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an(Heave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Story of the monkey: The modular narrative and its origin of

  • Wang, Lei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9호
    • /
    • pp.61-75
    • /
    • 2012
  • The essay explor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feature animation, (a.k.a. Da Nao Tian Gong, 1964). The film is presented with a modular structure which is quite unique compared with the storytelling in feature animated films from other cultures, but could be connected with the tradition narrative structure in Chinese Zhanghui style novels in Ming and Qing Dynasty. By relating the original text of the story, the 16th century novel Journey to the West (a.k.a. Xi You Ji), with the film , the essay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the narrative tradition i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fluenced the Uproar in Heave for its segment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driven storytelling strategy and mirrored repetitive 2 plot lines. The subject of this essay is even more significant after the restored 3D version of was re-released in the spring of 2012 and became one of the best-selling animated feature film in the history of the country.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적 보유론에 관한 비평적 고찰: 제(帝), 천(天)개념의 변천사를 중심으로 (Critical Study on Mattheo Ricci's Accommodation and Naturalization Focusing on Changes in the Concepts of Di(Emperor Above) and Tian(Heaven))

  • 김영웅;제해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00-412
    • /
    • 2022
  • 명말청초(明末淸初), 중국에 건너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포교를 위해 『시경(詩經)』 등 여러 중국의 고전을 연구하여 적응주의적 보유론(補儒論)을 주창하였다. 그들이 차용한 '제(帝)'와 '천(天)'은 유교의 핵심 용어들인데 본래 초월적인 신개념을 함유하고 있던 '제'는 주대(周代)에 이르러 정치적 격변 속에서 위상이 격하되었고 물질적인 의미의 '천'은 오히려 위상이 격상되었다. 그러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제'의 종교적 기능을 대체한 '천'의 역할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고 종교적 의미가 탈색되면서 철학적 의미로 고착되었다. 인본주의가 신본주의를 대신하는 역사의 하향적 흐름 속에서 두 용어 모두 종교적 기능을 잃어버린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적 신관을 표현하기 위해 차용된 두 용어는 기독교 신관의 고유성을 충분히 담아낼 수 없었다. 토착화를 위한 도구였던 '제'와 '천'은 고작 유교적 사유의 연장선에 머물고 말았고 결과적으로 기독교는 유교의 부속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성에 치우친 철학적 탐구는 계시로 말미암는 거룩한 가르침과 짝을 이루지 않는 한 중국인들을 진정한 기독교 '신앙'으로 인도함에 있어서 온전한 역할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기독교의 선교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지평을 열 방안들을 발굴하는 연구를 다양하게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일본 고학파(古學派)의 정치관 - 이등인재(伊藤仁齋)와 적생조래(荻生?徠)의 위민(爲民) 개념을 중심으로 - (The Political Views of Kogakuha(古學派) in Japanese Confucianism - Focused at the concept of 'For the People' of Ito-Jinsai(伊藤仁齋) and Ogyu-Sorai (荻生?徠))

  • 이용수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259-294
    • /
    • 2014
  • 유가 정치사상에서 중심 개념은 천天과 인人(=민(民))이다. 특히 유가 사상에서 천이 갖는 의미가 결코 작을 수 없음은, 그것이 형이상학적으로 인간과 천을 설명하는 리理와 결부되면서 정치의 분야에 까지 그 논의가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천명'의 개념을 배제하고서 동양의 정치사상의 본질을 논의하기 어렵다. 본고는 18세기 초의 일본에서, 그 동안 도덕적으로 정당하면서도 절대적인 권위를 지니고 있었던,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의 군주의 사적私的 차원이었던 '천天'의 정치화가 어떻게 공적公的인 '민民'의 차원으로 전환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어, 일본사상사에서 고학파古學派로 분류되는 대표적 사상가 이토 진사이(이등인재(伊藤仁齋))와 오규 소라이(적생조래(荻生?徠))의 학설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동양 정치사상사에서 주자학이 지녔던 거의 절대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권위가, 일본의 에도(강호(江戶)) 시대라는 독특한 공간에서 해체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당연히 배태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그동안 억눌렀거나 억눌렸던 '민'에 대한 새로운 차원에서의 해석과 개념 정립이 어떤 사유 과정과 논쟁 과정을 거치며 부상했는가를 탐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토 진사이에 대해서는 그가 보았던 '민民'에 대한 관념을 재검토하여 인仁에 대한 문제의식과 함께 살펴보았다. 오규 소라이의 경우는 '선왕의 도'에 대한 개념과 ""육경"은 곧 물物이다"고 선언한 의미를 규명하면서 그의 안민천하의 정치론을 논했다. 이들 두 사상가가 펼친 정치관의 의미는 과거의 가치관을, 당대의 문제를 치유할 수 있는 일종의 치유책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이 진사이에게서는 '인'의 새로운 해석에 바탕한 '왕도의 구현'으로 나타났고, 소라이에게서는 '선왕의 도'에 바탕한 도덕으로부터의 정치의 독립이라는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왕부(王符)의 천인관계론(天人關係論) 연구 (A Study on the Tian-Ren relations theory of Wangfu)

