl.) and number of tillers per plant (NT/pl.). 4. The population density of 7 year old pasture was 14 plants per square meter. 5.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 (NT/pl.), dry weight of plant (DW/pl.) piant length (PL), and plant size (PS) was frequently showed the highest values by the times of established year. 6. The stubble diameter (DIA), stubble area (SB), plant size (PS), distance between neibour plant (DIS) and leaf alea index (LAI)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times of year. 7. The dry weight of plant (DW/pl.) was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 (NT/pl.) all of the established pastures, but the dry weight of a tiller (WT) was tended to increase of correlations with the dry weight of plant (DW/pl.) by the times of year. 8. Differences between morphological and structual characters wa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times of year.

  • PDF

질소시용 및 예초간격이 한국 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제잔디 구성요소 특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and Clipping Interval on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Turf Components of Korean Lawn Grass (Zoysia japonica Steud.))

  • 심재성;윤익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9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and clipping interval on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turf components of korean lawngrass for the basic data of lawn management. It was treated by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 plots were nitrogen levels with 0, 350, and 700kgN / ha, and the sub plots were clipping intervals with 10, 20, and 30 day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creasing the rate of nitrogen fertilizer and frequent clipping increased tiller number of korean lawngrass and the maximum number of tillers obtained in October were recorded from 700kgN application and clipping treatment of 10 days interval. Meanwhile, treatment of 350kgN with 10 days clipping interval increased tillers much more than those of 700kgN with 20 and 30 days clipping intervals. 2. The average number of green leaves occurred during the growth period maximized by applying 700 kgN and clipping 10 days interval. 3. Increasing tiller numbers significantly decreased tops DM weight per tiller by clippng plants at interval of 10 and 20 days, irrespective of nitrogen applied, and with nil N, at the interval of 30 days. By applying 700kgN however, tops DM weight per tiller increased as the number of tillers increased consistently. 4. The highest tops DM weight was achieved from late August to early September by applying 350 and 700kgN. 5. During the growth period, nitrogen application increased unders(stolon+root) DM weight, and, at the same level of nitrogen applied, the increase in stolon DM weight enhanced by lengthening the clipping interval to 30 days. 6. Nitrogen efficiency to green leaves, stolon nodes and DM weight of root with high nitrogen was achieved as clipping interval was shortened.

  • PDF

총생 증상을 보이는 한국잔디로부터 노균병원균 관찰 (Observation of Scleropthora macrospora Causing Downy Mildew from Zoysiagrass with Leaf Yellowing and Excessive Tillering)

  • 한무호;김경덕;피재호;최수민;박대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23-28
    • /
    • 2016
  • 전국적으로 재배중인 한국잔디에서 확대되고 있는 총생잔디에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피시움균의 난포자와 유사하지만 다소 큰 사이즈인 $50{\sim}80{\mu}m$의 난포자를 관찰하였다. 동일 시료들을 암상태의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24시간 증식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80{\sim}100{\mu}m$ 크기의 Sclerophthora macrospora 유주자낭이 확인되었다. 유전자 분석을 통한 확인을 위해 유전자 은행에 등록된 S. macrospora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라이머와 감염된 조직에서 추출한 DNA로 PCR 후, S. macrospora 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S. macrospora가 한국잔디 총생 증상에 관여하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utomatic Estimation of Tillers and Leaf Numbers in Rice Using Deep Learning for Object Detection

  • Hyeokjin Bak;Ho-young Ban;Sungryul Chang;Dongwon Kwon;Jae-Kyeong Baek;Jung-Il Cho ;Wan-Gyu S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81
    • /
    • 2022
  • Recently, many studies on big data based smart farming have been conducted. Research to quantif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image data from various crops in smart farming is underway. R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 crops in the world. Much research has been done to predict and model rice crop yield production. The number of productive tillers per plant is one of the important agronomic traits associated with the grain yield of rice crop. However, modeling the basic growth characteristics of rice requires accurate data measurements. The existing method of measurement by humans is not only labor intensive but also prone to human error. Therefore, conversion to digital data is necessary to obtain accurate and phenotyping quickly. In this study, we present an image-based method to predict leaf number and evaluate tiller number of individual rice crop using YOLOv5 deep learning network. We performed using various network of the YOLOv5 model and compared them to determine higher prediction accuracy. We ako performed data augmentation, a method we use to complement small datasets. Based on the number of leaves and tiller actually measured in rice crop, the number of leaves predicted by the model from the image data and the existing regression equa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number of tillers using the image data.

  • PDF

보리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 (Effective Tillering Pattern and Grain Yield on Different Sowing Depth in Barley)