  • 조원일
    • 한국철학논집
    • /
    • 제57호
    • /
    • pp.127-150
    • /
    • 2018
  • 왕부의 천인관계론은 비록 시대적 상황의 한계 때문에 양한시기에 만연했던 음양오행설의 종교적 이해에 대한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지만, "잠부론" 속에서 곳곳에 걸쳐 인간의 지위와 역량에 대하여 언급을 하고 있으며, 인간의 주재 능력을 제고시키려는 시도와 천과 신의 권능을 희석시키려는 시도를 한 흔적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아울러 국가의 사무나 정치의 초점을 천에서 백성들에게로 이동시킨 점 역시 높이 살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철학적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각도에서 볼 때, 왕부의 일차적인 관심사는 바로 백성들의 생활안정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왕부의 "잠부론"이 당시 사회의 정치 철학사상 측면에 끼친 영향과 공헌은 양한 시기 전체를 아울러 볼 때 왕충의 그것에 비견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왕부가 처한 시대적 상황의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만일 우리가 다른 각도에서 본다면 왕부의 시대적 한계는 천인감응론의 정형화 된 패러다임을 뛰어 넘을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동한 말기의 혼란한 상황 속에서 당시의 여타 지식인들과 달리 혼란한 사회의 세태를 통렬하게 비판한 점은 긍정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민생의 안정이라고 하는 근본에 힘쓰고자 했던 왕부는 왕충과 같이 당시의 시대적 문제를 학술 사상적 측면에서 치력하지 않고, 대부분의 정력을 국가의 사무가 재이나 미신 등의 종교적 관념에 의해서 해석되고 운영되는 것을 타파하는 등의 국가적 내우외환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데에 쏟았던 점 역시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왕부는 난세의 상황 속에 처해서 어떻게 하면 현실적 문제를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음양오행설이나 참위설 같은 미신적 색채가 짙은 관념들을 혁파하는데 앞장서게 되었던 것이다.

양택 풍수지리의 방위관 - "택경(宅經)"을 중심을 - (A Study on the Direction Ideas of Residential Feng Shui-focused of Zhaijing(宅經))