  • 신만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71-683
    • /
    • 1995
  • 보리의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종심도를 1cm, 3cm, 5cm, 7cm, 9cm의 5처리로 하여 각각의 분얼별 생산성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장은 파종심도 1cm구에서 다소 짧은 경향이었고 전처리가 주간 > 1차분얼 > 2차분얼 > 3차분얼의 순위로 고차분얼일수록 짧은 경향이었다. 2. 주간엽수는 1cm구 11.1, 3cm구와 5cm구 13.0, 7cm구 12.5, 9cm구는 11.0수로서 1cm구는 동해, 심파구에서는 생육 지정 때문에 엽수가 적었다. 3. 유효경이나 유효수율은 3cm구와 5cm구에서 높았고 1cm구나 7cm이상의 구에서는 낮았으며 전처리에서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의 유효경율이 높았다. 4. 주당유효경은 3cm구와 5cm구에서 31본, 1주 유효수는 18본으로 가장 많았고 분얼차위별 유효수수는 2차분얼 > 1차분얼의 순으로 많고 3차분얼은 유효수수가 없었다. 유효경율이 70%이상인 얼자는 전처리에서 0, 1, 2, 3, 11, 21과 9cm구의 22이였다. 5. 주당유효경립수는 3cm구가 673.7립에 비하여 5cm구 104%, 7cm구 74.5%, 9cm구 65%, 1cm구는 50%이었고 유효수립수는 3cm구 562.5립에 비하여 7cm구 81%, 9cm구 82.3%, 1cm구는 50.2%이었으며 유효경에 대한 유효수립수비율은 3cm구나 5cm구보다 심파구에서 높았다. 6. 유효수의 평균1수립수는 조기발생한 저위. 저차위분얼에서 많았고 고위. 고차위분얼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어느 파종심도에서나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이 1수립수가 많았다. 7. 1주당유효경 및 유효수자실중은 5cm구 > 3cm구 > 7cm구 > 9cm구 > 1cm구의 순위였으며 평균1수자실중은 1차분얼은 파종심도 3cm구보다 깊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차분얼은 1cm구에서 유효수가 적어 평균자실중이 증가했다. 1수자실중도 1수립수와 같이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1절의 분얼에서 가장 무거웠고 그 이상의 상위절의 분얼에서는 절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8. 수량기여도가 높은 분얼은 전 처리에서 주간과 1차분얼의 1, 2, 3, 4와 2차분얼의 11, 12, 21, 1P, 2P, 31이었다.

  • PDF

벼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에서 분얼별 이삭의 형태 해부학적 특성 (Morpho-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nicles in Low and High Tillering Rices)

  • 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8-575
    • /
    • 1991
  • 본 실험은 벼의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에서 분얼의 종류에 따른 이사목절간 (상위제1절간)의 유관속과 이삭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1988년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소얼ㆍ수중형인 IR25588과 다얼ㆍ수수형인 IR58이었으며 이들은 분얼능력과 이삭의 크기는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다른 특성은 비슷하였다. 1. 이삭목절간의 대ㆍ소유관속수는 IR25588(소얼성)이 IR58(다얼성)보다 많았고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보다 유관속수가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 품종보다 동화산물의 전류에 유리한 특성으로 해석된다. 2. IR25588과 IR58간의 수당영화수를 보면, 1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IR25588=55개, IR58=52개) 2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IR25588(113개)이 IR58(70개)보다 61.4%나 많았다.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수당영화수 유의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이삭의 지경수에서도 비슷하였다. 3. IR25588은 IR58에 비하여, 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절간의 굵기와 두께가 컸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품종보다 더 많은 유관속을 가지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소얼 ㆍ강간ㆍ수중형'의 벼 품종이 수량성을 현재보다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이상적인 초형으로 사료된다. 4. 이삭목절간의 유관속수는 1차ㆍ2차지경수, 수당 영화수, 이삭중과 매우 밀접한 정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절간이 금은 소얼성품종이 그에 비례하여 유관속수가 많으며 따라서 지경수와 영화수를 많게 하여 이삭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5. 1차지경 1개당 영화수와 대유관속 1개당 영화수는 1R25588이 IR58보다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의 sink strength가 다얼성품종의 그것보다 큰 것으로 사료된다. 6. 분얼종류에 따른 유관속수는 IR25588과 IR58모두 주간>1차분얼>2차분얼>3차분얼의 순으로 많았다.

  • PDF

다얼성 옥수수 연구 IV. IK형 분얼 옥수수의 잎 특성 (Maize with Multiple Ears and and Tillers(MET) IV. Leaf Characteristics of IK Type Maize with Tillers)

  • Choe, Bong-Ho;Lee, Hee-Bong;Lee, Won-Koo;Kang, Kwon-Kyu;Choi, Chang-Y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4-369
    • /
    • 1989
  • 분얼하는 옥수수 교잡종 (IK//1R1/B68)의 잎이 분얼하지 않는 옥수수(진주옥)의 잎과 길이나, 폭 또는 면적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위해 주경 또는 분얼경의 지엽으로 부터 아래로 9개 잎을 수확기에 취하여 엽장, 엽폭,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1. 개체당 주경의 평균 엽장은 IK형 (IK//IRI/B68)이나 진주옥이 거의 같았으나 평균 엽폭은 IK형이 진주옥보다 약 2cm 좁았다. 평균 엽면적 역시 IK형이 적었는데 그 이유는 엽폭이 좁았기 때문이었다. 2. IK형 옥수수에서 주경과 분엽경간의 잎특성(장, 폭. 면적)은 서로 비슷하였다. 3. IK형 옥수수는 착수절 바로 아래 절의 잎이 가장 길었고 착수절 바로 위의 잎이 가장 넓었다. 4. IK형 옥수수 잎의 절입별 병이계수를 비교한 결과 착수절을 포함한 착수절 근처 잎이 변이계수가 가장 낮았고, 착수절에서 멀리 떨어진 잎일수록 변이계수의 값이 컸다. 특히 정엽의 변이계수는 다른 잎들보다 훨씬 컸다. 이같은 경향은 주경과 분얼경의 잎이 모두 같았다. 5. 기존의 공식(장$\times$$\times$0.75)에 의해 추정한 엽면적보다는 직접 측정한 엽면적이 컸다. 따라서 IK형 옥수수의 엽장과 엽폭에 의한 엽면적 추정은 기존의 0.75 대신에 0.80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