  • 김혜정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2호
    • /
    • pp.65-83
    • /
    • 2009
  •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direction ideas of residential Feng Shui. In ancient China residential places were been established by Xiangzhai(相宅) and Buzhai(卜宅) usages. And ancient Chinese always considered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and waters for setting up their living places. Geographical features were also considered importantly ih representative residential Feng Shui books, Zhaijing(宅經) and Yangzhaisanyao(陽宅三要). In Zhaihing, 24 direction ideas are co-related with Fagui(八卦) and GanZhi(千支) theories, and they are most important residential Feng Shiui direction theories. The basic thoughts of 24 direction ideas of Zhaijing were already formed in Qin(秦) dynasty and modified in early Han(漢) dynasty. In Zhaijing, residential places were splited into Yangzhai(陽宅) and Yinzhai(陰宅) according to YinYang's Qi directions. Those were actually formed from meticulous observations on changing processes of YinYangWuXing(陰陽五行)'s Qi(氣). Constantly changed Qi of YinYangWuXing were studied by old chinese people from the observations on the sun, the moon, the five stars, the Great Bear, and ErShiBaXiu(二十八宿). The origin of Zhaijing's direction ideas is the direction system of ShiPan(式盤) in Qin and Han dynasty. On ShiPan TianGan(天干) Dizi(地支) Fagui TianDiRenGui(天地人鬼) were arranged very systematically into four and 24 directions. DongxiSizhai(東西四宅) theories of Yangzhaisanyao had edited more lately than Zhaijing(宅經), and formed according to Fagui(八卦)'s YinYang(陰陽) principles. But the basic ideas is same with Zhaihing's. It proves that residential Feng Shui theories were constantly improved and modified. And both residential Feng Shui direction ideas of Zhaijing and Yangzhaisanyao are the gentral ideas in old china. The point of that ideas is Sky's four or 24 directions are correspndence with the earth's. It came from the traditional thoughts that Heaven, Earth, and mankind are c0-related and influenced each other according to Qi's changing processes. Gather up above mentioned, the direction ideas of residential Feng Shui is a systematic thoughts of old chinese for harmonizing Tian-Di-Ren-Gui, and is their specific methods for harmonizing the nature's Qi, mankind and spirits.

  • PDF

마테오 리치와 서광계, 그리고 기하원본의 번역 (Matteo Ricci, Xu Guangqi and the Translation of Euclid's Elements)

  • 고영미;이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4
    • /
    • 2020
  • In 1607, Matteo Ricci and Xu Guangqi translated Euclid's 《Elements》 and published 《Jihe yuanben, 幾何原本》. Though 《Elements》 consists of 13 volumes (or 15 volumes according to its editions), they translated only the first 6 volumes on the plane geometry. Why did they do so?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three questions which naturally arise: What might be the motive of the translation of the 《Elements》? What method did they adopt for the translation? And why did they translate the 6 volumes, especially, the first 6 volumes, not completing the whole?

한조(漢朝) 통치이념의 형성과 동중서(董仲舒) 사상의 의미 - 사상사적 상호연관성과 종교성에 주목하여 - (The Formation of the Ruling Ideology of the Han Dynasty and the Meaning of the Thoughts of Dongzhongshu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thought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

  • 정해왕
    • 철학연구
    • /
    • 제142권
    • /
    • pp.265-294
    • /
    • 2017
  • 인류역사의 초기에 한 사회의 통치그룹은 그들의 통치를 정당화할 명분 즉 통치이념을 필요로 했다. 중국의 경우 상고시대 통치이념의 중추는 원래 '제(帝)' 또는 '상제(上帝)'였는데, 이후 '천(天)'으로 대체되었다. 그래서 이 천이 통치명분을 준다는 주장이 있었다. 이것이 왕권을 '천이 준다'는 '천명(天命)'사상이며, 이 천명사상이 상대적으로 세련된 형태로 통치이념화한 것은 주(周)가 중앙정권을 차지하면서이다. 이 주(周)의 체제질서를 조직화한 것이 이른바 '주례(周禮)'이다. 이후 이 체제가 붕괴되었는데, 주례를 바람직한 사회질서로 인정하는 이들은 이 주례 붕괴 현상이 사회적으로 나타난 상황을 '난세(亂世)'로 본다. 이 상황을 종결 짓고, 당시의 중국천하를 통일한 나라가 진(秦)이다. 통일 후의 진왕조(秦王朝)가 급격하게 망한 후 그 뒤를 이어받은 왕조인 한조(漢朝)의 지배세력 역시 그들의 정권획득을 정당화할 통치이념을 수립할 필요가 있었다. 한조(漢朝)의 통치이념 확립에 기여한 대표자는 동중서(董仲舒)인데, 그의 기본적 사상은 공자(孔子)의 "춘추(春秋)"에 기반을 두는 유교사상이다. 그는 "춘추"의 한 해석인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 따라 한조의 통치이념 마련에 기여하였다. 이 해석 관점은 종교적 천관념에 기반한다. 동중서(董仲舒)는 하늘과 사람 사이는 원래 교감, 소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 동중서(董仲舒)의 사상은 기본적으로는 통치자의 통치권의 근거를 하늘에 두려는 정치신학의 의미를 가진다. 또, 한편으로는 자연재이의 일차적 책임을 최고통치자에 둠으로써 최고통치자의 권력을 견제하려는 이론적 수단을 가지려는 의미도 있다.

${\ll}$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사기조신대논(四氣調神大論)${\gg}$ 주석서(注釋書)의 비교분석연구(比較分析硏究)

  • 이용범;김성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4-232
    • /
    • 2000
  • The trend of the concept for modern medicine is gradually forwarding to preventive medicine from therapeutic medical science. One of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medicine is that it attaches greater importance to preventive medicine scientifically. The basic theory of oriental medicine principally takes roots in Huang Di Nei Jing and it is Si Qi Tian Shen Da Lun that is deep-rooted in the principle of "growing life" grounded in theory of unity of heaven and man of oriental medicine. Therefore having translated annotation of 〈Si Qi Tian Shen Da Lun·Huang Di Nei Jing Su Wen〉 which is quoted frequently and using it for appendix and comparing each views of annotators, I would like to state the results of dissertation as below. 1. Si Qi Tian Shen of title of the paper means that it keeps our health and prevent diseases in advance to control our mind and rhythm of life to the change of Yin and Yang - that is, the grower Yin, the looser Yang - following four seasons of nature environment. 2. The summary of this dissertation is that spring means things newly sprout from old ones, things become profuse, beautiful and brilliant in the summer. Autumn stands for things is harvested and allocated evenly and finally things is closed and stored. That is, in the spring and summer. If one break this principle of growth, diseases are followed after this. Therefore an excellent physician should handle diseases before they are attacked not remedy them after outbreak of diseases. It is said that a sage governs the nation before it is put into confusion. 3. These four terms standing for each season describe definitely and realistically rural life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spouting in spring, growing in summer, harvesting in autumn, storing in winter. Going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they have developed to theoretical concept of getting, growth, harvest, store so that implied the principle of growth for four seasons. 4. It means in a concrete way "Yang would grow in the spring and summer and Yin would grow in autumn and winter" as follow. That is, when the day is long, things act energetically and emit the warmth of life and expand the vigor of growth. On the other hand, when the night is long, things lessen their activity to protect the warmth of life and to preserve the sprit of growth. In addition, we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work outward and try to concretely fulfill plan of business in spring and summer. It is in autumn and winter when we should grow Yin. It does not mean that we simply grow cold yin in our body to build Yin. But according to annotators, for example, Wang Bing stated that we need to make things be cool in spring and summer, and be warm in autumn and winter for improvement. Zhang Jie Bin noted that things should not be cold in spring and summer and not be too hot to improve in autumn and winter. Those principles theorized to unify physiological status into the principle of changing of Yang and Yin in the nature and enriched the contents. In these principles, no problems are not found logically somewhat.

  • PDF

양웅(揚雄)과 갈홍(葛洪)의 '현(玄)' 개념 비교 연구(2) - 우주구조론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Xuan'in the view of Yangxiong & Gehong(2))

  • 이진용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165-195
    • /
    • 2014
  • 이 글의 목표는 양웅(揚雄)과 갈홍(葛洪)의 '현(玄)' 개념을 우주구조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고대 중국의 우주구조론은 '천(天)'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하여, 천체의 구조, 천지의 구조 및 위치관계 등의 문제를 통해 한대(漢代)에 그 이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다만 중국 전통시기의 우주구조에 관한 논의는 대부분 천문(天文)과 역법(曆法)을 통해 발전했듯이, 인간의 관점에서 인간사를 해명하기 위해 전개되었다. 양웅과 갈홍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각자의 우주구조론 체계를 정립하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웅은 우주구조론가운데 개천설(蓋天說)을 비판하며 혼천설(渾天說)을 수용하여 발전시켰고, 갈홍은 혼천설을 지지하는 가운데 선야설(宣夜說)의 일부 논의를 수용하였다. 둘째, 양웅과 갈홍의 우주구조론은 그들의 우주생성론의 이론적 출발점이다. 천체의 구조와 천지의 위치관계를 다루는 우주구조론을 중심으로, 그들은 각자 우주만물 생성의 근원과 생성과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두 학자 모두 '현(玄)' 개념을 중심축으로 하여 우주론 체계를 건립하였다. 셋째, 양웅과 갈홍의 우주구조론은 그들 철학체계를 지탱하는 이론적 전제가 된다. 양웅은 우주구조에 관한 논의를 통해 천도(天道)와 인사(人事)의 관계를 모색하고, 갈홍은 우주구조론을 활용하여 신선도교 이론체계를 정립한다. 이처럼 양웅과 갈홍의 우주구조론은 우주생성론과 함께 우주론체계의 중요 구성 요소가 되며, 두 학자 모두 '현' 개념 중심의 우주구조론과 우주생성론을 바탕으로 각자의 철학체계를 정립하였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 (Expression and Deployment of Folk Taoism(民間道敎) in the late of Chosŏn Dynasty)

  • 김윤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309-334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후기 민간도교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해 왔는가를 고찰하고, 민간도교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논구하려는 것이다. 조선 후기 관제신앙이 관우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신앙이라면, 선음즐교(묘련사)와 무상단은 조직을 갖춘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묘련사(妙蓮社))의 경우 '선음즐(善陰?)'은 "서경(書經) 주서(周書)"의 홍범전(洪範傳)에서 유래한 유학의 천관을 담고 있지만 수행의 방법으로는 보살성호(예-관세음보살)를 주문으로 수행하고, 신앙의 대상은 삼성(三聖)(관제, 문창, 부우)이다. 이러한 점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삼교합일적 현상을 보여준다. 임란 이후 왕실의 주도로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던 관제신앙은 민간에서 확고히 자리 잡게 된다. 조선 후기 관제(關帝)는 충과 효의 화신이면서 유 불 도의 삼교 교권을 집장하며, 생사 죄과 명운을 관장하는 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신의 위력과 가피력이 민간에 경전으로 유포되면서 관제신앙은 벽사와 구복의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선음즐교 '묘련사'는 명청대 '백련사(白蓮社)'를 모방한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는 염불을 통한 신과의 '감응(感應)'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종교적 엑시터시(ecstasy)의 상태에서의 강필(降筆)을 비난(飛鸞)으로 표현하였다. 비난(飛鸞)이란 부난(扶鸞) 부계(扶?)라고도 하는데, 종교결사에서 경전을 만드는 방법으로,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의 강필을 의미한다. 선음즐교는 부주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 상태를 추구하였으며,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 강필한 경전을 교단의 중심 교리로 삼았다. 선음즐교의 난서 "제중감로(濟衆甘露)"의 서문을 장식한 여순양이 강림한 곳이 '무상단(無相壇)'이다. 무상단은 서정(徐珽), 정학구(丁鶴九), 유운(劉雲), 최성환(崔?煥)이 주축이 된 독립된 교파로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의 삼성제군(三聖帝君)을 숭배하면서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를 편찬하고 간행 보급하였다. 조선후기 민간도교 경전은 크게는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로 구분할 수 있다. 난서(鸞書)는 비난시(飛鸞時)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 강필서이고, 선서(善書)는 "태상감응편"과 "공과격" 같은 선행의 표준을 보여주고 권면하기 위한 책이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이유로 지어진 관묘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관제신앙은 구복과 벽사의 대상으로 민간에 널리 확산되었다. 둘째 조선 후기에는 묘련사와 무상단이라는 구체적인 민간도교단체가 등장했다. 이들은 '감응'을 통한 영성(靈性)의 고양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 난단도교(鸞壇道敎)였다. 셋째 조선의 민간도교는 청대 민간도교의 유불도 합일과 종교결사의 조직형태 난단도교 등의 영향을 받았다. 넷째 조선의 민간도교 경전은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로 구분되는데, 조선에서 직접 만들어진 난서(鸞書)는 민간도교의 특징을 밝혀줄 열쇠가 되리라고 기대한다.